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공공데이터(Public Data)

JackerLab 2025. 4. 16. 22:45
728x90
반응형

신 서비스의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공공데이터의 개념, 유형, 개방 플랫폼, 활용 사례, 품질 및 기술 요소를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1. 공공데이터란?

항목 설명
정의 공공기관이 수집·보유한 정보를 국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데이터
법적 근거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2013 시행)
목적 데이터 기반 행정, 민간 활용 촉진, 데이터 경제 활성화

공공데이터는 ‘열려 있는 행정정보’이자 ‘디지털 공유자산’입니다.


2. 공공데이터 유형

유형 설명 예시
행정데이터 행정업무에서 생성된 정형 자료 인허가 정보, 민원 처리 현황
공간데이터 위치 기반의 GIS 정보 도로망, 건물 주소, 위경도 정보
통계데이터 분석/조사 기반 수치자료 인구·경제통계, 사회조사
환경/과학데이터 센서 기반 수집 또는 연구 결과 대기질, 기상관측, 생물자원 데이터
교통/물류데이터 이동/운송/시설 관련 정보 버스위치, 철도운행정보, 물류창고 현황

공공데이터는 정형뿐 아니라 비정형(문서, 이미지, 시계열 등) 데이터도 포함합니다.


3. 주요 개방 플랫폼 및 포털

플랫폼 특징 주소
공공데이터포털 가장 대표적 공공데이터 허브, API/파일 형태 제공 data.go.kr
국가통계포털(KOSIS) 국내 공식 통계 데이터 제공 kosis.kr
통계지리정보서비스 공간통계와 지도 기반 시각화 sgis.kostat.go.kr
기상자료개방포털 기온·강수량 등 기상자료 API 제공 data.kma.go.kr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서울시 지역 기반 데이터 개방 data.seoul.go.kr

대부분의 포털은 API, CSV, XLS, XML 등 다양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4. 공공데이터 활용 사례

분야 활용 사례 효과
스타트업 대기오염 + 병원위치 → 알레르기 케어 앱 기상+보건 융합 서비스 개발
유통 유동인구 + 상권 + 교통량 → 입지 추천 점포 입지 분석 솔루션 개발
도시계획 공간데이터 기반 교통혼잡도 시뮬레이션 스마트시티 정책 의사결정 지원
금융 기업재무+소비트렌드 분석 ESG 평가 보조, 투자 스크리닝 활용
학술 공공통계 + 인구 데이터 활용 정책분석 논문 및 머신러닝 학습데이터

‘공공데이터 x 민간 창의력’ = 무한한 혁신 가능성.


5. 기술 및 품질 요소

항목 설명 고려사항
데이터 포맷 JSON, CSV, XML 등 표준 포맷 자동 처리/호환성 확보
API 응답 구조 RESTful + 인증키 기반 호출 횟수 제한, Throttling 정책 확인
메타데이터 설명, 단위, 범위 등 명확화 필요 데이터 신뢰도 및 재사용성에 영향
데이터 갱신주기 실시간/일간/월간 등 다양 최신성 필수 데이터 식별 필요
데이터 품질 Null, 오류, 불일치 여부 전처리/클렌징 필요 가능성 있음

공공데이터는 활용 전 점검·전처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6. 결론

공공데이터는 정부의 디지털 자산을 사회 전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개방한 플랫폼이자, 디지털 전환과 AI 시대의 핵심 자원입니다.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민간은 혁신을 만들고, 공공은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활용할 줄 아는 개인과 기업이 미래를 주도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