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라우드보안 59

Security Service Edge (SSE)

개요Security Service Edge(SSE)는 사용자,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접근을 제어하고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클라우드 기반 보안 아키텍처이다. Gartner가 정의한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의 보안 구성 요소로, 클라우드 전환과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서 핵심 보안 프레임워크로 자리잡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SE는 Zero Trust 기반 보안 기능(접근 제어, 위협 방어, 데이터 보호)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는 통합 보안 프레임워크이다.구성SWG(Secure Web Gateway), CASB(Cloud Access Security Broker), ZTNA(Zero Trust Network Ac..

Topic 2025.07.01

Cilium

개요Cilium은 고성능, 가시성, 보안을 제공하는 eBPF 기반의 Kubernetes 네트워크 및 보안 플랫폼입니다. 기존 iptables 기반 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의 성능 한계와 복잡성을 해소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네트워크 레벨의 정책 제어, 통신 추적,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ilium은 Linux 커널 기술인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를 기반으로 하여 컨테이너 간의 통신을 제어, 가시화, 보호하는 네트워크 및 보안 인프라입니다.주요 목적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흐름 가시화 및 보안 강화인프라 수준의 Zero Trust 기반 ..

Topic 2025.06.28

Open Policy Agent (OPA)

개요Open Policy Agent(OPA)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제어, 인프라 정책, API 보안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정책 엔진입니다.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정책 실행을 중앙화하지 않고 로컬화함으로써 성능, 확장성, 신뢰성을 모두 확보하는 방식으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공식 프로젝트로 채택되어 다양한 생태계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PA는 Rego라는 선언형 정책 언어를 기반으로 정책을 정의하고 실행하는 경량 엔진으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Kubernetes, Envoy, Terraform 등)에 손쉽게 통합되어 일관된 정책 판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주요 목적접근 제어..

Topic 2025.06.28

CAST (Cloud Attack Surface Reduction)

개요CAST(Cloud Attack Surface Reduction)는 클라우드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에서 노출 가능한 보안 위협 지점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급증하는 멀티클라우드·하이브리드 환경에서 보안 경계를 재정의하고, 자산 식별·접근 통제·구성 최적화를 통해 공격자의 진입점을 구조적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 개념 및 정의CAST는 조직의 클라우드 리소스가 외부 공격자에게 노출되는 경로와 방식(공격 표면, Attack Surface)을 식별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줄이기 위한 통합 전략입니다.공격 표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자산, 포트, API, 인증정보 등CAST의 목적: 무분별한 노출 자산 제거 및 최소 권한 기반 구조 확립적용 대상: IaaS, PaaS, SaaS 전..

Topic 2025.06.25

Google Cloud External Key Manager (EKM)

개요Google Cloud External Key Manager(EKM)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키를 Google Cloud 외부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안 기능입니다. 고객이 소유한 키를 클라우드에 저장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특히 규제 산업(금융, 공공, 헬스케어 등)에서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하며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EKM은 고객이 자체적으로 소유·통제하는 키 관리 시스템(HSM, Key Management Service 등)을 통해 암호화 키를 외부에서 유지한 상태로, Google Cloud 리소스에 대한 암호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외부키 통제 모델: 키는 Google Cloud가 아..

Topic 2025.06.25

Cloud Development Environment (CDE)

개요Cloud Development Environment(CDE)는 클라우드 기반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실행, 테스트, 배포까지 가능한 통합 개발 환경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로컬 개발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협업과 유연성, 확장성을 제공하는 이 혁신적 접근은 DevOps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1. 개념 및 정의CDE는 웹 브라우저 또는 가상화 환경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개발 환경으로, IDE(통합 개발 환경), 빌드 도구, 터미널, CI/CD, 테스트 도구 등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통합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구애받지 않고 일관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개발 생산성과 협업 효율을 극대화한다.2. 특징 항목 Cloud Developme..

Topic 2025.06.22

Information Flow Control (IFC)

개요Information Flow Control(IFC)은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흐르고, 누가 어떤 정보를 접근하고 전달할 수 있는지를 제어하여 정보 유출과 오용을 방지하는 보안 기술이다. 단순한 접근 제어를 넘어서, 민감 정보가 부적절하게 전파되는 경로 자체를 차단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보안 정책을 구현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시스템 내 데이터 흐름을 추적하고 제한하여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기술목적정보 유출, 무단 전파, 권한 없는 사용자 접근 방지분류정적 IFC(Static), 동적 IFC(Dynamic)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현됨IFC는 코드,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수준에서 구현되며 정보의 흐름 경로에 집중한다.2. 특징특징설명전통적 보안 방식과 차이..

Topic 2025.06.19

IOMMU (Input-Output Memory Management Unit)

개요IOMMU(Input-Output Memory Management Unit)는 CPU와 메모리 사이에 존재하는 메모리 관리 장치처럼, I/O 디바이스가 메모리 접근을 할 때 주소를 변환하고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입니다. 특히 DMA(Direct Memory Access)를 사용하는 장치와의 안전한 데이터 통신, 그리고 가상화 환경에서 보안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핵심 기술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I/O 장치가 메인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주소 변환 및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유닛주요 기능주소 변환, 접근 권한 검증, DMA 보호유사 구성MMU(Memory Management Unit)의 I/O 버전IOMMU는 주로 서버, 가상 머신, 고속..

Topic 2025.06.12

CIS Critical Security Controls v8

개요CIS Critical Security Controls v8은 조직이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본 글에서는 최신 버전인 v8의 주요 내용과 실무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정보보호 담당자와 보안 컨설턴트를 위한 심층 가이드를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CIS Critical Security Controls는 보안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선정한 보안 조치들의 모음으로, 위협 대응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구성됨목적공격 표면 감소, 침해 방지, 보안 거버넌스 향상최신 버전v8 (2021년 5월 발표) - 최신 기술 트렌드와 클라우드/모바일 환경 반영조직의 보안 체계를 표준화하고, 가장 위험한 공격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실질적 지침입니다.2. 특징특..

Topic 2025.06.10

PCI DSS v4.0

개요PCI DSS(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4.0은 카드 결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 보안 표준의 최신 버전입니다. 글로벌 결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유연성과 보안 강화를 모두 반영한 구조로, 디지털 트랜잭션이 급증하는 시대에 조직의 보안 역량을 평가하고 향상시키는 핵심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CI DSS는 Visa, MasterCard, American Express 등 주요 카드사가 결성한 PCI SSC(Payment Card Industry Security Standards Council)에서 제정한 표준으로, 카드 소유자 데이터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요구사항입니다.목적: 카드 소유자 정보 보호 및 데이..

Topic 2025.05.21

Security Data Lake / Lakehouse

개요Security Data Lake 및 Lakehouse는 대규모 보안 데이터를 유연하게 수집, 저장, 분석하기 위한 현대적인 데이터 아키텍처입니다. 기존 SIEM(System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통합하고 머신러닝 기반의 위협 탐지 및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보안 운영체제(SOC)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ecurity Data Lake는 다양한 보안 소스로부터 수집된 방대한 로그와 이벤트 데이터를 원시 상태로 저장하는 중앙 저장소이며, Lakehouse는 이를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능을 통합한 진화형 구조입니다.Security Data Lak..

Topic 2025.05.21

ITDR (Identity Threat Detection & Response)

개요ITDR(Identity Threat Detection and Response)는 사용자 및 시스템의 디지털 신원(Identity)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최신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IAM(Identity & Access Management)을 보완하는 기술로, 계정 탈취, 권한 남용, 인증 우회 등의 행위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방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최근 증가하는 클라우드, SaaS 환경에서 신원 기반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ITDR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ITDR은 조직 내 모든 신원(사용자, 서비스, 디바이스 등)에 대한 위협을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공격 행위를 차단하거나 자동 대응 조치를 수행하는 보안 기술입니다.목적: 신원 탈취 ..

Topic 2025.05.21

Attribute-Based Encryption (ABE)

개요Attribute-Based Encryption(ABE)은 사용자 속성(attribute)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개키 암호화 기법입니다. 기존의 ID 기반 암호화 또는 키 기반 접근 제어와 달리, ABE는 “속성 기반 정책”에 따라 암호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산 시스템이나 클라우드 환경에서 유연한 데이터 공유 및 보안 제어에 적합합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설명 정의특정 속성 집합이 부합하는 사용자만 복호화할 수 있는 조건 기반 암호화 방식목적사용자 식별이 아닌 조건 매칭을 통한 유연한 데이터 접근 통제 구현필요성클라우드, IoT, 의료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 공유 환경에서 접근 제어의 확장성 확보2. ABE 유형 비교유형설명특징KP-ABE (Key-Pol..

Topic 2025.05.19

CIEM (Cloud Infrastructure Entitlement Management)

개요CIEM(Cloud Infrastructure Entitlement Management)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 역할, 서비스의 권한을 효과적으로 분석, 관리, 제어하기 위한 클라우드 보안 기술입니다. 특히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무분별하게 확장되는 권한 남용, 과도한 접근 권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와 맞물려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 및 서비스의 접근 권한을 식별, 분석, 최소화하는 보안 관리 체계목적과도한 권한(Over-privilege) 제거 및 최소 권한 원칙 구현필요성IAM 정책의 복잡도, Shadow Admin, 권한 스프롤(Sprawl)로 인한 리스크 증가2. 특징특징설명차별점클라우드..

Topic 2025.05.19

SSO(Single Sign-On)

개요SSO(Single Sign-On)는 사용자가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인증 기술입니다.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며, 특히 SaaS, 클라우드, 기업 내부 시스템을 아우르는 통합 인증 환경 구성에 필수적인 요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하나의 계정 로그인으로 다양한 시스템에 자동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 방식인증 토큰 기반 접근 허용목적인증 절차 간소화, 사용자 편의 증대, 보안 강화패스워드 피로 해소필요성클라우드/SaaS 확산, 사용자 계정 증가정보보안과 업무 효율성 동시 확보SSO는 사용자 경험(UX)과 정보보안(IS)의 접점을 강화합니다.2. 특징특징설명장점단일 인증한 번 로그인으로 다수 시스..

Topic 2025.05.13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개요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은 조직 내 모든 사용자 및 디지털 자원의 접근 권한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제어하는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사용자 인증, 권한 부여, 계정 수명주기 관리 등을 통해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클라우드 환경과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의 필수 기반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사용자와 디지털 자원 간의 접근을 인증 및 권한으로 통제하는 기술 체계인증(Authentication) + 권한부여(Authorization)목적보안성 강화, 계정 오남용 방지, 규제 준수내부자 위협 대응 필수 요소필요성원격근무, SaaS 사용 확대, 개인정보보호 강화제로트러스트 기반 연계 필요IAM은 정보보안과 업무효율의 균형을 위..

Topic 2025.05.13

Policy-as-Code (PaC)

개요Policy-as-Code(PaC)는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배포 파이프라인에 적용되는 보안, 권한, 거버넌스 정책을 선언적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으로 평가 및 적용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는 수동 검토나 문서 기반 정책을 대체하며, CI/CD 파이프라인,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클라우드 인프라 등에서 지속적 정책 준수와 감사 가능성을 보장합니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Open Policy Agent(OPA), Rego, HashiCorp Sentinel, Kyverno, AWS SCP 등이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olicy-as-Code는 정책을 사람이 아닌 시스템이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머신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정의하며, 다음 특징을 가집니다:정책은 코드와 함께 저장소에 버전 관리 가능자동화..

Topic 2025.05.09

Arm CCA (Confidential Compute Architecture)

개요Arm CCA(Confidential Compute Architecture)는 Arm이 제안한 차세대 보안 아키텍처로, 클라우드 및 엣지 환경에서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인프라 관리자까지 신뢰하지 않는 위협 모델을 전제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하드웨어 수준에서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CCA는 **컨피덴셜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을 실현하기 위한 Arm 기반의 핵심 구성 요소로, 세계적인 보안 요구에 대응하는 신뢰 실행 환경(TEE)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Arm CCA는 CPU 내부에 **Realm(영역)**이라는 새로운 실행 환경을 도입하여, 기존 OS와 하이퍼바이저와 완전히 격리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Topic 2025.05.08

SEV-SNP (Secure Encrypted Virtualization - Secure Nested Paging)

개요SEV-SNP(Secure Encrypted Virtualization – Secure Nested Paging)는 AMD가 개발한 차세대 하드웨어 기반 메모리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기술입니다. SEV 시리즈의 최신 기술로, 클라우드 및 멀티테넌트 환경에서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펌웨어까지 신뢰할 수 없는 위협 모델에서도 가상 머신(VM)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강력하게 보장합니다.1. 개념 및 정의SEV-SNP는 기존 SEV/SEV-ES(Encrypted State) 기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VM 메모리를 암호화하는 동시에, 메모리의 무결성(integrity) 및 접근 제어를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한 구조입니다. 하이퍼바이저나 BIOS, 관리자 권한 침해 상황에서도 VM 내 데이터가 보호되도록 ..

Topic 2025.05.08

SPIFFE(Spiffe Identity Foundation)/SPIRE(SPIFFE Runtime Environment) Workload ID

개요SPIFFE(Spiffe Identity Foundation)와 SPIRE(SPIFFE Runtime Environment)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워크로드(workload) 간의 안전하고 표준화된 ID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특히 Workload ID는 인증서 기반의 신뢰 체계를 통해 서비스 간 통신을 암호화하고, 사람 없이 자동화된 신뢰 기반 인증을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SPIFFE/SPIRE의 Workload ID 개념과 기술, 구성 방식, 도입 장점 및 주요 활용 사례를 상세히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Workload ID는 사용자 대신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 VM 등의 워크로드에 부여되는 고유한 디지털 ID입니다. SPIFFE는 이러한 식별을 위한 표준을 정의..

Topic 2025.05.07

Moving Target Defense(MTD)

개요Moving Target Defense(MTD)는 시스템 구성, 네트워크 경로, 실행 환경 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공격자가 취약점을 식별하거나 악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보안 전략입니다. 기존의 정적 방어체계와 달리 MTD는 공격 면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 시도를 무력화합니다. 본 글에서는 MTD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메커니즘, 장점 및 도입 사례를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MTD는 '움직이는 표적 방어' 전략으로,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정적인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자에게 혼란을 주는 보안 접근 방식입니다. 즉, 공격자가 시스템의 내부 구조나 취약점을 탐지하고 악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늘리고, 공격 성공 가능성을 현저히 낮춥니다.2. 특징 특징 설명 기존 ..

Topic 2025.05.07

Quantum-Resistant VPN(양자내성 VPN)

개요Quantum-Resistant VPN(양자내성 VPN)은 양자 컴퓨터가 상용화되었을 때 기존 VPN 통신의 암호 알고리즘이 무력화되는 위험에 대비하여,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PQC) 기반으로 보호되는 차세대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입니다. 이 기술은 향후 양자 공격에 대비한 **장기 데이터 보호(Long-Term Data Security)**와 미래형 네트워크 프라이버시의 핵심이 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양자 컴퓨터의 위협에도 견딜 수 있는 암호화 기술(PQC)을 적용한 가상 사설망(VPN) 통신 시스템목적양자 시대에도 통신 기밀성, 무결성, 인증성을 지속적으로 보장필요성Shor's Algorithm으로 인..

Topic 2025.05.02

CASM(Cloud Attack Surface Management)

개요CASM(Cloud Attack Surface Management)은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자산, 구성 오류, 외부 노출 지점을 지속적으로 식별, 평가, 관리하여 **공격 표면(Attack Surface)**을 최소화하는 보안 전략입니다.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보안 관점으로는 대응이 불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동적 인프라에 특화된 접근 방식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클라우드 환경 내 외부 노출 자산, 취약점, 구성 오류를 지속적으로 식별·분석·완화하는 보안 관리 체계목적클라우드 공격 경로를 사전에 차단하고 실질적 리스크를 최소화필요성멀티클라우드·DevOps·IaC(코드형 인프라) 확산으로 인한 공격 표면 급증 대응 필요CASM은 **CSPM(..

Topic 2025.05.02

DSPM(Data Security Posture Management)

개요DSPM(Data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SaaS, 하이브리드 환경 전반에서 민감 데이터의 위치, 흐름, 접근 권한, 위험 상태를 지속적으로 식별, 평가, 보호하는 전략적 보안 관리 체계입니다. 단순한 저장 데이터 보호를 넘어, 데이터 자체를 보안의 중심에 두고 통합 관리하는 최신 접근 방식으로, GDPR, CCPA 등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제 대응에도 필수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민감 데이터의 위치, 이동, 접근, 위험을 지속적으로 식별 및 보호하는 데이터 중심 보안 관리 체계목적데이터 노출, 권한 오남용, 데이터 무단 이동 등 리스크 최소화필요성데이터가 퍼져 있는 현대 IT 환경에서 "무엇을 보호할지" 명확히 파악하고 방어 필..

Topic 2025.05.01

SSPM(SaaS Security Posture Management)

개요SSPM(SaaS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기업이 사용하는 다양한 SaaS(Software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들의 보안 구성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여, 데이터 노출, 권한 오남용, 설정 오류 등 SaaS 환경 특유의 보안 리스크를 예방 및 대응하는 관리 체계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업무 환경이 확산되면서 SSPM은 현대 기업의 보안 거버넌스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정의SaaS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구성을 지속적으로 평가, 최적화, 모니터링하는 프레임워크 및 솔루션목적SaaS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노출, 권한 과다, 규제 위반 등의 리스크 최소화필요성SaaS 애플리케이션 수 증가에 따른 관리 복잡성과..

Topic 2025.05.01

KSPM(Kubernetes Security Posture Management)

개요KSPM(Kubernetes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 및 워크로드에 대한 보안 구성 최적화, 취약점 관리, 정책 준수 등을 자동화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접근 방법입니다. 빠르게 확산된 쿠버네티스 환경은 복잡성과 함께 새로운 보안 위험을 수반했으며, KSPM은 이러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의 보안 거버넌스를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쿠버네티스 인프라, 클러스터 구성, 워크로드, 네트워크 설정의 보안 상태를 평가하고 최적화하는 관리 체계목적구성 오류, 권한 남용, 네트워크 노출, 취약 컴포넌트 문제를 사전에 식별 및 수정필요성컨테이너화와 DevOps 확산으로 동적이고 복잡한..

Topic 2025.05.01

PTaaS(PenTest as a Service)

개요PTaaS(PenTest as a Service)는 기존 오프라인, 수동 중심의 침투 테스트(Penetration Testing)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여 더 빠르고 유연하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모델입니다. PTaaS는 전통적인 정기 테스트 한계를 넘어, 지속적인 보안 검증과 리스크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현대적 보안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통해 주문형 침투 테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목적민첩한 위협 탐지와 지속적인 보안 취약점 관리 지원필요성빠르게 변화하는 위협 환경과 개발 주기(DevOps)에 맞춘 보안 테스트 필요PTaaS는 종종 버그바운티, 보안 검증 자동화, 리포트 대시..

Topic 2025.04.30

Attack Surface Management (ASM)

개요Attack Surface Management(ASM)는 조직의 외부 노출 자산을 지속적으로 식별, 분석, 모니터링하여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확산, 재택근무 확대로 인해 기업의 공격 표면은 급격히 확장되었고, 이에 따라 ASM은 현대 보안 전략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았습니다. ASM은 사전 예방적 위협 탐지 및 자산 가시성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조직 외부에 노출된 모든 자산과 취약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보안 활동목적공격자가 악용할 수 있는 진입점을 사전에 식별 및 제거필요성IT 자산 복잡성 증가와 위협 환경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 필수ASM은 Shadow IT, Third-party Exposure, Misconfig..

Topic 2025.04.30

Attestation & Remote Attestation

개요Attestation(보증)과 Remote Attestation(원격 보증)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IoT,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장치의 상태가 안전한지, 신뢰 가능한 코드가 실행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검증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이는 하드웨어 기반의 신뢰 루트와 소프트웨어 무결성 보장을 결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Attestation은 장치나 시스템의 상태(예: 펌웨어, OS, 애플리케이션 등)를 제3자가 검증할 수 있도록 증거를 제공하는 과정입니다.Remote Attestation은 이 과정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수행하는 형태로, 신뢰할 수 있는 모듈(TPM, TEE 등)이 측정한 ..

Topic 2025.04.28

SDP(Software Defined Perimeter)

개요Software Defined Perimeter(SDP)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을 기반으로, 인증된 사용자만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경계를 소프트웨어로 정의하는 보안 프레임워크다. 기존의 IP 기반 접근 제어 방식과 달리, SDP는 네트워크 인프라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으며, 접속 전 철저한 인증과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하여 **'보이지 않는 인프라'**를 구현한다.1. 개념 및 정의SDP는 사용자와 리소스 간 연결을 동적으로 설정하며, 접속 시점까지 해당 리소스의 존재를 네트워크 상에서 보이지 않게 만든다.목적: 내부/외부 위협으로부터 리소스를 보호하고, 사용자 기반 접근 제어 실현기반 모델: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 Need-to-Know 원칙핵심..

Topic 2025.04.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