728x90
반응형

엣지 컴퓨팅 16

FeFET In-Memory Compute

개요FeFET(Ferroelectric Field-Effect Transistor) In-Memory Compute는 전통적인 메모리-프로세서 간 데이터 이동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연산을 메모리 내에서 직접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AI 하드웨어 기술입니다. 강유전체 특성을 이용한 FeFET은 고속, 저전력, 비휘발성이라는 특성을 가지며, 차세대 인공지능 추론/학습용 가속기의 핵심 컴포넌트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강유전체 특성을 가진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메모리 내에서 직접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팅 방식Ferroelectric + FET 기반목적프로세서와 메모리 간 데이터 이동 없이 연산 처리Von Neumann 병목 해소필요성AI 연산의 폭증, 에너..

Topic 2025.05.31

Spin-Orbit Torque (SOT) MRAM

개요메모리 기술은 고속, 고집적, 저전력 특성의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DRAM과 플래시 메모리의 한계를 대체할 새로운 대안으로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SOT(Spin-Orbit Torque) 기반 MRAM은 속도, 내구성,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기존 STT-MRAM을 능가하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T MRAM은 스핀 궤도 토크(Spin-Orbit Torque) 현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SOT는 전류가 강자성 금속과 비강자성 금속의 인터페이스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스핀 흐름을 활용해 자기장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Topic 2025.05.23

WasmEdge

개요WasmEdge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엣지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고성능 WebAssembly(WASM) 런타임입니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샌드박스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경량성, 빠른 시작 속도, 높은 보안성을 기반으로 마이크로서비스, AI 추론,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WasmEdge는 WebAssembly 모듈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실행 환경으로, 다양한 언어(Rust, C/C++, JavaScript 등)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합니다. 기존 컨테이너보다 더 가볍고 빠르며, Kubernetes, Docker와 같은 인프라와도 쉽게 통합됩니다.WasmEdge는 특히 서..

Topic 2025.05.17

Compute-In-Memory (CIM)

개요Compute-In-Memory(CIM)는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이동하지 않고 메모리 내부에서 직접 연산을 수행하는 차세대 컴퓨팅 구조입니다. 기존 폰 노이만 아키텍처의 병목을 해결하고, 메모리 접근 지연(latency)과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목적을 둔 이 기술은 특히 인공지능(AI) 및 엣지 컴퓨팅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IM의 개념, 구조, 기술적 특성, 장점 및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해당 기술의 현황과 전망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CIM은 메모리 셀 내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비-전통적인 컴퓨팅 아키텍처입니다.목적데이터 이동 비용을 줄여 고속 연산과 저전력 소비 실현필요성AI 및 데이터 중심 컴퓨팅의 연산 밀..

Topic 2025.05.14

WebAssembly System Interface(WASI)

개요WebAssembly System Interface(WASI)는 WebAssembly(Wasm) 모듈이 운영체제 기능을 안전하고 이식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된 시스템 인터페이스 표준입니다. 기존 Wasm은 브라우저 환경에서 제한적인 API만 제공했지만, WASI를 통해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시계, 환경 변수 등과 같은 시스템 호출을 표준화하여 서버, 엣지, CLI 등 브라우저 외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WASI(WebAssembly System Interface)**는 WebAssembly 모듈이 운영체제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의된 POSIX 유사 API 집합입니다.목표: 보안, 이식성, 최소 권한 기반의 시스템 호출 지원표준화 주체: Bytecode ..

Topic 2025.05.07

메타모픽 컴퓨팅(Metamorphic Computing)

개요메타모픽 컴퓨팅(Metamorphic Computing)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동적인 변화를 통해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차세대 컴퓨팅 기술이다. 기존의 정적(Static) 아키텍처와 달리, 이 기술은 실행 환경에 따라 프로세서,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이 유연하게 재구성(Reconfigurable)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메타모픽 컴퓨팅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장점과 단점, 활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메타모픽 컴퓨팅(Metamorphic Computing)이란?메타모픽 컴퓨팅은 시스템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동적으로 성능을 최적화하는 컴퓨팅 모델이다. 기존의 고정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벗어나, 특정 워크로드나 네트워크 조건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가 실시간으로 변형될..

Topic 2025.03.20

IOTOps(IoT + Operations)

개요IOTOps(IoT + Operations)는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 장치 관리, 데이터 분석, 보안, 운영 자동화를 최적화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는 대규모 IoT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성능과 보안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본 글에서는 IOTOps의 개념, 핵심 원칙, 주요 도구,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OTOps란 무엇인가?IOTOps는 IoT 장치의 데이터 수집, 운영, 분석, 보안 등을 관리하는 자동화된 운영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IoT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며,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1.1 기존 IoT 운영 방식과 IOTOps 비교 항목 기존 IoT ..

Topic 2025.03.11

NoOps(No Operations)

개요NoOps(No Operations)는 IT 운영을 완전히 자동화하여 개발자가 운영 부담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리스(Serverless), AI 기반 운영 자동화 등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NoOps는 점점 현실화되고 있으며, DevOps의 다음 단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NoOps의 개념, 핵심 원칙, 주요 도구,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NoOps란 무엇인가?NoOps는 운영팀의 개입 없이 IT 시스템이 자동으로 운영 및 유지보수되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 서버리스, 자동화된 배포 및 모니터링 기술이 결합됩니다.1.1 기존 운영 방식과 NoOps 비교 항목 ..

Topic 2025.03.11

인프라형 서비스(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개요인프라형 서비스(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중 하나로, 가상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업은 물리적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인프라를 확장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aaS의 개념, 주요 특징,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aaS란 무엇인가?IaaS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가상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운영체제 등의 IT 인프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입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인프라를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으며, 온디맨드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1.1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비교 서비스..

Topic 2025.03.10

5G/6G 보안

개요5G 및 차세대 6G 네트워크는 초고속 데이터 전송, 초저지연, 대규모 IoT 연결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에 따른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5G/6G 네트워크 보안의 주요 과제와 해결 방안, 최신 기술 트렌드를 살펴봅니다.1. 5G/6G 네트워크 보안 개요5G와 6G는 기존 네트워크보다 높은 연결성과 데이터 처리 능력을 제공하지만, 새로운 보안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1.1 5G/6G 네트워크의 특징초고속 데이터 전송: 5G는 최대 10Gbps, 6G는 이보다 100배 빠른 속도를 제공 예정초저지연(ULTRA Low Latency): 5G는 1ms 미만, 6G는 거의 실시간 반응대규모 IoT 연결: 수십억 개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 가능AI 기반 네트워크 운영: 자율 네트..

Topic 2025.03.09

분산 클라우드(Distributed Cloud)

개요분산 클라우드(Distributed Cloud)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중앙 데이터센터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물리적 위치에서 분산 운영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입니다. 이는 성능 향상, 지연 시간 감소, 데이터 주권 보호 등의 이점을 제공하며, 엣지 컴퓨팅, IoT, 5G, AI 등과 결합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분산 클라우드(Distributed Cloud)란?분산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환경을 통합하여 클라우드 자원을 물리적으로 분산 운영하는 방식입니다.1.1 기존 클라우드와 분산 클라우드 비교 항목 기존 클라우드 분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위치중앙 집중형여러 물리적 위치에 분산네트워크 지연 시간상대적으로 높음낮음 (엣지 컴퓨팅 활용)보안 및..

Topic 2025.03.09

MEC (Mobile Edge Computing)

개요MEC(Mobile Edge Computing, 모바일 엣지 컴퓨팅)는 데이터를 중앙 클라우드가 아닌 네트워크 엣지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5G 네트워크와 결합하여 초저지연(low latency) 성능을 제공하며,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실시간 스트리밍, AIoT(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MEC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보안 이슈 및 미래 전망을 살펴봅니다.1. MEC란 무엇인가?MEC는 기존의 클라우드 컴퓨팅과 달리,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사용자와 가까운 엣지 노드(Edge Node)에서 처리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5G 및 IoT 기반..

Topic 2025.03.08

페더레이티드 러닝(Federated Learning)

개요페더레이티드 러닝(Federated Learning, FL)은 개별 디바이스나 서버에서 데이터를 로컬로 학습하고, 중앙 서버와 모델 업데이트만 공유하는 분산형 머신러닝 기법입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 데이터 보안, 네트워크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제공하며, 모바일 AI, 의료 데이터 분석, IoT 디바이스 학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페더레이티드 러닝이란?페더레이티드 러닝은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 모으지 않고, 각 디바이스에서 로컬 모델을 학습한 후, 모델의 가중치만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전체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입니다.1.1 페더레이티드 러닝의 핵심 개념분산 학습(Distributed Learning): 여러 디바이스에서 병렬로 모델을 학습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원본 데이터..

Topic 2025.03.07

IoT(Internet of Things) 및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개요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는 센서와 디바이스를 인터넷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자동화하는 기술입니다.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는 IoT의 산업 확장 버전으로, 스마트 팩토리, 제조, 에너지, 물류 등의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두 기술은 스마트 시티, 헬스케어, 자율주행,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1. IoT 및 IIoT란?1.1 IoT(사물인터넷) 정의IoT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조명,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스피커 등이 IoT 기기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1.2 II..

Topic 2025.03.05

5G 네트워크

개요5G(5th Generation) 네트워크는 이전 세대(4G LTE)보다 빠른 속도, 낮은 지연 시간, 대량 연결을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이다. 5G는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원격 의료 등 다양한 산업을 혁신하고 있으며, 초고속 데이터 전송과 안정적인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글에서는 5G의 개념, 주요 특징,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5G 네트워크란?5G는 이동통신 기술의 5세대(5th Generation)로, 기존 4G LTE보다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낮은 지연 시간, 네트워크 용량 증가를 제공한다. 이는 mmWave(밀리미터파), MIMO(다중 안테나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

Topic 2025.03.03

Edge Computing 및 Fog Computing

개요클라우드 컴퓨팅이 대중화됨에 따라 데이터 처리 속도와 실시간 응답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를 네트워크의 말단에서 수행하는 Edge Computing(엣지 컴퓨팅) 및 Fog Computing(포그 컴퓨팅)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본 글에서는 두 기술의 개념, 차이점, 장점과 단점, 주요 사례, 그리고 미래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1. Edge Computing(엣지 컴퓨팅) 이란?Edge Computing은 데이터를 중앙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 근처(edge)에서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스마트 센서, 모바일 장치 등에서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특징:데이터 처리를 네트워크 ..

Topic 2025.02.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