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NIST Zero Trust Architecture (ZTA)

JackerLab 2025. 7. 18. 16:20
728x90
반응형

개요

NIST Zero Trust Architecture(ZTA)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제시한 차세대 사이버 보안 프레임워크로, ‘기본적으로 아무도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는 원칙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한다. 클라우드 확산, 원격 근무 증가, 데이터 분산화 환경에 적합하며, 공격 표면 축소 및 동적 보안 정책 구현이 가능하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 리소스 접근 요청 시 사용자·디바이스·컨텍스트를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보안 아키텍처 모델
목적 외부·내부를 불문하고 네트워크 내 모든 요청을 검증하여 위협을 최소화
필요성 VPN, 경계 기반 방어 한계 극복 및 지속 가능한 보안 전략 수립 요구 대응

2. 특징

특징 설명 전통 보안과의 차이
무조건 불신(default deny) 모든 요청은 신뢰하지 않고 검증부터 시작 전통 모델은 내부 트래픽 신뢰 가정
지속적 인증 및 정책 평가 인증 후에도 지속적 위험 평가 수행 일회성 인증에 의존하지 않음
리소스 단위 보호 네트워크가 아닌 개별 리소스를 보호 대상으로 삼음 전통 보안은 네트워크 단위 경계 설정

ZTA는 네트워크 안과 밖의 경계를 제거하고, ‘리소스 중심 보안’으로 전환한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역할
Policy Enforcement Point (PEP) 트래픽 제어 및 정책 강제 적용 지점 요청 허용/차단 판단 수행
Policy Decision Point (PDP) 정책 평가 및 인증 판단 엔진 ID, 디바이스 상태, 리스크 점수 기반 판단
Trust Algorithm 컨텍스트 기반 신뢰 평가 로직 사용자·디바이스·위치 등 조건 평가
Resource 보호 대상 자산 (앱, 데이터, 서비스 등) 액세스 요청 검증의 대상

구성 요소는 협력적으로 동작하여 실시간 정책 기반 접근 제어를 구현한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관련 기술
Identity & Access Management (IAM) 사용자 인증, MFA, RBAC/ABAC 포함 Okta, Azure AD, Ping Identity
Device Security Posture 디바이스 상태 확인 및 보안 준수 여부 검증 MDM, EDR, UEM 솔루션 연계
Micro-Segmentation 리소스별 경계 설정 Kubernetes Network Policy, SDN
Continuous Monitoring 이상 행위 감지 및 실시간 대응 SIEM, UEBA, XDR

ZTA는 다양한 보안 기술의 조합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책을 적용하고 위협을 탐지한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공격 표면 최소화 내부 위협 포함 모든 경로 검증 lateral movement 차단 가능
정책 중심 제어 정적 접근제어를 동적 평가로 대체 컨텍스트 기반 정책 자동화
클라우드·모바일 친화성 리소스와 사용자 위치 독립적 보안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적합

ZTA는 ‘모두가 위협일 수 있다’는 현실에 대응하는 보안 전략이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설명 고려사항
연방기관 및 공공부문 미국 정부기관은 ZTA 의무화 추세 NIST SP 800-207 참조 준수 필요
원격/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다양한 위치에서 접속하는 직원 보호 디바이스 보안 상태의 정기 평가 필요
멀티클라우드 및 SaaS 클라우드 자산 중심의 리소스 보호 SaaS 간 ID Federation 필수

ZTA 도입 시 조직 내부 프로세스, 기술 인프라, 보안 거버넌스 재설계가 수반된다.


7. 결론

NIST의 Zero Trust Architecture는 변화하는 IT 환경과 위협 지형에 적응하기 위한 근본적 보안 모델이다.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 아래에서 실시간 정책 평가, 지속적 인증, 리소스 단위 보호를 구현함으로써, 공격 표면을 축소하고 보안 수준을 체계화할 수 있다. 클라우드, 원격 근무, IoT 환경에서도 일관된 보안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인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tive Metadata Management (AMM)  (0) 2025.07.18
Data Processing Unit (DPU)  (0) 2025.07.18
PASETO (Platform-Agnostic Security Tokens)  (0) 2025.07.18
gRPC-Web Transport (gRPC-WT)  (0) 2025.07.18
Terramate Stacks (TM-Stacks)  (1) 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