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테스트 주도 개발 4

YAGNI(You Aren’t Gonna Need It)

개요YAGNI(You Aren’t Gonna Need It)는 애자일(Agile) 개발과 XP(eXtreme Programming)의 대표 원칙 중 하나로, “지금 당장 필요하지 않은 기능은 만들지 않는다”는 철학을 의미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미리 구현하는 것은 기술 부채와 유지보수 부담을 초래할 수 있으며, YAGNI는 이를 방지하고 핵심 가치 중심의 개발 문화를 유도합니다. Lean, TDD, DevOps와도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개발 효율성과 민첩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YAGNI는 “너는 그것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미래를 대비한 기능은 실제로 필요할 때 구현해야 한다는 개발 원칙입니다.목적개발 범위를 명확히 하고, 리소스 낭..

Topic 2025.06.05

Clean Code(클린 코드)

개요Clean Code(클린 코드)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의 ‘동작’만큼이나 ‘가독성’과 ‘명확성’을 중시하는 개발 철학입니다. 로버트 C. 마틴(Robert C. Martin)의 동명의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유지보수성과 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코드 작성을 목표로 합니다. 클린 코드는 단지 코드 스타일 가이드를 넘어서,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사고방식과 습관을 포함합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정의클린 코드는 이해하기 쉽고, 변경하기 쉬우며, 의도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코드입니다.목적개발 생산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협업 효율 증대필요성기술 부채를 줄이고, 신규 개발자도 쉽게 이해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함2. 특징항목설명효과명확한 명명함수, 변수명은 역할을 정확히 표현읽는 사람의 이해..

Topic 2025.06.05

페어 프로그래밍 vs 핑퐁 프로그래밍

개요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협업은 코드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페어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과 **핑퐁 프로그래밍(Ping-Pong Programming)**은 팀원이 함께 코드를 작성하면서 상호 피드백을 제공하는 협업 개발 기법이다. 두 방식은 유사한 목표를 가지지만, 적용 방식과 역할 분배에서 차이가 있다. 본 글에서는 페어 프로그래밍과 핑퐁 프로그래밍의 개념,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활용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1. 페어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이란?페어 프로그래밍은 두 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컴퓨터에서 함께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 방법으로, XP(eXtreme Programming)의 핵심 기법 중 하나이다.✅ 한 명이 코드를 ..

Topic 2025.03.19

테스트 주도 개발(TDD, Test-Driven Development)

개요테스트 주도 개발(TDD, Test-Driven Development)은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 후, 이를 통과하는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 품질을 높이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며,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TDD의 개념과 핵심 원칙, 프로세스, 장점 및 실제 적용 방법을 살펴봅니다.1. 테스트 주도 개발(TDD)이란?TDD는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은 빠른 피드백을 제공하고, 기능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1.1 TDD의 주요 목적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자동화된 테스트를 통해 코드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보..

Topic 2025.03.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