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PLS 5

SR-MPLS (Segment Routing over MPLS)

개요SR-MPLS(Segment Routing over MPLS)는 기존 MPLS 인프라를 활용하여 라우팅 경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세대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RSVP-TE와 달리 네트워크 내 상태 정보를 최소화하고, 라우팅 경로를 소스 노드에서 정의하여 제어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SR-MPLS는 Segment Routing(SR) 아키텍처를 MPLS 네트워크에 적용한 방식으로, 라벨 스택을 통해 경로 정보를 전달합니다.Segment: 네트워크 내 경로 단위 요소로, SID(Segment Identifier)를 통해 정의됨Source Routing: 경로 전체를 패킷 헤더에 포함시켜 중간 노드 상태 없이 경로 제어 가능MPLS 라벨 스택 기반:..

Topic 2025.06.01

MPLS TE(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raffic Engineering)

개요MPLS TE(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raffic Engineering)는 대규모 IP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흐름을 최적화하고, 경로를 제어하며,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입니다. 기존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공하지 못하는 경로 제어, 대역폭 예약, 지연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MPLS TE는 레이블 스위칭(MPLS) 기술을 기반으로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확장 기능입니다.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패킷 전송 시 목적지 IP가 아닌 라벨 기반으로 경로를 결정TE(Traffic Engineering):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

Topic 2025.06.01

DetNet (Time-Sensitive Networking)

개요DetNet(Deterministic Networking)은 Time-Sensitive Networking(TSN) 기술을 기반으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산업 제어, 자율주행, 5G 백홀, 실시간 금융 거래 등 초정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분야에서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시간 민감형 데이터 흐름을 위해 고정 지연(Low and Bounded Latency), 낮은 패킷 손실, 고신뢰성을 제공하는 네트워킹 기술 및 표준목적중요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지연 없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보장필요성기존 IP 기반 네트워크가 제공하지 못하는 초정밀 통신 요건 충족DetNet은 IP/MPLS 네트워크에서도 TSN..

Topic 2025.05.03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요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는 네트워크 패킷에 라벨(Label)을 부착해 전통적인 IP 라우팅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기업용 전용회선, 금융기관, 통신사업자, 데이터센터 간 연결 등에서 고속성과 품질 보장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한 핵심 네트워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MPLS는 IP 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라벨을 부착하여, 패킷 내용 분석 대신 라벨 기반 전송 경로 결정으로 전송 속도와 경로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OSI 7계층의 **2.5 계층(Layer 2.5)**에 해당하는 기술로, L2와 L3 사이의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핵심 특징:경로 기반 전송 (Lab..

Topic 2025.04.05

QoS(Quality of Service)

개요QoS(Quality of Service)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트래픽 유형 간에 우선순위를 정하고, 대역폭(Bandwidth), 지연시간(Latency), 손실률(Packet Loss)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특히 음성 통화(VoIP), 화상회의, 스트리밍 서비스, 산업 제어 시스템 등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QoS의 개념, 작동 원리, 구성 요소, 설정 방식, 활용 사례 등을 실무적으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QoS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류하고 관리함으로써 특정 트래픽의 품질을 보장하고, 전체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입니다.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는 패킷..

Topic 2025.04.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