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G 16

ETSI MEC (Multi-access Edge Computing)

개요5G 및 IoT의 급속한 확산은 네트워크 트래픽과 지연 시간 문제를 야기하며, 이에 따라 중앙 집중형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한계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Multi-access Edge Computing(MEC)**이며, ETSI(유럽 전기통신표준협회)는 이를 위한 국제 표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ETSI MEC의 개념, 아키텍처 구성, 기술적 특성, 주요 활용 사례 등을 상세히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ETSI MEC는 사용자 또는 기기에 가까운 네트워크 엣지에서 데이터 처리와 응용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반의 엣지 컴퓨팅 프레임워크입니다.MEC = Multi-access Edge ComputingETSI ISG MEC: MEC ..

Topic 2025.06.18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개요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는 전통적으로 하드웨어 기반으로 운영되던 방화벽, 라우터, 로드밸런서 등의 네트워크 기능을 가상화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와 결합하여 5G, 엣지 컴퓨팅 등 최신 통신 인프라의 핵심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네트워크 기능을 전용 하드웨어에서 분리하여 가상 머신/컨테이너 상에서 실행하는 기술ETSI 표준 기반 운영목적유연한 확장성, 비용 절감, 신속한 서비스 배포하드웨어 종속성 제거필요성5G, IoT, 엣지 시대의 빠른 트래픽 변화 대응기존 물리 네트워크 한계 극복NFV는 물리 인프라의 경계를 허무는 네트워크 진화 전략입니다.2. 특징특징설명장점기능..

Topic 2025.05.12

HSS(Home Subscriber Server)

개요HSS(Home Subscriber Server)는 LTE 및 5G 통신망에서 가입자 정보와 인증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핵심 네트워크 컴포넌트입니다. HSS는 가입자의 인증(Authentication), 위치(Location), 정책 제어(Policy Control) 기능을 담당하며,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5G 시대에는 UDM(User Data Management)으로 진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HSS는 이동통신망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입자 프로파일, 인증정보, 정책 제어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목적이동성 관리, 인증 및 서비스 정책 적용 지원필요성가입자 수 증가 및 서비스..

Topic 2025.04.29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개요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여러 개의 서로 직교하는(Orthogonal) 하위 반송파(Sub-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디지털 다중화 기술이다. 이 방식은 대역폭 효율성과 멀티패스 간섭 저항성이 뛰어나 LTE, Wi-Fi, 5G, 디지털 방송(DVB-T)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널리 활용된다. 본 포스트에서는 OFDM의 개념, 기술 원리, 구성 요소, 장단점 및 활용 사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1. 개념 및 정의OFDM은 데이터를 다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Sub-carriers)에 나누어 병렬 전송하는 방식으로, 각 반송파는 서로 직교(orthogonal)하므로 주파수 간 간섭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높은 스펙트럼 ..

Topic 2025.04.25

길더의 법칙(Gilder’s Law)

개요길더의 법칙은 통신 네트워크의 핵심 자원인 **대역폭(Bandwidth)**이 시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원리를 제시한 이론입니다. 이는 무어의 법칙이 처리 능력의 증가를 예측했다면, 길더의 법칙은 데이터 전송 능력의 비약적 향상을 설명하며, 인터넷, 클라우드, 5G, IoT 발전의 핵심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길더의 법칙(Gilder’s Law)은 기술 미래학자 조지 길더(George Gilder)가 제안한 개념으로, 네트워크 용량이 지속적으로 확장되며 정보 사회의 성장을 견인한다는 내용입니다.정의: 네트워크의 대역폭은 해마다 3배 이상 증가한다.비교 개념: 무어의 법칙이 CPU 성능의 18~24개월마다 2배 향상을 말한다면, 길더의 법칙은 네트워크 처리 속도와 용량..

Topic 2025.04.19

SDR(Software Defined Radio)

개요SDR(Software Defined Radio)은 하드웨어가 담당하던 전통적인 무선 통신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무선 표준과 주파수 대역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여러 통신 방식(AM/FM, LTE, 5G, 위성 통신 등)을 실행할 수 있어, 민간/군용 통신, IoT, 위성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ftware Defined Radio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조, 복조, 인코딩, 디코딩 등의 핵심 처리 과정을 소프트웨어로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에는 이 기능들이 전용 칩셋이나 하드웨어 모듈에서 구현됐지만, SDR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

Topic 2025.04.19

OpenFlow

개요OpenFlow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핵심 구성 요소로, 데이터 플레인과 제어 플레인을 분리하여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장비의 제어를 중앙 컨트롤러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연하고 프로그래머블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해졌으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5G 백본 네트워크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penFlow는 SDN 구조에서 스위치와 컨트롤러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입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에서는 스위치가 자체적으로 패킷을 처리하지만, OpenFlow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패킷 처리 정책을 컨트롤러가 내려주고, 스위치는 단순히 데이터 전달만 수행합니다..

Topic 2025.04.19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개요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는 오류 정정 기술(FEC: Forward Error Correction)과 재전송 요청 기술(ARQ: Automatic Repeat reQuest)을 결합한 고신뢰 통신 기법입니다. 단순한 오류 검출 후 재전송이 아닌, 부분적으로 손상된 데이터도 복원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효율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강화합니다. LTE, 5G, 위성 통신 등 고속 고품질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H-ARQ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FEC를 적용하여 일정 수준의 오류는 수신 측에서 복원 가능하도록 하고, FEC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에만 **재전송 요청(ARQ)**을 수행합니다.이로 인해 패킷 손실률이 높거나 지연이 큰 네트..

Topic 2025.04.19

Adaptive ARQ

개요Adaptive ARQ(Adaptive Automatic Repeat reQuest)는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라 오류 제어 방식(Stop-and-Wait, Go-Back-N, Selective Repeat)을 동적으로 전환하여 최적의 전송 성능을 제공하는 지능형 ARQ 기법입니다. 고정된 방식이 아닌, 실시간 통신 품질, 지연, 오류율에 따라 전송 정책을 유연하게 바꿀 수 있어, 특히 변동성이 큰 무선 네트워크나 위성 통신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1. 개념 및 정의Adaptive ARQ는 전송 중 수신 상태, 오류율, 대기 시간 등의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ARQ 방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오류 제어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Hybrid ARQ(HARQ)**와 유사하지만, 더 높은 수준의..

Topic 2025.04.19

컨버전스 IoT(Convergence IoT)

개요컨버전스 IoT(Convergence IoT)는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다른 기술 또는 산업과 융합(Convergence)하여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창출하는 차세대 디지털 전략입니다. 단순한 센서 네트워크나 데이터 수집을 넘어,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5G, 엣지컴퓨팅 등의 기술과 융합되어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헬스케어 등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컨버전스 IoT는 다양한 기술(Information, Operational, Communication)의 융합을 통해 IoT 데이터를 분석·활용하며, 실시간 대응성과 예측 기능을 갖춘 지능형 인프라를 구성하는 개념입니다.핵심 목적:이기종 기술·플랫폼 간 통합산업 자동화와 지능형 대응 구현데이터 기반 실시..

Topic 2025.04.05

AI 엣지 오프로딩(ML Edge Offloading)

개요AI 엣지 오프로딩(ML Edge Offloading)은 엣지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머신러닝(ML) 연산을 클라우드 또는 다른 고성능 컴퓨팅 리소스로 분산하여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는 엣지 AI의 연산 부담을 줄이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최적화하는 데 활용되며, 5G, IoT, 스마트 공장, 자율 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AI 엣지 오프로딩의 개념, 주요 특징, 활용 사례, 장점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AI 엣지 오프로딩이란?AI 엣지 오프로딩은 엣지 디바이스(Edge Device)에서 머신러닝 모델을 실행할 때, 일부 연산을 클라우드나 근처 고성능 서버로 오프로딩(Offloading)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로컬 장치의 ..

Topic 2025.03.23

비직교 다중접속(NOMA)

개요비직교 다중접속(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은 5G 및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다중접속 기술이다. 기존의 직교 다중접속(OMA) 방식과 달리, NOMA는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을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할당하여 스펙트럼 효율을 극대화한다. 본 글에서는 NOMA의 개념, 동작 원리, 장점과 단점,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비직교 다중접속(NOMA)란?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기존 OMA(Orthogonal Multiple Access) 방식에서는 사용자 간 자원을 분할하여 할당했지만, NOMA는 전력 ..

Topic 2025.03.21

MEC (Mobile Edge Computing)

개요MEC(Mobile Edge Computing, 모바일 엣지 컴퓨팅)는 데이터를 중앙 클라우드가 아닌 네트워크 엣지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5G 네트워크와 결합하여 초저지연(low latency) 성능을 제공하며,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실시간 스트리밍, AIoT(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MEC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보안 이슈 및 미래 전망을 살펴봅니다.1. MEC란 무엇인가?MEC는 기존의 클라우드 컴퓨팅과 달리,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사용자와 가까운 엣지 노드(Edge Node)에서 처리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5G 및 IoT 기반..

Topic 2025.03.08

5G 네트워크

개요5G(5th Generation) 네트워크는 이전 세대(4G LTE)보다 빠른 속도, 낮은 지연 시간, 대량 연결을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이다. 5G는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원격 의료 등 다양한 산업을 혁신하고 있으며, 초고속 데이터 전송과 안정적인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글에서는 5G의 개념, 주요 특징,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5G 네트워크란?5G는 이동통신 기술의 5세대(5th Generation)로, 기존 4G LTE보다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낮은 지연 시간, 네트워크 용량 증가를 제공한다. 이는 mmWave(밀리미터파), MIMO(다중 안테나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

Topic 2025.03.03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기술

개요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기술은 차량과 주변 환경 간 실시간 데이터를 교환하여 교통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자율주행차, 커넥티드 카, 스마트 시티 인프라에 필수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글에서는 V2X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V2X란?V2X(Vehicle-to-Everything)는 차량과 다른 차량,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의미하는 기술로,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교환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V2X의 주요 구성 요소:V2V(Vehicle-to-Vehicle): 차량 간 직접 통신하여 교통 사고 방지 및 도로 안전성 향상V2I(Vehicle-to-Infrastruc..

Topic 2025.02.25

Edge Computing 및 Fog Computing

개요클라우드 컴퓨팅이 대중화됨에 따라 데이터 처리 속도와 실시간 응답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를 네트워크의 말단에서 수행하는 Edge Computing(엣지 컴퓨팅) 및 Fog Computing(포그 컴퓨팅)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본 글에서는 두 기술의 개념, 차이점, 장점과 단점, 주요 사례, 그리고 미래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1. Edge Computing(엣지 컴퓨팅) 이란?Edge Computing은 데이터를 중앙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 근처(edge)에서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스마트 센서, 모바일 장치 등에서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특징:데이터 처리를 네트워크 ..

Topic 2025.02.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