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7/10 13

Delta Lake UniForm

개요빅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 레이크와 데이터 웨어하우스 간의 통합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기술적 과제였습니다. 이 두 환경의 포맷, 성능, 일관성 차이로 인해 조직은 데이터 복제, 이중 저장, ETL 반복 등 많은 비효율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elta Lake는 2023년, UniForm이라는 혁신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Delta Lake UniForm은 Iceberg, Hudi, Parquet 등 다양한 오픈 테이블 포맷과의 메타데이터 호환성을 지원하여, 진정한 One Table, Multi Engine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Delta Lake UniForm은 Delta Lake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오픈 테이블 포맷(Iceberg, Hudi 등)**과..

Topic 2025.07.10

Cold-Plate Liquid Cooling-as-a-Service

개요AI 모델의 대형화, 고밀도 GPU 클러스터,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수요 증가에 따라 데이터센터는 기존 공냉 방식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고열밀도(Higher Heat Density)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는 혁신 기술로 주목받는 것이 **Cold-Plate 기반 액침 냉각(Liquid Cooling)**입니다. 최근에는 이 기술이 **서비스 형태(aaS)**로 제공되는 Cold-Plate Liquid Cooling-as-a-Service(CPLaaS) 모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기술의 개념, 구성, 도입 효과 및 전략적 의의에 대해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Cold-Plate Liquid Cooling은 금속 플레이트 내부를 흐..

Topic 2025.07.10

SRv6 MUP (Mobile User Plane)

개요5G의 확산과 함께 네트워크는 더욱 유연하고 클라우드 중심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통적인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기술이 SRv6 (Segment Routing over IPv6) 기반의 **MUP (Mobile User Plane)**입니다. SRv6 MUP은 모바일 사용자 트래픽(User Plane)을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와 원활하게 통합하며, 네트워크 슬라이싱, 트래픽 엔지니어링, 서비스 체이닝 등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SRv6 MUP (Segment Routing IPv6 Mobile User Plane)**은 3GPP 모바일 사용자 트래픽과 SRv6 데이터 플레인을 결합하여, 모바일 코어와 클..

Topic 2025.07.10

ISO/IEC 42001 “AI Management System”

개요AI의 상용화와 고도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기업은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윤리, 안전, 책임성,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표준회의(IEC)는 조직 차원의 AI 거버넌스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첫 공식 국제 표준인 **ISO/IEC 42001:2023 – AI Management System (AIMS)**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표준은 AI의 윤리적이고 책임 있는 사용을 위해 조직이 갖추어야 할 시스템적 요건을 정의하며, ISO 27001 등의 기존 정보보호 및 품질경영 프레임워크와의 연계도 고려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42001:2023은 조직이 AI 시스템을 안전하고 책임 있게 설계, 개발,..

Topic 2025.07.10

Purple Llama

개요생성형 AI(Generative AI)의 확산에 따라 AI 모델의 안전성(Safety) 및 **보안성(Security)**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Meta가 주도하여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Purple Llama입니다. Purple Llama는 LLM과 멀티모달 AI 시스템의 위험성 평가, 오용 탐지, 출력 검증, 방어 전략을 위한 실용적인 리소스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로, AI 모델의 책임 있는 사용과 배포를 돕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urple Llama는 생성형 AI 시스템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소스 평가/방어 툴킷입니다. Meta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기본 모델 및 응용 시스템의 취약점 평가, 위험 감지 정책 테스트,..

Topic 2025.07.10

GenAI Red-Team Toolkit

개요생성형 AI(Generative AI)의 급속한 확산은 기업과 사회에 혁신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새로운 보안 위협과 공격 벡터를 낳고 있습니다. 특히 AI 시스템의 Prompt Injection, 정보 유출, 모델 탈취, 오용(Misuse) 등은 전통적인 보안 도구로는 감지하거나 방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생성형 AI의 취약점을 식별하고 방어체계를 설계하기 위한 GenAI Red-Team Toolkit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도구는 보안 연구자, AI 엔지니어, 레드팀이 협력하여 모델 기반 공격 시뮬레이션과 방어 검증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실전 툴킷입니다.1. 개념 및 정의GenAI Red-Team Toolkit은 생성형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공격 시나리오 구..

Topic 2025.07.10

Adaptive Fault Injection

개요디지털 서비스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장애는 불가피한 현실이 되었습니다. 이를 사전에 인지하고 복원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가 **Fault Injection(장애 주입)**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시스템의 상태, 부하, 시간대, 서비스 민감도에 따라 지능적으로 주입 전략을 조정하는 Adaptive Fault Injection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고정된 장애 주입과 달리, 실시간으로 위험 요소를 탐지하고 학습하며, 서비스에 맞춤형 테스트를 수행하는 차세대 SRE 및 카오스 엔지니어링 기법입니다.1. 개념 및 정의Adaptive Fault Injection은 사전 정의된 조건, 실시간 메트릭, 머신러닝 모델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에 장애를 동적으로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Topic 2025.07.10

Crossplane Composition Functions

개요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선언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흐름이 강해지는 가운데, Crossplane은 쿠버네티스 기반의 Infrastructure-as-Code(IaC) 및 Control Plane as Code를 실현하는 오픈소스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등장한 Composition Functions 기능은 Crossplane의 선언적 조합(Composition) 기능을 더욱 유연하게 확장시켜주는 고급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보다 정교하고 동적인 리소스 조합, 조건부 논리, 정책 주입 등을 수행할 수 있어, 플랫폼 엔지니어링 팀의 자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rossplane Composition Functions는 기존의 Composition ..

Topic 2025.07.10

Nitro Enclaves-based CICD

개요클라우드 기반의 지속적 통합 및 배포(CI/CD) 환경이 널리 확산됨에 따라, 민감한 데이터(예: 비밀키, 인증서, 고객 정보 등)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안 규제와 내부 통제 기준이 강화되는 산업군(금융, 의료, 공공 등)에서는 기존 CI/CD 파이프라인만으로는 민감 정보 보호가 어렵다는 한계가 지적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신 보안 아키텍처로 주목받는 기술이 바로 AWS Nitro Enclaves 기반의 CI/CD 파이프라인입니다.1. 개념 및 정의Nitro Enclaves는 AWS Nitro Hypervisor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화 격리 실행 환경입니다. Enclave 내에서는 네트워크, 외부 디스크, 관리자 접근 등이 차단되며, 민감 데이터..

Topic 2025.07.10

Platform-Ops Team Topology

개요복잡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과 DevOps 도입의 확산으로 인해, 내부 개발자에게 안정적이고 자율적인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Platform Engineering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조직 구조가 Platform-Ops Team Topology입니다. 이 전략은 ‘내부 플랫폼 팀’을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며, 개발 생산성과 일관된 운영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1. 개념 및 정의Platform-Ops Team Topology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하는 조직 내 기술 운영 구조를 정의한 아키텍처 지침입니다. 이는 개발팀이 자율적으로 코드를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일관된 개발 환경과 ..

Topic 2025.07.10

VSM-Flow Metric

개요디지털 전환의 성공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비즈니스 가치 전달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바로 **VSM(Value Stream Management)**이며, 이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가 Flow Metric입니다. VSM-Flow Metric은 개발 파이프라인 전반의 흐름과 병목을 가시화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유도하며, 고객 중심의 소프트웨어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VSM-Flow Metric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작업 항목이 아이디어에서 고객 가치로 전달되는 전 과정을 추적하고 측정하는 정량 지표입니다. 이는 단순한 속도 측정이 아니라, **흐름(Flow)**의 효율성과 비즈니스 가치 전달 능력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Topic 2025.07.10

Digital Capability Maturity Model (DCMM v2)

개요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입니다. 하지만 기업의 디지털 성숙도는 제각기 다르며, 이에 따라 효과적인 로드맵 수립과 투자 우선순위 설정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Digital Capability Maturity Model(DCMM)**이며, 그 최신 버전인 DCMM v2는 보다 정교하고 통합적인 디지털 역량 진단과 개선 방향 제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CMM v2는 조직의 디지털 역량을 6개 영역, 5단계 수준(Level)으로 평가하여 디지털 전환의 현재 상태와 향후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성숙도 평가 모델입니다. 이는 전략, 기술, 조직문화, 고객 중심성 등 다양한 요..

Topic 2025.07.10

Modular Monolith

개요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가 대세로 자리 잡은 가운데, 여전히 많은 조직이 복잡성과 운영 부담으로 인해 전체 시스템을 MSA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Modular Monolith는 단일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내부를 명확히 모듈화하여 유연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 아키텍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초기 단계의 제품이나 MSA로 전환하기 전 중간 단계 전략으로 이상적인 설계 방식입니다.1. 개념 및 정의Modular Monolith는 하나의 배포 단위로 구성된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도메인 기반의 모듈로 강하게 분리되어 있는 아키텍처입니다. 이는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프로세스로 실행되지만, 논리적으로는 독립성과 경계를 갖춘 ..

Topic 2025.07.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