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보안 12

FIDO 2.0

개요FIDO 2.0(Fast Identity Online 2.0)은 사용자 인증에서 비밀번호를 제거하고, 공개키 기반 생체 인증 또는 보안 장치를 통해 안전하고 간편한 로그인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인증 기술입니다. FIDO Alliance와 W3C가 협력하여 개발한 FIDO 2.0은 WebAuthn과 CTA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Microsoft, Google, Apple 등 글로벌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국제 표준입니다.1. 개념 및 정의FIDO 2.0은 기존의 비밀번호 기반 인증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인증 프레임워크입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 또는 하드웨어 키를 기반으로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활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정보는 로컬 장치에만 저장되어 서버에 전송되지 않음으로써 피..

Topic 2025.04.16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Information Security Readiness Assessment)

개요정보보호 준비도 평가는 기업이나 기관이 사이버 위협에 얼마나 대비되어 있는지를 진단하는 평가 제도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수준의 항목을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실질적인 보안 투자와 체계적인 개선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1. 개념 및 정의정보보호 준비도 평가는 조직의 정보보호 체계 전반을 진단하여 현재 수준을 수치화하고, 취약 영역을 도출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체계적인 진단 도구입니다. 보안 인프라뿐 아니라 정책, 조직, 교육, 기술, 사고 대응 등 전반적인 항목을 평가하며, 주로 자가 진단 또는 외부 전문가에 의해 수행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전반적 진단정책부터 기술까지 모든 보안 영역 평가ISMS 항목 기반 구..

Topic 2025.04.16

정보보호공시제도(Information Security Disclosure System)

개요정보보호공시제도는 기업이나 기관이 자사의 정보보호 활동 및 수준을 외부에 자율적으로 공개함으로써 보안 역량을 투명하게 알리고, 이용자 및 투자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정보보호를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게 하고, 보안 투자 유도 및 기업 간 선의의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정보보호공시제도는 기업이 정보보호 관련 정책, 조직, 예산, 사고 대응 현황 등을 자율적으로 작성하여 공시하는 제도로,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포털을 통해 공개됩니다. 이 제도는 기업의 보안 성숙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자율 공시 기반법적 강제성 없이 자발적으로 공개민간 중심의 ..

Topic 2025.04.16

Digital Envelope

개요전자봉투(Digital Envelope)는 대칭키 암호와 공개키 암호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암호화 기법입니다. 대칭키의 빠른 암호화 속도와 공개키의 안전한 키 분배 기능을 동시에 활용하여, 민감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식입니다. 이메일 보안, 파일 암호화, 전자지불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전자봉투는 평문 데이터를 대칭키로 암호화한 후, 이 대칭키를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하는 구조입니다. 수신자는 자신의 개인키로 대칭키를 복호화하고, 해당 대칭키로 본문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전체 메시지를 안전하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속도와 보안을 동시에 충족하는 이상적인 전송 방식으로 간주됩니..

Topic 2025.04.15

Digital Signature

개요전자서명(Digital Signature)은 전자 문서에 서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문서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암호 기반 기술입니다. 법적 효력과 보안성을 동시에 갖추어 공공기관, 금융기관,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블록체인, 이메일 보안, 전자계약 등에서도 핵심적으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전자서명은 공개키 기반 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를 활용하여 생성되며, 서명자는 개인키로 문서에 서명하고 수신자는 공개키로 해당 서명의 진위 여부를 검증합니다. 이는 서명자의 신원 확인과 함께, 문서가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인증 기능서명자의 신원을 확인 가능비대면 거래에서도 활용 ..

Topic 2025.04.15

Grover Algorithm

개요Grover 알고리즘은 1996년 Lov Grover가 개발한 양자 알고리즘으로, 비정렬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값을 탐색하는 데 고전 알고리즘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검색 문제에 대해 제곱근 수준의 성능 향상을 보이며, 대칭키 암호 시스템의 보안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1. 개념 및 정의Grover 알고리즘은 임의로 구성된 N개의 항목 중에서 목표 항목을 찾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고전적으로는 O(N)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Grover 알고리즘은 O(√N) 시간만에 해결 가능하여, 예를 들어 2^128의 키 공간을 가지는 AES의 보안 수준을 실질적으로 절반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N의 계산 복잡도고전적 선형 탐색보다 획기적인 성능AES 보..

Topic 2025.04.15

Shor Algorithm

개요Shor 알고리즘은 1994년 수학자 Peter Shor가 제안한 양자 알고리즘으로, 고전 컴퓨터로는 불가능에 가까운 큰 수의 소인수 분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RSA와 같은 공개키 암호체계의 보안을 위협하며, 양자컴퓨팅이 실현될 경우 기존 보안 기술을 대체할 새로운 암호 체계의 필요성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됩니다.1. 개념 및 정의Shor 알고리즘은 양자컴퓨터가 제공하는 병렬성과 양자 푸리에 변환(Quantum Fourier Transform)을 활용하여 지수 시간 복잡도의 소인수 분해 문제를 다항 시간 내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로 인해 공개키 암호 체계의 근간인 '큰 수의 소인수 분해의 어려움'이라는 전제를 무력화시킵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

Topic 2025.04.15

Feistel Structure

개요Feistel 구조는 대칭형 블록 암호의 기본 설계 방식 중 하나로, DES(Data Encryption Standard)와 같은 고전적인 암호 알고리즘부터 현대의 다양한 암호 시스템에까지 널리 응용됩니다. 이 구조는 입력 데이터를 좌우로 나누고, 반복적인 라운드 함수를 통해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강력한 보안성과 설계 유연성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Feistel 구조는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한 쪽은 그대로 두면서 다른 쪽에 복잡한 함수를 적용한 뒤, 두 부분을 교환(swap)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과정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반복되며, 최종적으로 암호문이 생성됩니다. 특징적으로 역함수를 구현하지 않아도 복호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대칭 구조..

Topic 2025.04.15

SPN(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

개요SPN(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은 대칭키 암호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조로, 현대 블록 암호 알고리즘의 근간이 되는 설계 원리입니다. 대표적인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역시 SPN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SPN의 개념, 특징, 구성 요소, 기술적 요소, 장점, 실제 사례 및 고려사항 등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SPN은 치환(Substitution)과 순열(Permutation)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구조입니다. Claude Shannon이 제안한 혼돈(confusion)과 확산(diffusion) 원칙을 실현하는 데 효과적인 방식으로, 각 라운드를 통해 데이터의 보안성을 ..

Topic 2025.04.15

데이터 손실 방지 (DLP: Data Loss Prevention)

개요데이터 손실 방지(DLP: Data Loss Prevention)는 기업 및 조직의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내부 및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DLP는 클라우드, 엔드포인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여 규제 준수 및 정보 보호를 실현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LP의 개념, 주요 기능, 보안 이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DLP란?DLP(Data Loss Prevention)는 기업의 중요한 데이터가 무단으로 유출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개념 설명 DLP데이터 손실 및 유출을 방지하는 보안 솔루션민감 데이터 보호신용카드 정보, 개인정보(PII), 금융 데이터 보호정책..

Topic 2025.03.25

CIA 삼원칙 (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개요CIA 삼원칙(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은 정보 보안의 핵심 원칙으로, 조직과 개인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이 원칙을 준수함으로써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IT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IA 삼원칙의 개념, 중요성, 구성 요소, 기술적 구현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IA 삼원칙이란?CIA 삼원칙(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은 정보 보안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3가지 핵심 요소입니다.기밀성(Confidentiality): 정보가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원칙무결성(Integrity): 정보가 변조되지 않고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원칙가용..

Topic 2025.03.24

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

개요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 국제공통평가기준)은 정보보안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고 국제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인증을 부여하는 글로벌 보안 표준이다. 이 인증은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이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글에서는 CC 인증의 개념, 평가 체계, 등급, 프로세스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이란?CC 인증은 정보보안 제품이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성을 갖추었음을 검증하는 국제 표준 인증이다. ISO/IEC 15408에 기반하여 설계되었으며, 여러 국가 간 상호 인증이 가능하다.✅ CC 인증을 받은 보안 제품은 국제적으로 검증된 보안성을 보장한다.1.1 CC ..

Topic 2025.03.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