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공지능 9

Memory Replay Buffer(메모리 리플레이 버퍼)

개요Memory Replay Buffer(메모리 리플레이 버퍼)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RL)에서 에이전트가 수집한 과거 경험을 저장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학습에 활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핵심 구조입니다. 비효율적인 학습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학습을 가능하게 만듭니다.1. 개념 및 정의메모리 리플레이 버퍼는 에이전트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얻은 상태(state), 행동(action), 보상(reward), 다음 상태(next state)의 튜플을 저장하는 버퍼입니다. 이 저장된 경험을 샘플링하여, 모델이 다양한 상황을 다시 학습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효율성 향상, 표본 상관관계 감소, 모델의 안정성 증가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

Topic 2025.04.08

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개요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는 인간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모델의 행동을 강화 학습하는 기법입니다. 기존의 강화학습(RL)이 환경으로부터 보상을 받아 정책을 학습하는 반면, RLHF는 인간 평가자(Human Annotator)가 보상을 정의하거나 직접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AI의 의사결정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OpenAI의 ChatGPT, DeepMind의 Sparrow, Anthropic의 Claude 등 최신 AI 모델들이 RLHF를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자연어 처리(NLP), 생성형 AI, 로봇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RLHF는 다음과 같은 3단계 프로세스로 구성됩니다:프롬..

Topic 2025.04.08

튜링 테스트(Turing Test)

개요튜링 테스트(Turing Test)는 컴퓨터가 인간과 유사한 사고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실험이다. 1950년, 영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의 선구자인 앨런 튜링(Alan Turing)이 제안한 이 테스트는 오늘날 인공지능(AI)의 발전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글에서는 튜링 테스트의 개념, 과정, 한계점,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과의 관계를 살펴본다.1. 튜링 테스트란?튜링 테스트는 컴퓨터가 인간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실험이다. 이 테스트는 특정한 알고리즘이 실제 인간처럼 사고하고 답변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튜링 테스트는 AI가 인간과 같은 지능을 가졌는지 판별하는 첫 번째 기준으로 여겨진다.1.1 튜링..

Topic 2025.03.22

AI 에이전트 (AI Agent)

개요AI 에이전트(AI Agent)는 인간의 개입 없이 주어진 환경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입니다. 이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자연어 처리(NLP), 로봇 공학, 챗봇, 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점점 더 지능적인 방식으로 인간의 업무를 보조하거나 대체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AI 에이전트의 개념, 유형, 주요 기술, 활용 사례 및 최신 동향을 살펴봅니다.1. AI 에이전트란?AI 에이전트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센서(Input)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능적인 연산을 수행한 후, 실행기(Actuator)를 통해 특정 행동..

Topic 2025.03.13

PLM (Pre-trained Language Model)

개요PLM(Pre-trained Language Model,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은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한 후 다양한 자연어 처리(NLP) 작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 모델입니다. 이 기술은 챗봇, 기계 번역, 텍스트 생성, 문서 요약 등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BERT, GPT, T5 등의 모델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멀티모달 AI와 결합되어 더욱 정교한 AI 서비스가 가능해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PLM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봅니다.1. PLM(Pre-trained Language Model)란?PLM은 대규모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사전 학습(Pre-training)된 후,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언어 모..

Topic 2025.03.07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개요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생성적 적대 신경망)은 인공지능이 현실적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딥러닝 모델입니다. 2014년 Ian Goodfellow가 개발한 GAN은 이미지 생성, 스타일 변환, 데이터 보강, 딥페이크 등 다양한 AI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GAN은 **생성자(Generator)**와 판별자(Discriminator) 두 개의 신경망이 서로 경쟁하며 학습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매우 정교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1. GAN이란?GAN은 생성자와 판별자가 서로 경쟁하며(real vs. fake) 더 정교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입니다.1.1 GAN의 핵심 개념생성자(Generator): 랜덤한 노이즈에서 데이..

Topic 2025.03.05

NN(Neural Network, 인공 신경망)

개요NN(Neural Network, 인공 신경망)은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딥러닝 기반의 AI 모델로,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NLP), 자율주행,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신경망은 **입력층(Input Layer), 은닉층(Hidden Layer),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되며, 데이터 패턴을 학습하여 최적의 출력을 예측합니다.1.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이란?인공 신경망(NN)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고 예측하는 기계 학습 모델로, 다층 구조를 통해 복잡한 관계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1.1 NN의 핵심 개념노드(Node) 및 뉴런(Neuron): 신경망의 기본 단위로, 데이터 처리를 담당가중치(Weight) 및 편향(Bias): 입력 데..

Topic 2025.03.05

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개요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는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다. NLP는 텍스트 분석, 음성 인식, 기계 번역, 챗봇, 감성 분석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며, 딥러닝 및 머신러닝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정교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NLP의 개념, 주요 기술, 활용 사례 및 최신 동향을 살펴본다.1. 자연어처리(NLP)란?자연어처리는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자연어)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NLP는 언어학과 컴퓨터 과학이 결합된 분야로, 텍스트 및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NLP의 주요 목표:텍스트 및 음성 데이터의 의미 분석기계 번역 ..

Topic 2025.03.03

머신러닝 vs 딥러닝

개요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은 인공지능(AI)의 핵심 기술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두 개념은 종종 혼용되어 사용되며, 명확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글에서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 특징, 활용 사례, 그리고 어떤 경우에 각각을 선택해야 하는지 살펴본다.1.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머신러닝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여 자동으로 예측 및 결정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기반 기술이다. 사람이 직접 프로그래밍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며,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

Topic 2025.02.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