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ls암호화 3

스트림 암호화(Stream Cipher)

개요스트림 암호화(Stream Cipher)는 데이터를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연속적으로 암호화하는 방식의 대칭키 암호 기술입니다. 블록 단위로 처리하는 블록 암호와 달리, 실시간성, 경량성, 전송 지연 최소화가 중요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스트림 암호의 개념, 대표 알고리즘, 블록 암호와의 차이점, 실무 적용 분야와 주의사항을 설명합니다.1. 스트림 암호화의 개념과 구조스트림 암호화는 난수처럼 생성된 키스트림(Keystream)을 원문 데이터와 XOR 연산하여 암호문을 생성합니다. 키스트림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방식으로 생성되며, 스트림 암호화는 순차적 암호화, 빠른 처리 속도, 패딩 불필요가 특징입니다. 요소 설명 키(Key)암호화/복호화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비밀키초기화 벡터(..

Topic 2025.04.14

블록 암호화 운영 모드(Block Cipher Modes of Operation)

개요블록 암호화는 일정 크기의 데이터 블록을 암호화하는 방식이지만, 실제 보안 환경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고유한 요구사항에 대응해야 합니다. 이 때 블록 암호화의 암호 방식과 보안 수준을 결정짓는 것이 바로 ‘운영 모드(Mode of Operation)’입니다. ECB, CBC, CTR, GCM 등 다양한 모드는 각각의 장단점과 보안 속성을 가지며,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1. 운영 모드의 개념과 필요성운영 모드는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AES 등)을 확장하여 연속된 데이터 스트림이나 고유한 암호화 목적(무결성 보장 등)에 적합하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필요 이유 설명 블록 연결다중 블록 간의 암호화 연계 구조 필요보안 강화반복 패턴 제거, 무결성 검증 등 보완기능 확장스..

Topic 2025.04.14

블록 암호화(Block Cipher)

개요블록 암호화(Block Cipher)는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 블록 단위로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대칭키 암호 방식입니다. DES, AES와 같은 표준 암호 알고리즘은 모두 블록 암호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운용 모드(ECB, CBC, CTR, GCM 등)와 함께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블록 암호의 구조, 대표 알고리즘, 운용 방식별 차이점, 보안 강점과 한계를 정리합니다.1. 블록 암호화의 개념블록 암호화는 입력 데이터를 정해진 블록 크기(예: 64비트, 128비트 등)로 분할한 후, 각 블록에 동일한 암호화 키를 사용해 순차적으로 암호화하는 방식입니다. 요소 설명 블록 크기데이터 분할 단위 (AES: 128비트 고정)키 길이암호화에 사용되는 비밀키 길이 (예: AES-256은 256비..

Topic 2025.04.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