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임베디드시스템 5

Timing Diagram

개요Timing Diagram(타이밍 다이어그램)은 디지털 회로나 시스템의 신호 변화와 그에 따른 동작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하드웨어 설계,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통신 프로토콜 분석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시스템 동작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설명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Timing Diagram은 시간 축(Time axis)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신호(Signal)들이 어떤 타이밍으로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래픽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High/Low) 변화, 클럭 동기, 데이터 유효 구간, 제어 신호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함께 표시되며, 시스템의 정확한 동작 시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이 도구는 설계 검토 및 디버깅 단계에서 필수적..

Topic 2025.04.25

Stop-and-Wait ARQ

개요Stop-and-Wait ARQ(Automatic Repeat reQuest)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ARQ 방식입니다.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한 뒤, 수신자로부터 응답(ACK)을 받기 전까지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과 흐름 조절을 동시에 보장합니다.1. 개념 및 정의Stop-and-Wait ARQ는 이름 그대로 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만 전송하고, 수신자의 확인 응답(ACK)을 받은 후에야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만약 응답이 없거나 NAK(Negative ACK)가 수신될 경우,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합니다.이 방식은 구현이 간단하면서도 송수신 간 속도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오버플로우 문제를 ..

Topic 2025.04.19

VRC(Vertical Redundancy Check)

개요VRC(Vertical Redundancy Check, 수직 중복 검사)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에서 가장 기초적인 오류 검출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 각 행에 대해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수직 방향으로 오류를 검출합니다. 주로 단일 비트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단순하고 빠른 구현이 가능해 초기 통신 시스템 및 간단한 프로토콜에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1. 개념 및 정의VRC는 데이터의 각 행(row)에 대해 짝수 또는 홀수 패리티 규칙을 적용해 한 비트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패리티는 1의 개수가 홀수/짝수인지에 따라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 유무를 판단합니다. 수직(열) 기준으로 비트를 정렬했을 때, 각 열의 패리티도 검사할 수 있어 확장된 방식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2. 특징 구분 설..

Topic 2025.04.18

하버드 구조(Harvard Architecture)

개요하버드 구조(Harvard Architecture)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명령어(instruction)**와 **데이터(data)**를 각각 물리적으로 분리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접근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이는 폰 노이만 구조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병렬 처리를 통한 성능 향상과 안정적인 임베디드 설계에 유리하여 디지털 신호처리기(DSP),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하버드 구조는 하나의 버스를 통해 명령어와 데이터를 모두 주고받는 폰 노이만 구조의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명령어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분리된 버스로 구성함으로써, 동시에 명령어를 가져오고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속도 향상과 효율적인 자원..

Topic 2025.04.17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개요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등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디지털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다용도 핀입니다. LED 제어, 버튼 입력 감지, 센서 통신, 외부 회로 제어 등 다양한 하드웨어와의 연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제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인터페이스입니다. 본 글에서는 GPIO의 개념, 동작 모드, 설정 방법, 실무 활용 사례까지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GPIO는 하나의 핀이 상황에 따라 입력 또는 출력으로 설정 가능한 범용 디지털 신호 핀입니다. 내부적으로는 MCU의 레지스터와 연결되어 있어 프로그램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하드웨어 인터페이스(SPI, ..

Topic 2025.04.0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