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QoS 10

MPLS TE(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raffic Engineering)

개요MPLS TE(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raffic Engineering)는 대규모 IP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흐름을 최적화하고, 경로를 제어하며,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입니다. 기존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공하지 못하는 경로 제어, 대역폭 예약, 지연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MPLS TE는 레이블 스위칭(MPLS) 기술을 기반으로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확장 기능입니다.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패킷 전송 시 목적지 IP가 아닌 라벨 기반으로 경로를 결정TE(Traffic Engineering):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

Topic 2025.06.01

BGP FlowSpec

개요BGP FlowSpec은 기존의 BGP(Border Gateway Protocol)를 확장하여, 트래픽 필터링 및 제어 정책을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DDoS 공격 대응, 트래픽 리디렉션, QoS 정책 적용 등에 활용되며, 운영자에게 높은 민첩성과 자동화된 대응 수단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BGP FlowSpec은 RFC 5575 및 그 후속 문서들에 의해 정의된 BGP의 확장 기능으로, IP 트래픽의 조건부 필터링 정책을 NLRI(Network Layer Reachability Information)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반적인 BGP 경로 전파 방식과 유사하지만, 목적지는 IP prefix가 아니라 **트래픽 패턴(예: 특정 포트, 프..

Topic 2025.05.17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개요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5G Core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세션(PDU 세션)을 생성, 수정,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제어 기능입니다. IP 주소 할당, QoS 정책 적용, UPF(User Plane Function) 선택 및 제어 등 데이터 흐름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는 기능으로, 5G 네트워크 품질과 유연성 확보의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비고정의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세션 관리를 위한 제어 기능PDU 세션 단위로 처리 수행목적안정적인 데이터 통신 경로 확보 및 정책 적용사용자 경험 향상 목표필요성5G는 서비스 기반 설계와 높은 트래픽 유동성 요구AMF와 연계하여 동작SMF는 데이터 평면과 제어 평면을 연결하는 핵심 지점..

Topic 2025.05.13

SDS(Software Defined Storage)

개요SDS(Software Defined Storage)는 스토리지 하드웨어와 제어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스토리지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술 아키텍처입니다.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스토리지 자원을 통합·가상화하여 효율적이고 유연한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인프라, 컨테이너 환경 등에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DS는 기존 스토리지 시스템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운영되던 방식과 달리, 스토리지 기능(프로비저닝, 복제, 스냅샷, 백업, 캐싱 등)을 중앙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제어하는 구조입니다.스토리지 장비는 단순 저장 장치로 동작하고, 실제 정책 설정, 데이터 관리, 자동화 제어 등은 SDS 소프트웨어..

Topic 2025.04.19

Adaptive ARQ

개요Adaptive ARQ(Adaptive Automatic Repeat reQuest)는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라 오류 제어 방식(Stop-and-Wait, Go-Back-N, Selective Repeat)을 동적으로 전환하여 최적의 전송 성능을 제공하는 지능형 ARQ 기법입니다. 고정된 방식이 아닌, 실시간 통신 품질, 지연, 오류율에 따라 전송 정책을 유연하게 바꿀 수 있어, 특히 변동성이 큰 무선 네트워크나 위성 통신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1. 개념 및 정의Adaptive ARQ는 전송 중 수신 상태, 오류율, 대기 시간 등의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ARQ 방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오류 제어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Hybrid ARQ(HARQ)**와 유사하지만, 더 높은 수준의..

Topic 2025.04.19

ECN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개요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ECN)은 TCP/IP 네트워크에서 혼잡을 암묵적으로 인지하고 대응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네트워크 혼잡을 명시적으로 알림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트래픽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ECN은 QoS(서비스 품질) 향상, 지연 감소, 패킷 손실 최소화에 효과적이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5G 백본망 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CN의 원리, 구성 요소, 기술 특징부터 활용 사례까지 폭넓게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ECN은 인터넷 프로토콜(IP) 헤더와 전송 계층(TCP)의 일부 필드를 활용해, 네트워크 혼잡이 발생했음을 명시적으로 송신자와 수신자에게 알리는 메커니즘입니다. 기존 네트워크는 혼잡 시 패킷을 드롭(drop)함으로..

Topic 2025.04.07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요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는 네트워크 패킷에 라벨(Label)을 부착해 전통적인 IP 라우팅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기업용 전용회선, 금융기관, 통신사업자, 데이터센터 간 연결 등에서 고속성과 품질 보장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한 핵심 네트워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MPLS는 IP 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라벨을 부착하여, 패킷 내용 분석 대신 라벨 기반 전송 경로 결정으로 전송 속도와 경로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OSI 7계층의 **2.5 계층(Layer 2.5)**에 해당하는 기술로, L2와 L3 사이의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핵심 특징:경로 기반 전송 (Lab..

Topic 2025.04.05

QoS(Quality of Service)

개요QoS(Quality of Service)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트래픽 유형 간에 우선순위를 정하고, 대역폭(Bandwidth), 지연시간(Latency), 손실률(Packet Loss)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특히 음성 통화(VoIP), 화상회의, 스트리밍 서비스, 산업 제어 시스템 등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QoS의 개념, 작동 원리, 구성 요소, 설정 방식, 활용 사례 등을 실무적으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QoS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류하고 관리함으로써 특정 트래픽의 품질을 보장하고, 전체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입니다.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는 패킷..

Topic 2025.04.01

ISO/IEC 19086-2 (SLA 성과 측정을 위한 메트릭 및 평가 기준)

개요ISO/IEC 19086-2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메트릭 및 평가 기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성능, 가용성, 보안, 지원 수준 등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ISO/IEC 19086-1(클라우드 SLA 개요 및 원칙)**과 연계하여 SLA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계약 이행을 명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2의 개념, 핵심 메트릭, 평가 기준 및 적용 방법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2란?ISO/IEC 19086-2는 클라우드 SLA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Topic 2025.03.18

ISO/IEC 19086-1 (클라우드 SLA의 개요, 기본 개념 및 원칙 정의)

개요ISO/IEC 19086-1은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개념과 원칙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계약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서비스 품질(QoS) 및 성능 지표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ISO/IEC 19086 시리즈(1~4) 중 첫 번째 표준으로, 클라우드 SLA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칙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1의 개념, 핵심 원칙,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1이란?ISO/IEC 19086-1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수준 계약(SLA)을 정..

Topic 2025.03.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