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QUIC 6

MASQUE(Multiplexed Application Substrate over QUIC Encryption)

개요MASQUE(Multiplexed Application Substrate over QUIC Encryption)는 QUIC 프로토콜 위에서 HTTP 요청을 터널링하거나 UDP 트래픽을 프록시할 수 있도록 설계된 IETF 기반의 확장 프로토콜이다. HTTP/3와 QUIC의 성능과 보안을 기반으로, VPN, 프록시, 트래픽 우회 등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에 최적화된 전송 기술을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HTTP/3 기반으로 QUIC 연결 위에서 다중 터널을 생성하여 다양한 트래픽을 프록시하는 전송 확장 프로토콜표준화IETF MASQUE Working Group 주도, RFC 초안 진행 중기반 프로토콜QUIC (UDP 기반) + HTTP/3MASQUE는 VPN/프록시 트래픽을 감추기 위한..

Topic 2025.06.21

QUIC Datagram

개요QUIC Datagram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 QUIC 위에서 동작하는 비연결형(non-reliable), 순서 미보장, 지연 최소화 전송 방식을 제공하는 확장 기능이다. HTTP/3, WebTransport, WebRTC 등의 실시간·저지연 애플리케이션에서 TCP 기반 연결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유연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QUIC 전송 계층 위에서 동작하며 순서 보장 없이 빠르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확장 기능목적실시간 통신, 미디어 스트리밍, 게임 등에서 지연 최소화와 복원력 향상표준화 주체IETF QUIC Working Group (RFC 9221)QUIC Datagram은 TCP 스트림의 헤드 오브 라인 블로킹 문제를 회피하며, ..

Topic 2025.06.21

HTTP/3 QPACK

개요QPACK은 HTTP/3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헤더 압축 방식으로, QUIC 기반의 전송 특성을 반영하여 지연 없이 빠르고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 HTTP/2에서 사용되던 HPACK의 한계를 극복하고, 헤더 블로킹 문제를 해결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킵니다. 본 글에서는 QPACK의 작동 원리, 기술적 특징, HTTP/3와의 통합 구조, 실무 적용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HTTP/3에서 사용되는 헤더 필드 압축 알고리즘으로, QUIC의 병렬성 특성을 고려해 설계됨도입 목적헤더 블로킹 방지 및 다중 스트림 처리 최적화기반 프로토콜HTTP/3 (QUIC 위에서 동작)QPACK은 성능과 보안을 동시에 고려하여 설계된 차세대 헤..

Topic 2025.06.11

Stateless Reset

개요Stateless Reset은 QUIC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보안 중심의 연결 종료 방식으로, 서버가 세션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도록 설계된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연결 정보가 만료되었거나 세션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었을 때 리소스를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특히 DDoS 대응, 리소스 최적화, 보안성을 고려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tateless Reset은 서버가 세션 상태 정보를 보존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대해 암호화된 ‘리셋 토큰’을 반환함으로써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입니다.목적세션 상태가 사라진 상황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연결을 정리..

Topic 2025.05.15

BBRv2 (Bottleneck Bandwidth and Round-trip propagation time version 2)

개요BBRv2는 Google이 개발한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 BBR의 두 번째 버전으로, 기존 BBR의 한계를 보완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공정성과 안정성을 개선한 진보된 알고리즘입니다. 네트워크 병목 대역폭과 왕복 시간(RTT)을 기반으로 전송 속도를 계산하는 BBRv2는 TCP, QUIC 등의 전송 프로토콜에서 활용되며, 특히 대역폭이 크고 지연이 중요한 환경에서 성능이 탁월합니다. 본 글에서는 BBRv2의 핵심 개념, 기술 구성, 동작 방식, 장점, 활용 사례를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BBRv2는 RTT와 병목 대역폭을 기반으로 전송률을 계산하는 Google의 혼잡 제어 알고리즘 BBR의 개선된 버전입니다.목적공정성 개선, 패킷 손실 최소화, 다양한 RTT ..

Topic 2025.05.14

Multipath QUIC (MP-QUIC)

개요Multipath QUIC(MP-QUIC)는 기존 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 프로토콜을 확장한 형태로, 하나의 연결에서 여러 네트워크 경로(path)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송 계층 기술입니다. MP-QUIC는 모바일 환경, 고속 네트워크, IoT 등에 적합한 고신뢰·고성능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 TCP나 단일 경로 QUIC의 한계를 극복합니다. 본 글에서는 MP-QUIC의 개념, 동작 방식, 기술 구조, 장점과 실제 적용 사례를 포함한 통찰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MP-QUIC는 QUIC 프로토콜 위에서 여러 네트워크 경로(예: Wi-Fi + LTE)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IETF 표준화 확장 프로토콜입니..

Topic 2025.05.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