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aas보안 7

Zero-Trust Network Access 2.0 (ZTNA 2.0)

개요ZTNA 2.0은 기존 ZTNA 1.0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적이고 지속적인 신뢰 검증 기반으로 사용자,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행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통제하는 차세대 보안 아키텍처다. 본 글에서는 ZTNA 2.0의 핵심 개념, 차별점, 구성 요소, 적용 전략 등을 설명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ZTNA 2.0은 접속 시점의 사용자/디바이스 상태뿐 아니라, 접속 이후 행위까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정책 적용을 지속하는 진화형 Zero Trust 접근 모델이다.목적동적 리스크 기반 접근 제어, 사용자/애플리케이션 보안 경계 강화차별점‘One-time check’ 방식이 아닌 ‘Always-on trust validation’ 구조2. ZTNA 1.0과의 차이점항목..

Topic 2025.07.01

Edge Browser Isolation (EBI)

개요Edge Browser Isolation(EBI)은 웹 콘텐츠를 로컬 브라우저가 아닌 엣지 또는 클라우드 상의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하여, 악성 코드 및 제로데이 공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웹 보안 기술입니다.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 및 Zero Trust Architecture를 구현하는 핵심 보안 컴포넌트로 부상하고 있으며, SaaS 접근 보호, B2B 브라우징, 데이터 유출 방지 등의 다양한 보안 시나리오에서 적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EBI는 사용자가 방문하는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엣지 서버에서 로드 및 실행한 뒤, 사용자 브라우저에는 렌더링된 콘텐츠(픽셀 스트림 또는 DOM 리플레이)만 전송하여, 실질적인 웹 실행을 로컬에서 차단합니다.주요 목적브라우저..

Topic 2025.06.27

SSPM(SaaS Security Posture Management)

개요SSPM(SaaS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기업이 사용하는 다양한 SaaS(Software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들의 보안 구성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여, 데이터 노출, 권한 오남용, 설정 오류 등 SaaS 환경 특유의 보안 리스크를 예방 및 대응하는 관리 체계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업무 환경이 확산되면서 SSPM은 현대 기업의 보안 거버넌스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정의SaaS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구성을 지속적으로 평가, 최적화, 모니터링하는 프레임워크 및 솔루션목적SaaS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노출, 권한 과다, 규제 위반 등의 리스크 최소화필요성SaaS 애플리케이션 수 증가에 따른 관리 복잡성과..

Topic 2025.05.01

PTaaS(PenTest as a Service)

개요PTaaS(PenTest as a Service)는 기존 오프라인, 수동 중심의 침투 테스트(Penetration Testing)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여 더 빠르고 유연하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모델입니다. PTaaS는 전통적인 정기 테스트 한계를 넘어, 지속적인 보안 검증과 리스크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현대적 보안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통해 주문형 침투 테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목적민첩한 위협 탐지와 지속적인 보안 취약점 관리 지원필요성빠르게 변화하는 위협 환경과 개발 주기(DevOps)에 맞춘 보안 테스트 필요PTaaS는 종종 버그바운티, 보안 검증 자동화, 리포트 대시..

Topic 2025.04.30

책임공유모델(SRM, Shared Responsibility Model)

개요책임공유모델(Shared Responsibility Model, SRM)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클라우드 제공자(Cloud Provider)와 클라우드 사용자(고객) 간의 보안 및 규정 준수 책임이 어떻게 나뉘는지를 정의한 개념입니다. 이 모델은 ‘모든 보안 책임은 클라우드 제공자가 진다’는 오해를 바로잡고, 클라우드 보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활용됩니다. AWS, Azure, GCP 등 모든 주요 CSP는 SRM을 공식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과 운영 책임을 클라우드 제공자와 사용자 간에 명확히 분리한 보안 책임 모델목적역할·책임의 불분명으로 인한 보안 사고 방지, 규정 준수 명확화적용 대상IaaS, PaaS, SaaS 전 ..

Topic 2025.04.24

섀도우 IT 탐지 (Shadow IT Detection)

개요섀도우 IT(Shadow IT)는 기업 내 보안팀이나 IT 부서의 승인 없이 사용자가 설치하거나 사용하는 비인가 IT 자산을 의미합니다. 이메일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파일 공유 툴, SaaS 애플리케이션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섀도우 IT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지만 보안 위험과 데이터 유출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탐지 및 관리가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섀도우 IT의 개념, 주요 위협, 탐지 기술, 활용 사례 및 대응 전략을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섀도우 IT란?섀도우 IT는 조직의 공식적인 관리나 허가 없이 개별 부서 또는 사용자가 비공식적으로 사용하는 IT 자산 또는 서비스입니다. 항목 설명 섀도우 IT조직 승인 없이 도입·운영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등비인가 ..

Topic 2025.03.25

CASB (Cloud Access Security Broker)

개요CASB(Cloud Access Security Broker)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 정책을 적용하고, 데이터 보호 및 위협 방지를 수행하는 보안 중개 솔루션입니다. 기업 및 조직이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보안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SaaS, IaaS, PaaS 환경을 보호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ASB의 개념, 주요 기능, 보안 이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ASB란?CASB(Cloud Access Security Broker)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사용자의 중간에서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개념 설명 CASB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보호 및 보안 제어를 수행하는 중개 솔루..

Topic 2025.03.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