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웹보안 13

Edge Browser Isolation (EBI)

개요Edge Browser Isolation(EBI)은 웹 콘텐츠를 로컬 브라우저가 아닌 엣지 또는 클라우드 상의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하여, 악성 코드 및 제로데이 공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웹 보안 기술입니다.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 및 Zero Trust Architecture를 구현하는 핵심 보안 컴포넌트로 부상하고 있으며, SaaS 접근 보호, B2B 브라우징, 데이터 유출 방지 등의 다양한 보안 시나리오에서 적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EBI는 사용자가 방문하는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엣지 서버에서 로드 및 실행한 뒤, 사용자 브라우저에는 렌더링된 콘텐츠(픽셀 스트림 또는 DOM 리플레이)만 전송하여, 실질적인 웹 실행을 로컬에서 차단합니다.주요 목적브라우저..

Topic 2025.06.27

Token Binding Protocol

개요Token Binding Protocol은 TLS 연결에 기반하여 인증 토큰을 클라이언트 장치에 고정함으로써 토큰 탈취 및 재사용 공격을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본 글에서는 Token Binding의 작동 원리, 기술 구성, 주요 이점, 실제 활용 사례 등을 상세하게 다루어 인증 보안에 관심 있는 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TLS 레벨에서 클라이언트가 공개키를 통해 특정 세션에 인증 토큰을 묶어 재사용을 방지하는 프로토콜목적인증 토큰의 중간자 공격(MITM) 및 탈취 재사용 차단특징웹 인증 흐름과의 통합 및 TLS 1.2/1.3 기반 암호화 활용Token Binding은 특히 OAuth, OpenID Connect, SSO 환경에서 인증 보안성을 강화하는..

Topic 2025.06.10

DAST(Dynam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개요DAST(Dynam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테스트하여 보안 취약점을 탐지하는 블랙박스 방식의 보안 진단 기법입니다. 코드 분석이 아닌, 실제 런타임 환경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분석하여 입력 검증, 세션 관리, 인증/인가 등 다양한 공격 벡터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SAST와 함께 DevSecOps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배포 전/후 보안 검증을 담당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DAST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외부에서 공격 시나리오를 모의 적용하여 보안 결함을 탐지하는 기술입니다.목적배포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제 사용자가 접속하는 환경에서의 취약점 검출필요성사용자 입력 기반의 동적 취약점을 탐지할 수 있는 ..

Topic 2025.04.29

WAF(Web Application Firewall)

개요WAF(Web Application Firewall)는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L7)에 특화된 보안 장비로, 웹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예: SQL Injection, XSS 등)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존 방화벽이나 IPS가 네트워크·시스템 계층을 보호하는 반면, WAF는 웹 기반 위협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보호하는 애플리케이션 보안의 핵심 장치입니다. 본 글에서는 WAF의 개념, 기능, 구성 방식, 주요 탐지 기술, 실무 적용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WAF는 HTTP, HTTPS를 통해 들어오는 웹 요청을 분석하여 악성 요청을 필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용 방화벽입니다. OWASP Top 10과 같은 웹 보안 위협에 대한 방어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Topic 2025.04.02

정규표현식 기반 서비스 거부 (ReDoS: Regular Expression Denial-of-Service)

개요ReDoS(Regular Expression Denial-of-Service)는 정규표현식의 계산 복잡성을 악용하여 서비스의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 기법입니다. 정규표현식은 입력 데이터 유효성 검증, 보안 필터링, 탐지 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지만, 비효율적인 패턴 구성 시 입력 길이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연산 시간이 증가하여 서비스 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ReDoS의 개념, 공격 원리, 피해 사례, 탐지 및 방어 전략을 상세히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ReDoS입력값이 특정 정규표현식 패턴을 유발해 과도한 연산이 발생함으로써 서비스 자원을 소모시키는 공격정규표현식(Regex)문자열 검색, 매칭, 대체 등을 위해 사용하는 패턴 언어NFA (Nondetermin..

Topic 2025.03.25

브라우저 격리 (Browser Isolation)

개요브라우저 격리(Browser Isolation)는 웹 브라우저를 네트워크 및 엔드포인트로부터 분리하여 악성 코드, 피싱, 익스플로잇 등의 보안 위협을 차단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기존의 웹 보안 솔루션과 달리, 악성 콘텐츠가 사용자 시스템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원격 또는 가상 환경에서 웹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보안을 강화합니다. 본 글에서는 브라우저 격리의 개념, 주요 기술, 보안 이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브라우저 격리란?브라우저 격리(Browser Isolation)는 웹 브라우징 시 악성 코드와 위협이 사용자의 실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격리된 환경에서 웹 콘텐츠를 실행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개념 설명 브라우저 격리웹..

Topic 2025.03.25

취약점 스캐닝 (Vulnerability Scanning)

개요취약점 스캐닝(Vulnerability Scanning)은 시스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과정입니다. 기업과 조직은 취약점 스캐닝을 통해 보안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고, 보안 강화 및 침해 대응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취약점 스캐닝의 개념, 주요 유형, 활용 사례 및 방어 기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취약점 스캐닝이란?취약점 스캐닝(Vulnerability Scanning)은 보안 도구를 이용하여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평가하는 프로세스입니다. 개념 설명 취약점(Vulnerability)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해커가 악용할 수 있는 보안 결함취약점 스캐닝보안 스캐너를 활용해 취약점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

Topic 2025.03.24

SSRF (Server-Side Request Forgery)

개요SSRF(Server-Side Request Forgery, 서버 측 요청 위조)는 공격자가 서버를 악용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리소스에 접근하거나 외부 시스템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취약점입니다. SSRF는 클라우드 환경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특히 위험한 보안 위협으로 간주됩니다. 본 글에서는 SSRF의 개념, 주요 공격 유형, 실제 사례, 방어 기법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접근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SRF란?SSRF는 공격자가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원격 서버에 임의의 요청을 보내게 만드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개념 설명 SSRF 공격공격자가 서버를 이용해 내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 리소스에 악성 요청을 보내는 공격 기법취약한 입력 처리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입력값을 검증..

Topic 2025.03.24

XSS (Cross-Site Scripting)

개요XSS(Cross-Site Scripting,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흔한 보안 취약점 중 하나로,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세션을 탈취하거나 피싱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XSS의 개념, 주요 유형, 실제 사례, 방어 기법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실무적 접근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XSS란?XSS(Cross-Site Scripting)는 웹 페이지에서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가 검증 없이 사용자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개념 설명 XSS 공격악성 스크립트(JavaScript 등)를 삽입하여 웹 페이지에서 실행하는 공격 기법입력 검증 부족웹 애플리케이션..

Topic 2025.03.24

SQL 인젝션(SQL Injection)

개요SQL 인젝션(SQL Inject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여 공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공격 기법입니다. 본 글에서는 SQL 인젝션의 개념, 공격 유형, 주요 사례, 방어 기법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실무적 접근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QL 인젝션이란?SQL 인젝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을 적절히 검증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베이스 쿼리(Query)로 전달하는 경우, 공격자가 악의적인 SQL 명령어를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보안 공격입니다. 개념 설명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하는 언어SQL 인젝션공격자가 SQL 쿼리에 악성 코드를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

Topic 2025.03.24

CWE (Common Weakness Enumeration)

개요CWE(Common Weakness Enumeration, 공통 취약점 목록)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표준 리스트입니다. 이는 개발자와 보안 전문가가 보안 취약점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본 글에서는 CWE의 개념, 주요 분류, 활용 방법 및 보안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WE란?CWE는 MITRE에서 관리하는 보안 취약점의 표준 목록으로, 보안 취약점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개념 설명 CWE ID취약점 유형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 (예: CWE-79)CWE 목록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취약점 유형을 정리한 데이터베이스CVE와의 차이점CWE는 취약점 유형을 정의하고, CVE는 개별적인 취약점..

Topic 2025.03.24

OWASP ASVS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개요OWASP ASVS(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수준을 검증하기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입니다. 보안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테스트 과정에서 보안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OWASP ASVS의 개념, 주요 검증 수준, 요구 사항 및 활용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OWASP ASVS란?OWASP ASVS는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검증을 위한 표준으로, 보안 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개념 설명 OWASP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강화를 위한 비영리 단체ASVS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애플리케이션 보안 검증 표..

Topic 2025.03.24

OWASP Top 10 (2021)

개요OWASP(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Top 10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을 정리한 목록입니다. 본 가이드는 개발자, 보안 전문가 및 조직이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본 글에서는 OWASP Top 10의 개념, 주요 보안 취약점, 대응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OWASP Top 10이란?OWASP Top 10은 OWASP 재단이 주기적으로 발표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취약점 목록으로, 가장 위험한 보안 문제를 선정하여 업계 표준으로 활용됩니다. 개념 설명 OWASP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강화를 위한 비영리 단체OWASP Top 10가장 빈번하고 위험한 웹 보안 취..

Topic 2025.03.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