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19 22

길더의 법칙(Gilder’s Law)

개요길더의 법칙은 통신 네트워크의 핵심 자원인 **대역폭(Bandwidth)**이 시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원리를 제시한 이론입니다. 이는 무어의 법칙이 처리 능력의 증가를 예측했다면, 길더의 법칙은 데이터 전송 능력의 비약적 향상을 설명하며, 인터넷, 클라우드, 5G, IoT 발전의 핵심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길더의 법칙(Gilder’s Law)은 기술 미래학자 조지 길더(George Gilder)가 제안한 개념으로, 네트워크 용량이 지속적으로 확장되며 정보 사회의 성장을 견인한다는 내용입니다.정의: 네트워크의 대역폭은 해마다 3배 이상 증가한다.비교 개념: 무어의 법칙이 CPU 성능의 18~24개월마다 2배 향상을 말한다면, 길더의 법칙은 네트워크 처리 속도와 용량..

Topic 2025.04.19

코어스의 법칙(Coase’s Law)

개요코어스의 법칙은 거래비용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조직과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고 운영되는지를 설명합니다.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플랫폼이 거래비용을 급감시키면서 이 법칙은 현대 IT 생태계와 플랫폼 경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이론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코어스의 법칙(Coase’s Law)은 경제학자 로널드 코어스(Ronald Coase)가 1937년 발표한 논문 “The Nature of the Firm”에서 제안한 개념으로,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를 거래비용(Transaction Cost) 관점에서 설명합니다.정의: “시장에서 거래하는 비용이 조직 내부에서 활동하는 비용보다 높을 때 기업은 해당 활동을 내부화한다.”핵심 전제: 조직의 목적은 거래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재조명 배경: 인터..

Topic 2025.04.19

리드의 법칙(Reed’s Law)

개요리드의 법칙은 네트워크 내 사용자들이 소그룹(하위 커뮤니티)을 형성할 수 있는 경우,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지수(2^N)에 비례해 증가한다고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는 사노프의 법칙(선형), 멧칼프의 법칙(제곱)보다 더욱 빠른 가치 확장을 예측하며, 특히 SNS, 포럼, 협업 플랫폼의 성장 논리를 잘 설명해 줍니다.1. 개념 및 정의리드의 법칙(Reed's Law)은 1999년 데이비드 리드(David P. Reed)가 제안한 네트워크 이론으로, 네트워크 사용자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경우,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정의: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지수(2^N)에 비례함공식: V = 2^N (V: 네트워크 가치, N: 사용자 수)전제 조건: 사용자가 다양한 ..

Topic 2025.04.19

멧칼프의 법칙(Metcalfe’s Law)

개요멧칼프의 법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수가 늘어날수록 그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제곱(N²)에 비례해 증가한다고 설명합니다. 인터넷, SNS, 메신저 등 상호작용 기반 서비스의 확산을 이해하는 핵심 이론으로, 현대 디지털 경제에서 가장 널리 인용되는 네트워크 가치 모델 중 하나입니다.1. 개념 및 정의멧칼프의 법칙(Metcalfe’s Law)은 이더넷(Ethernet)의 발명자 중 한 명인 로버트 멧칼프(Robert Metcalfe)가 제안한 이론으로, 네트워크 상의 노드 수가 많아질수록 가능한 연결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을 설명합니다.정의: 네트워크의 가치는 연결된 노드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공식: V = N² (V: 네트워크 가치, N: 사용자 수)의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곧 가치..

Topic 2025.04.19

사노프의 법칙(Sarnoff's Law)

개요사노프의 법칙은 네트워크의 가치를 그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수(N)에 비례한다고 본 이론입니다. 이 법칙은 주로 방송 및 일방향 미디어 시대의 네트워크 효과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네트워크 경제학의 기초 이론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사노프의 법칙(Sarnoff’s Law)은 라디오와 TV 시대에 방송사의 가치는 청취자 또는 시청자의 수에 비례한다는 개념으로, RCA 회장을 지낸 데이비드 사노프(David Sarnoff)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정의: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에 단순 비례(N)한다.공식: V = N (V는 가치, N은 사용자 수)배경: 방송 미디어의 수익은 광고 기반이며, 광고주는 시청자 수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함2. 특징 항목 설명 비교 대상..

Topic 2025.04.19

제어망(Control Network)

개요제어망은 발전소, 제조 공장, 스마트 팩토리 등 산업 현장에서 설비 제어와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일반 IT 시스템과는 달리 실시간성과 안정성이 핵심이며, 최근 사이버 공격 대상이 확대되면서 제어망 보안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제어망(Control Network)은 공장 자동화 설비, 산업용 장비, 전력/가스 등의 인프라를 제어하고 운영하는 전용 네트워크입니다. IT망과는 분리되어 실시간 제어, 높은 안정성, 예측 가능한 통신을 보장합니다.목적: 산업 시설의 설비 제어, 안전 확보, 운영 최적화필요성: 시스템 중단 시 안전사고 및 대규모 피해 발생 가능성 높음2. 특징 항목 설명 일반 IT망과 비교 실시간성밀리초 단위의 통신 지연 허용 불가상대적으로 느린 ..

Topic 2025.04.19

망연계(Network Separation)

개요망연계는 내부망과 외부망 간의 정보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보안 기술입니다. 주로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처럼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곳에서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도입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전환과 재택근무 확산으로 인해 망연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망연계는 보안이 필요한 내부망(업무망)과 상대적으로 개방된 외부망(인터넷망)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제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안 아키텍처입니다.목적: 사이버 공격이나 정보 유출로부터 내부 시스템을 보호함과 동시에, 업무 효율성을 해치지 않기 위한 균형 추구필요성: 보안 위협이 고도화되고, 내부망까지 침투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망분리 환경에서도 안전한 자료 교환을 위한 기술적 수..

Topic 2025.04.19

망분리(Network Segregation)

개요망분리(Network Segregation)는 외부 인터넷망과 내부 업무망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적 조치입니다. 내부 시스템에 대한 악성코드 유입, 해킹,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기밀 자산의 보호와 업무 연속성 확보를 위한 핵심 보안 전략으로 공공기관, 금융기관, 대기업 등을 중심으로 폭넓게 도입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망분리는 정보보호 측면에서 **업무망(내부망)**과 **인터넷망(외부망)**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과 내부 시스템 접근을 구분하는 보안 정책입니다.물리적 망분리: 사용자 단말기를 2대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단말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구분하는 방식논리적 망분리: 가상화 기술(VM, VDI 등)이나 네트워크 정책을 통해 단말..

Topic 2025.04.19

제로 레이팅(Zero Rating)

개요제로 레이팅(Zero Rating)은 통신사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해 데이터 사용량을 과금하지 않는 요금 정책입니다.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 이용 시 데이터 요금 걱정 없이 접근 가능하며, 통신사는 콘텐츠 제공자와의 제휴를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면, **망 중립성(Net Neutrality)**에 대한 논란도 지속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제로 레이팅은 사용자 데이터 요금 청구에서 일부 트래픽을 예외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즉, 유튜브, 페이스북, 특정 쇼핑앱 등과 같은 콘텐츠 서비스에 대해 데이터 사용량을 제외하고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트래픽 부담을 줄이고 특정 서비스 사용을 유도합니다.이는 사용자 관점에서는 경제적 이점이 있지..

Topic 2025.04.19

SDR(Software Defined Radio)

개요SDR(Software Defined Radio)은 하드웨어가 담당하던 전통적인 무선 통신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무선 표준과 주파수 대역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여러 통신 방식(AM/FM, LTE, 5G, 위성 통신 등)을 실행할 수 있어, 민간/군용 통신, IoT, 위성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ftware Defined Radio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조, 복조, 인코딩, 디코딩 등의 핵심 처리 과정을 소프트웨어로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에는 이 기능들이 전용 칩셋이나 하드웨어 모듈에서 구현됐지만, SDR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

Topic 2025.04.19

SDS(Software Defined System)

개요SDS(Software Defined System)는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모든 IT 인프라 자원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아키텍처입니다. 이는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 인프라 구조를 벗어나, 추상화(virtualization), 자동화(automation), 정책 기반 제어를 통해 보다 민첩하고 유연한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Software Defined System은 컴퓨팅 자원(CPU, RAM),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 구성 요소를 하드웨어와 분리된 소프트웨어 계층에서 제어하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핵심은 ‘소프트웨어 정의’로, 모든 제어 로직과 운영..

Topic 2025.04.19

SDS(Software Defined Storage)

개요SDS(Software Defined Storage)는 스토리지 하드웨어와 제어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스토리지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술 아키텍처입니다.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스토리지 자원을 통합·가상화하여 효율적이고 유연한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인프라, 컨테이너 환경 등에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DS는 기존 스토리지 시스템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운영되던 방식과 달리, 스토리지 기능(프로비저닝, 복제, 스냅샷, 백업, 캐싱 등)을 중앙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제어하는 구조입니다.스토리지 장비는 단순 저장 장치로 동작하고, 실제 정책 설정, 데이터 관리, 자동화 제어 등은 SDS 소프트웨어..

Topic 2025.04.19

OpenFlow

개요OpenFlow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핵심 구성 요소로, 데이터 플레인과 제어 플레인을 분리하여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장비의 제어를 중앙 컨트롤러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연하고 프로그래머블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해졌으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5G 백본 네트워크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penFlow는 SDN 구조에서 스위치와 컨트롤러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입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에서는 스위치가 자체적으로 패킷을 처리하지만, OpenFlow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패킷 처리 정책을 컨트롤러가 내려주고, 스위치는 단순히 데이터 전달만 수행합니다..

Topic 2025.04.19

NOS(Network Operating System)

개요NOS(Network Operating System)는 여러 컴퓨터와 네트워크 자원(파일, 프린터, 애플리케이션 등)을 중앙 집중식 또는 분산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용 운영체제 또는 소프트웨어 계층입니다. 일반 운영체제와 달리, NOS는 네트워크 기반 사용자 간의 자원 공유, 보안, 통신을 중심으로 작동하며, 기업용 서버, 네트워크 장비, 클러스터 환경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Network Operating System은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장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고, 자원을 제어하며, 사용자 간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중앙 집중식 NOS: 서버 기반 구조, 예: Windows Ser..

Topic 2025.04.19

혼잡회피(Congestion Avoidance)

개요혼잡회피(Congestion Avoidance)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도해지기 전에 혼잡을 예측하고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혼잡 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기법입니다.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의 한 부분으로, 특히 TCP에서는 혼잡 윈도우(CWND)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네트워크 혼잡의 조짐이 보일 때 속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1. 개념 및 정의혼잡회피는 네트워크 경로에서 혼잡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예방적 접근 방식입니다. 이는 혼잡이 실제로 발생한 후 반응하는 혼잡제어와 달리, 혼잡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TCP에서는 일반적으로 Slow Start 이후 혼잡회피 단계에 진입하며, CWND(혼잡 윈도우)를 선형적으로 증가시키고, 패킷..

Topic 2025.04.19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

개요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는 네트워크 내 과도한 트래픽으로 인해 성능 저하, 패킷 손실, 지연 증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이는 네트워크 자원(대역폭, 큐, 처리량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전체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필수 요소입니다.1. 개념 및 정의혼잡제어는 네트워크 경로 내 라우터, 스위치, 링크 등의 자원이 초과 사용되지 않도록 송신자의 전송 속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기술입니다. TCP/IP 네트워크에서는 송신자가 수신자의 수신 윈도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를 고려하여 전송 속도를 조절합니다.혼잡은 패킷 손실, 큐 오버플로우, 전송 지연 증가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미리 감지하고 제어하지 않..

Topic 2025.04.19

Sliding Window

개요Sliding Window(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은 데이터 통신에서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핵심적인 메커니즘입니다. 송신자와 수신자 간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윈도우라는 논리적 범위를 설정하여 연속적인 프레임 전송과 확인 응답(ACK)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TCP, ARQ, HDLC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Sliding Window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일정 범위 내에서 프레임을 관리하며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정해진 윈도우 크기만큼 데이터를 전송한 뒤 ACK를 기다리며 윈도우를 ‘슬라이딩’시켜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입니다.이 방식은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줄이고, 수신자의 처리 능력에 맞춰 전송을 조절..

Topic 2025.04.19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개요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는 오류 정정 기술(FEC: Forward Error Correction)과 재전송 요청 기술(ARQ: Automatic Repeat reQuest)을 결합한 고신뢰 통신 기법입니다. 단순한 오류 검출 후 재전송이 아닌, 부분적으로 손상된 데이터도 복원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효율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강화합니다. LTE, 5G, 위성 통신 등 고속 고품질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H-ARQ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FEC를 적용하여 일정 수준의 오류는 수신 측에서 복원 가능하도록 하고, FEC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에만 **재전송 요청(ARQ)**을 수행합니다.이로 인해 패킷 손실률이 높거나 지연이 큰 네트..

Topic 2025.04.19

Adaptive ARQ

개요Adaptive ARQ(Adaptive Automatic Repeat reQuest)는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라 오류 제어 방식(Stop-and-Wait, Go-Back-N, Selective Repeat)을 동적으로 전환하여 최적의 전송 성능을 제공하는 지능형 ARQ 기법입니다. 고정된 방식이 아닌, 실시간 통신 품질, 지연, 오류율에 따라 전송 정책을 유연하게 바꿀 수 있어, 특히 변동성이 큰 무선 네트워크나 위성 통신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1. 개념 및 정의Adaptive ARQ는 전송 중 수신 상태, 오류율, 대기 시간 등의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ARQ 방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오류 제어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Hybrid ARQ(HARQ)**와 유사하지만, 더 높은 수준의..

Topic 2025.04.19

Selective Repeat ARQ

개요Selective Repeat ARQ(선택적 재전송 방식)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기법 중 가장 효율적이고 정교한 오류 제어 메커니즘입니다.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 선택적으로 재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효율성과 네트워크 자원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고속 통신 환경과 신뢰성 요구가 높은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전송 기법입니다.1. 개념 및 정의Selective ARQ는 송신자가 여러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한 뒤, 수신자가 오류가 발생한 특정 프레임만 NAK(Negative Acknowledgment) 또는 타임아웃으로 요청하고, 송신자는 해당 프레임만 선택적으로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수신자는 올바르게 수신된 프레임을 임시 버퍼에 저장하며, 오류가 있는 프레임만 거부..

Topic 2025.04.19

Go-Back-N ARQ

개요Go-Back-N ARQ는 Stop-and-Wait ARQ의 단점을 보완한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기반의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 방식입니다. 송신자가 한 번에 여러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프레임부터 이후 모든 프레임을 다시 전송함으로써 전송 효율과 신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ARQ 방식입니다.1. 개념 및 정의Go-Back-N ARQ는 송신자가 윈도우 크기(N)만큼의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하고, 수신자로부터 누락 없이 확인 응답(ACK)을 받지 못한 프레임 이후의 모든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수신자는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수신해야 하며, 중간에 누락된 프레임이 있으면 이후의 프레임은 모두 무시하고 ACK는 마지막으로 정상 수신된 ..

Topic 2025.04.19

Stop-and-Wait ARQ

개요Stop-and-Wait ARQ(Automatic Repeat reQuest)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ARQ 방식입니다.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한 뒤, 수신자로부터 응답(ACK)을 받기 전까지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과 흐름 조절을 동시에 보장합니다.1. 개념 및 정의Stop-and-Wait ARQ는 이름 그대로 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만 전송하고, 수신자의 확인 응답(ACK)을 받은 후에야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만약 응답이 없거나 NAK(Negative ACK)가 수신될 경우,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합니다.이 방식은 구현이 간단하면서도 송수신 간 속도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오버플로우 문제를 ..

Topic 2025.04.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