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7/11 13

Developer Self-Service Portal (DSP) Blueprint

개요디지털 서비스의 빠른 출시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시대, 개발자들이 인프라, 배포, 권한 요청 등 비핵심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면 이는 명백한 병목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Developer Self-Service Portal(DSP)**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DSP는 개발자가 보안과 거버넌스 아래에서 원하는 리소스를 자율적으로 요청·생성·배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이며, DevOps와 Platform Engineering의 핵심 구현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SP의 구성 요소, 설계 전략, 기대 효과에 대해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Developer Self-Service Portal(DSP)**는 개발자가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리소..

Topic 2025.07.11

Outcome-Driven Kanban (ODK)

개요기존 칸반(Kanban)은 업무 시각화와 WIP(Work In Progress) 제한을 통해 프로세스 개선과 흐름의 효율을 증진하는 Lean 기반의 대표적인 애자일 실천 기법입니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 제품 개발 환경은 단순한 효율 개선을 넘어서, 비즈니스 가치(Outcome) 중심의 우선순위 정렬과 실행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니즈에 대응해 등장한 것이 바로 **Outcome-Driven Kanban(ODK)**입니다. ODK는 단순한 작업 흐름 중심에서 벗어나, 결과(Outcome) 기반 흐름과 측정 가능한 가치 전달에 초점을 맞춘 차세대 칸반 전략입니다.1. 개념 및 정의**Outcome-Driven Kanban(ODK)**은 전통적인 칸반 보드 상의 "할 일 → 진행 중 → 완료" 구조..

Topic 2025.07.11

Staff-Plus Engineering Career Track

개요기술 기반 조직의 성장과 함께 엔지니어링 리더십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관리자(Manager)가 아닌 기술 전문가로서의 수직 성장 경로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이를 구조화한 제도인 Staff-Plus Engineering Career Track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트랙은 단순한 시니어 개발자 단계를 넘어서, 조직 영향력, 아키텍처 리더십, 기술 비전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관리자형 기술 리더십 체계입니다.1. 개념 및 정의Staff-Plus는 조직 내 엔지니어가 People Management가 아닌 Technical Leadership을 중심으로 승진할 수 있는 Parallel Career Track입니다. 이 경로는 보통 다음과 같은 직함으로 구성됩니다:St..

Topic 2025.07.11

Digital Operating Rhythm (DOR)

개요디지털 전환이 조직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시대, 단순한 프로젝트 중심의 운영으로는 전략 실행과 민첩한 대응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Digital Operating Rhythm(DOR)**입니다. DOR은 디지털 조직이 전략-실행-피드백-조정의 선순환을 일정한 리듬과 구조로 반복함으로써, 디지털 민첩성과 전략 일관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운영 체계입니다. 특히 OKR, KPI, 워크플로우, 거버넌스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조직 운영 메타프레임워크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igital Operating Rhythm(DOR)**은 디지털 조직이 전략과 실행 간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반복 가능하고 구조화된 리듬 기반 운영 주기를 도입..

Topic 2025.07.11

Carbon-Aware Routing

개요클라우드 트래픽과 데이터 전송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 인프라 역시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만큼이나 중요한 기준으로 부상한 것이 바로 **탄소 인식(Carbon-Aware)**입니다. Carbon-Aware Routing은 네트워크 트래픽 경로를 결정할 때, 전통적인 성능 중심의 기준뿐 아니라 **지역별 탄소 배출 계수(Carbon Intensity)**를 고려해 저탄소 경로로 트래픽을 우선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탄소중립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arbon-Aware Routing은 트래픽이 흐르는 경로를 결정할 때 노드 또는 리전별 전력의 탄소 배출량 정보를 실시간 반영하여, 상대적..

Topic 2025.07.11

SQL-DSL

개요현대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데이터 접근 계층은 단순한 CRUD를 넘어 복잡한 동적 쿼리 구성, 유지보수성, 보안성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SQL-DSL (SQL Domain Specific Language)**입니다. SQL-DSL은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서 SQL 구문을 안전하고 가독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도메인 특화 언어(DSL)**로, 특히 ORM의 한계를 넘어서면서도 SQL의 표현력을 유지하는 전략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QL-DSL은 일반적인 SQL 구문을 코드 레벨에서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내장형 또는 외부형 DSL 구조입니다. Java, Kotlin, Scala, TypeScript, Py..

Topic 2025.07.11

Continuous Resilience Testing (CRT)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확산은 시스템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여주었지만, 동시에 복잡성과 장애 위험성도 증가시켰습니다. 이제는 단순한 단위 테스트나 모니터링만으로는 장애에 대비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접근 방식이 **Continuous Resilience Testing (CRT)**입니다. CRT는 운영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시스템 회복력(Resilience)을 테스트하고, 장애에 대한 자동 대응력을 강화하는 차세대 Chaos Engineering 전략입니다.1. 개념 및 정의Continuous Resilience Testing은 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을 주기적·자동화 방식으로 검증하는 운영 중심 테스트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단순히 장애를 유발하..

Topic 2025.07.11

Chainguard Images

개요소프트웨어 공급망(Supply Chain)의 취약점이 보안 위협의 주요 경로로 부상하면서, 컨테이너 이미지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DevSecOps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공격자는 라이브러리, 베이스 이미지, 종속성 등 공급망 내부 구성요소를 악용하여 Build-Time 또는 Runtime 시점에서 침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솔루션이 바로 Chainguard Images입니다. 이는 불필요한 구성요소가 제거된 미니멀(Minimal), 무 루트(Non-root), 서명된(Signed) 컨테이너 이미지로, 기업의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체계를 강화하는 데 최적화된 형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hainguard Images는 Chainguard Inc.에서 제..

Topic 2025.07.11

Micro-Frontend Module Federation

개요웹 애플리케이션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프론트엔드 개발도 백엔드처럼 모듈화와 분산 아키텍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패턴이 바로 Micro-Frontend입니다. 특히 Webpack 5에서 도입된 Module Federation 기능은 독립된 팀이 개발한 프론트엔드 모듈을 런타임에서 동적으로 통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구현을 획기적으로 단순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Micro-Frontend Module Federation의 개념, 구성, 장점과 적용 전략을 체계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Micro-Frontend는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독립된 모듈로 분할하고, 각 모듈을 개별 팀이 독립적으로 개발·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아키텍..

Topic 2025.07.11

5-Scale Pulse

개요생성형 AI의 도입이 전 산업에 걸쳐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조직은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내재화된 역량, 문화,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개선해야 할 필요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등장한 평가 모델이 바로 5-Scale Pulse입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AI 전략 실행 수준을 **5가지 핵심 축(Scale)**을 기준으로 진단하고, 각 축을 1~5단계로 성숙도 스코어링하는 방식으로 조직의 생성형 AI 도입 현황과 개선 로드맵을 명확히 합니다.1. 개념 및 정의5-Scale Pulse는 생성형 AI를 조직 내에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운영하기 위한 핵심 역량을 다음 다섯 가지 축으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로 현재 상태를 5단계 성숙도로 진단하는 다차원 성숙도 측정 모델입니다..

Topic 2025.07.11

5 Pillars

개요생성형 AI가 폭넓게 확산되면서 그 영향력은 기술 영역을 넘어 사회, 경제, 윤리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과 기관은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책임 있는 기술 주체로 다루기 위한 새로운 기준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5 Pillars”**입니다. 이는 AI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5가지 핵심 원칙 또는 기둥(Pillars)**을 정의하는 프레임워크로, 글로벌 기술 기업과 학계, 정책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채택되며 널리 논의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5 Pillars는 생성형 AI를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개발·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다섯 가지 핵심 가치 또는 실천 원칙을 구조화한 개념입니다. 보통 다음 다섯 ..

Topic 2025.07.11

FOCUS Spec

개요AI 모델의 규모와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단순한 기술 성능을 넘어서 **책임성(Accountability), 투명성(Transparency), 안전성(Safety)**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신뢰 가능한 공개 프레임워크와 검증 기준의 부재는 도입의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Meta AI, MLCommons, Hugging Face 등 주요 기관들이 협력해 제안한 것이 바로 **FOCUS(Frontier Open-Compute Unified Specification)**입니다. FOCUS Spec은 생성형 AI 시스템의 개발 및 배포 시 필수적인 기술·윤리적 속성을 명시하는 **공개 사양(Specification)..

Topic 2025.07.11

Carbon-Aware GPU Scheduler

개요AI 연산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GPU 자원의 사용량도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막대한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이 글로벌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AI 트레이닝 및 추론 작업에 사용되는 GPU 스케줄링에 대한 에너지 효율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Carbon-Aware GPU Scheduler입니다. 이 기술은 탄소 배출량 예측 및 저탄소 전력 시간대 인지를 통해 AI 워크로드의 실행 시점과 위치를 최적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Carbon-Aware GPU Scheduler는 AI 트레이닝 및 추론 워크로드를 탄소 배출량이 적은 시간대/지역에 우선 배치하거나, 탄소 인식 기준에 따..

Topic 2025.07.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