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25 27

Eclipse Attack

개요Eclipse Attack(이클립스 공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정 노드 또는 사용자 노드를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고, 악성 노드들로만 연결되도록 만드는 네트워크 공격 기법입니다. 이로 인해 피해 노드는 잘못된 거래 정보를 수신하거나, 블록 전파에 지연이 생기며, 더 큰 공격(예: 이중 지불, 51% 공격 등)의 발판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P2P 기반 블록체인에서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간주됩니다.1. 개념 및 정의Eclipse Attack은 공격자가 대상 노드의 모든 피어 연결을 장악하거나 조작하여, 네트워크상의 다른 정직한 노드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 공격의 목적은 특정 노드를 '네트워크적으로 고립된 상태' 로 만들고, 정보 조작 또는 공격의 발판으로 ..

Topic 2025.04.25

Open-Closed Principle (OCP)

개요Open-Closed Principle(개방-폐쇄 원칙)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 가장 핵심적인 설계 원칙 중 하나로,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는 개념을 내포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며, SOLID 원칙의 두 번째 원칙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pen-Closed Principle은 1988년 Bertrand Meyer가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소프트웨어 엔티티(클래스, 모듈, 함수 등)는 확장에는 열려(Open) 있고, 수정에는 닫혀(Closed) 있어야 한다."즉, 기능의 확장은 가능하지만, 기존 코드의 변경 없이 동작을 추가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인터페이스, 추상 클..

Topic 2025.04.25

Matrix Organization

개요Matrix Organization(매트릭스 조직)은 기능(Function) 중심의 전통적인 수직 조직과 프로젝트(Project) 중심의 수평 조직이 결합된 복합적인 조직 구조입니다. 하나의 직원이 두 명 이상의 상사를 동시에 보고할 수 있는 구조로, 유연성과 협업을 강조하는 현대 기업 환경에 적합한 조직 운영 모델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매트릭스 조직은 기능 부서와 프로젝트 팀이 교차하여 구성되는 구조로, 직원은 기능 부서장과 프로젝트 매니저에게 각각 소속됩니다. 이중 보고 체계를 통해 전문성 유지와 프로젝트 목표 달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융합형 모델입니다.이는 1970년대 항공우주 산업에서 복잡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IT, 건설, 금융, 제..

Topic 2025.04.25

Use Case Diagram

개요Use Case Diagram(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에서 시스템이 사용자(또는 다른 시스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입니다. 시스템의 기능(Use Case) 과 행위자(Actor)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주며, 요구사항 정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1. 개념 및 정의Use Case Diagram은 시스템이 제공해야 하는 주요 기능들을 기능 단위(Use Case) 로 정의하고, 그 기능을 사용하는 주체인 행위자(Actor) 와의 관계를 시각화합니다. 이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외부 관점에서 바라본 동작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전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2. ..

Topic 2025.04.25

Activity Diagram

개요Activity Diagram(액티비티 다이어그램)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행위 다이어그램 중 하나로, 시스템 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활동 흐름(Flow of Activities) 을 순차적으로 시각화합니다. 절차적 로직, 병렬 흐름, 조건 분기 등 다양한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표현함으로써 시스템 설계, 요구사항 분석, 프로세스 최적화 등에 폭넓게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Activity Diagram은 사용자의 활동, 시스템 기능,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 행위의 흐름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입니다. 복잡한 로직을 단계별로 구조화하여 절차 기반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특히 워크플로우 설계나 업무 절차 모델링에 효과적입니다.일반적으로 시작(Start)..

Topic 2025.04.25

State Diagram

개요State Diagram(상태 다이어그램)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행위 다이어그램 중 하나로, 객체 또는 시스템이 다양한 상태(State) 를 가지며, 특정 이벤트에 따라 다른 상태로 전이(Transition) 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구입니다. 복잡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객체의 동작 흐름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설계의 일관성과 테스트 효율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State Diagram은 하나의 객체가 수명 주기 동안 가질 수 있는 상태와 그 전이 조건을 중심으로 구조화된 도식입니다. 상태(State)는 객체의 내부 조건이나 외부 환경에 따른 특정 시점을 나타내며, 전이(Transition)는 이벤트나 조건 발생 시 상태 간..

Topic 2025.04.25

Interaction Diagram

개요Interaction Diagram(인터랙션 다이어그램)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대표적인 다이어그램 중 하나로, 시스템 내 여러 객체들 간의 메시지 흐름과 그 순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설계, 시스템 아키텍처 분석, 서비스 간 통신 흐름 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문서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Interaction Diagram은 객체 또는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을 시간 순서대로 표현하는 UML 다이어그램의 일종입니다. 주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과 **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Communication Diagram)**의 형태로 사용되며, 메시지의 흐름, 호출 순서, ..

Topic 2025.04.25

Timing Diagram

개요Timing Diagram(타이밍 다이어그램)은 디지털 회로나 시스템의 신호 변화와 그에 따른 동작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하드웨어 설계,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통신 프로토콜 분석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시스템 동작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설명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Timing Diagram은 시간 축(Time axis)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신호(Signal)들이 어떤 타이밍으로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래픽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High/Low) 변화, 클럭 동기, 데이터 유효 구간, 제어 신호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함께 표시되며, 시스템의 정확한 동작 시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이 도구는 설계 검토 및 디버깅 단계에서 필수적..

Topic 2025.04.25

Communication Diagram

개요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Communication Diagram)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행위 다이어그램의 일종으로, 시스템 내 객체들이 서로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메시지를 교환하는지를 구조적으로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시퀀스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메시지 흐름을 표현하지만, 시간 순서보다 구조와 상호 연결 관계에 중점을 둔다. 이 글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의 개념, 구성, 작성 방법, 시퀀스 다이어그램과의 차이점, 실무 활용 사례를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은 객체 간의 협력 구조와 메시지 흐름을 네트워크 형태로 표현하는 도식이다. 각 객체(또는 클래스)는 노드로, 메시지는 객체 간의 연결선을 따라 번호가 부여된 텍스트 형태로 표현되..

Topic 2025.04.25

Sequence Diagram

개요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대표적인 행위 다이어그램 중 하나로, 객체 간 메시지 교환과 상호작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현한다. 시스템의 동적 동작을 명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 설계,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석, 기능 명세서 작성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 글에서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개념, 구성 요소, 작성 방법, 활용 사례 등을 상세히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시퀀스 다이어그램은 시간 축을 따라 객체(또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흐름을 위에서 아래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명확하게 시각화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주로 특정 유스케이스 또는 시나리오에 대한 실행 순서를 모델링할 때 사용된다.2. 구성 요소 요소 설..

Topic 2025.04.25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개요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사람이 수행하던 반복적이고 규칙 기반의 사무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Bot)을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주로 ERP, CRM, 웹 포털 등 다양한 시스템 간 데이터를 연계하거나 입력/조회/검증/이관하는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정확성,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RPA의 개념, 구성, 주요 기술 요소, RDA와의 차이점 및 활용 사례 등을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RPA는 '디지털 워커'라고도 불리며, 사람이 수행하던 단순 반복 작업을 모방하고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주로 백오피스 업무(회계, 인사, 고객 서비스 등)를 대상으로 하며, 정해진 로직에 따라 사람 개입 ..

Topic 2025.04.25

RDA (Robotic Desktop Automation)

개요RDA(Robotic Desktop Automation)는 사무직 근로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데스크탑 기반 작업을 자동화하는 기술로, 인간과 협업하는 형태의 '디지털 어시스턴트' 개념에 해당한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하위 개념이자 전 단계로, 프론트엔드 작업(엑셀 처리, 웹 브라우저 조작, ERP 데이터 입력 등)을 중심으로 실행되며, 생산성 향상과 오류 감소, 사용자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다. 이 글에서는 RDA의 개념, 구성, 활용 분야, RPA와의 차이점 등을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RDA는 사용자의 데스크탑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로봇으로, 마우스 클릭, 키보드 입력, 화면 전환 등 인간의 조작을 모방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Topic 2025.04.25

Software Productivity Techniques

개요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 기술은 개발자 및 개발 조직이 적은 리소스로 더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과 도구를 의미한다. 이는 코드 품질 향상, 반복 업무 자동화, 협업 효율성 강화, 테스트 자동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개발 비용 절감과 제품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한다. 본 글에서는 SW 생산성 향상 기술의 개념, 주요 접근 방식, 적용 사례 및 도입 전략을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소프트웨어 생산성이란 동일한 시간과 자원으로 더 많은 기능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은 도구, 방법론, 자동화 시스템, 협업 프레임워크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반복적이고 수동적인 작업을 줄이고 ..

Topic 2025.04.25

Digital Dysfunction

개요디지털 역기능(Digital Dysfunction)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생활에 깊이 침투하면서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과 문제 현상을 통칭한다. 이는 사이버 중독, 정보 과잉, 디지털 격차, 온라인 폭력, 개인정보 침해, 허위정보 확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개인의 삶의 질은 물론 사회적 신뢰와 안전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본 글에서는 주요 디지털 역기능의 유형, 원인, 영향, 대응 방안 및 예방 전략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디지털 역기능은 디지털 미디어와 기술의 과도하거나 왜곡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적, 사회적, 윤리적, 관계적 문제를 말한다. 기술의 편리함 이면에 감춰진 부작용으로, 이는 전 연령층에서 빈번히 관찰되며, 개인의 인지능력, 정서 안정, 인간관계, 정보 신뢰도에..

Topic 2025.04.25

Digital Literacy

개요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 소프트웨어, 미디어 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현대 사회에서 정보 탐색, 소통, 창작, 문제 해결 능력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이다. 단순한 컴퓨터 사용 능력을 넘어, 디지털 환경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책임 있는 활용 능력을 요구하는 핵심 시민 역량이다. 본 글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 구성 요소, 중요성, 교육 방향 및 실생활 적용 사례를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디지털 리터러시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 및 도구를 통해 정보를 탐색, 분석, 생성, 공유하고, 이를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역량이다. 이는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기술 리터러시 등을 포함하며, 개인의 일상생활뿐 아니라 교..

Topic 2025.04.25

SIM Cloning

개요SIM Cloning(심 클로닝)은 공격자가 피해자의 SIM 카드 정보를 복제하여 동일한 전화번호를 가진 복제 SIM을 만들어 사용하는 공격 방식입니다. 이는 원래 아날로그 네트워크 시대에 등장한 기법으로, 오늘날 디지털 통신 환경에서도 여전히 위협으로 존재합니다. SIM Cloning은 통신 감청, 문자 탈취, 인증 우회, 위치 추적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통신 보안 체계가 약한 환경에서 높은 위험성을 가집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기존 SIM 카드의 고유 정보를 복사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제 SIM을 생성하는 공격 방식목적동일한 전화번호로 통신, 인증, 메시지 수신 등 수행필요성2G, 3G 기반 환경에서 취약한 통신 인프라 악용 가능성 여전SIM Cloning은 피해자 ..

Topic 2025.04.25

SIM Swapping

개요SIM Swapping(심 스와핑)은 공격자가 피해자의 모바일 번호를 자신의 SIM 카드로 전환하여 전화, 문자, 2차 인증(OTP) 등을 가로채는 사회공학 기반의 해킹 수법입니다. 이 공격은 계정 탈취, 금융 사기, 암호화폐 지갑 도난 등 다양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이중 인증(2FA) 수단으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치명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공격자가 이동통신사 고객센터를 속여 타인의 번호를 자신의 SIM으로 이전하는 방식목적전화·SMS 기반 인증 수단을 탈취하여 주요 계정 접근필요성개인 정보 노출이 심화되며 인증 수단 자체가 보안 위협으로 부상이 공격은 이동통신사 고객 인증 절차의 허점을 노려 공격자 본인이 SIM 카드 재발급을 받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이 핵..

Topic 2025.04.25

BPF 기반 악성코드(BPF-Based Malware)

개요BPF(Berkeley Packet Filter) 또는 eBPF(extended BPF)는 리눅스 커널에서 고성능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모니터링, 트레이싱 등에 활용되는 기술입니다. 최근 이 기술을 악용하여 파일리스(fileless) 기반 악성코드가 확산되며 보안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BPF 기반 악성코드는 커널 수준의 은밀한 조작이 가능하여 탐지 및 대응이 매우 어렵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BPF 기반 악성코드는 eBPF 기술을 이용해 리눅스 커널 공간에서 실행되는 악성코드입니다.목적사용자 모르게 시스템 감시, 정보 탈취, 후속 공격 수행특징파일 시스템 접근 없이 실행, 커널 트레이싱 기능 악용, 은폐성 뛰어남eBPF는 원래 보안 및 성능 모니터링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Topic 2025.04.25

BPFDoor(BPF Backdoor)

개요BPFDoor는 주로 리눅스 시스템을 타겟으로 하여 침입하는 고도화된 백도어로, BPF(Berkeley Packet Filter) 기능을 악용하여 보안 탐지를 우회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는 2022년부터 주요 APT 공격 그룹에 의해 활용되며 알려졌으며, 포트 개방 없이도 명령 제어가 가능한 스텔스성으로 보안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BPFDoor는 BPF 기술을 이용해 패킷 필터링을 수행하면서 보안 시스템에 탐지되지 않고 명령을 수신하는 리눅스 기반 백도어입니다.목적침입 후 장기적인 시스템 제어 및 정보 탈취필요성일반적인 네트워크 기반 탐지로는 식별이 어려운 고급 위협 대응 필요이 백도어는 방화벽을 우회하고 포트 스캐닝에도 흔적을 남기지 않는 점에서 고도의 ..

Topic 2025.04.25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개요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한 위성 기반의 위치 추적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지구 전역에서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위도, 경도, 고도), 속도,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군사 및 민간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으며, IoT, 자율주행, 스마트폰, 항공 및 해양 운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응용된다.1. 개념 및 정의GPS는 최소 24개의 인공위성으로 구성된 위성군과 지상의 수신 장치 간의 거리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정확한 3차원 위치를 계산하는 시스템이다. 사용자는 4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시각 정보와 위성의 위치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와 시간 정보를 삼각측량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2. 특징 항목 ..

Topic 2025.04.25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개요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직렬 확산 스펙트럼)는 전송하려는 원래의 데이터 신호에 고속의 확산 코드(Spreading Code)를 곱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신호를 분산시키는 무선 통신 방식이다. 간섭 및 잡음에 강하고, 보안성이 뛰어난 특징으로 인해 CDMA, GPS, 군 통신, Wi-Fi(802.11b)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활용된다. 이 글에서는 DSSS의 원리, 구성 요소, 장단점 및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적 이해를 돕는다.1. 개념 및 정의DSSS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각 비트를 고속의 비트열(Pseudo Noise Code, PN Code)로 확산한 뒤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원래 신호보다 훨씬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지만..

Topic 2025.04.25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개요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무선 통신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유한 코드로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하는 다중 접속 방식이다. 이는 스펙트럼 확산(Spread Spectrum)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뛰어난 간섭 저항성과 보안성, 주파수 효율성을 바탕으로 2세대(2G) 및 3세대(3G) 이동통신 기술의 핵심 방식으로 채택되었다. 이 글에서는 CDMA의 원리, 특징, 기술 구성 요소 및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CDMA는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확산 코드(Spreading Code)를 부여하여,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과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되 수신 시 해당 코드를 이용해 개별 신호를 ..

Topic 2025.04.25

ROADM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개요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은 광 전송망에서 특정 파장(채널)을 선택적으로 삽입(Add)하거나 삭제(Drop)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연한 파장 라우팅 장비이다. 기존의 고정형 OADM과 달리 원격 제어 및 동적 구성 기능을 제공하여, 100G/400G/800G 이상의 DWDM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인 경로 제어 및 트래픽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글에서는 ROADM의 개념, 구성, 기술 원리 및 활용 사례를 자세히 소개한다.1. 개념 및 정의ROADM은 광신호를 전기 변환 없이 파장 단위로 선택해 네트워크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원격으로 각 파장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필요한 파장을 새롭게 삽입하거나 제..

Topic 2025.04.25

CWDM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개요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조밀 파장 분할 다중화)은 광섬유 하나에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넓은 간격으로 나누어 동시에 전송하는 광통신 다중화 기술이다. DWDM에 비해 파장 수가 적고 파장 간 간격이 넓기 때문에, 고성능은 아니지만 장비 비용이 낮고 시스템 설계가 간단해 중소규모 광 네트워크 및 엣지 네트워크에 널리 활용된다.1. 개념 및 정의CWDM은 파장 간 간격이 약 20nm로 설정된 광 다중화 기술로, 1270nm~1610nm 범위에서 최대 18개 채널을 하나의 광섬유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복잡한 냉각 장치나 증폭기 없이도 운용 가능하며, 경제적인 구축이 가능한 것이 큰 장점이다.2. 특징 항목 설명 비고 파장 간격 넓음2..

Topic 2025.04.25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개요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은 단일 광섬유에 다수의 서로 다른 파장(색)의 광 신호를 매우 좁은 간격으로 밀집시켜 동시에 전송하는 광통신 핵심 기술이다. 기존 WDM보다 훨씬 더 많은 채널을 하나의 광섬유에 수용할 수 있어, 데이터센터, 해저케이블, 5G 백홀 등 초고속·초대역폭을 요구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1. 개념 및 정의DWDM은 WDM의 고도화된 형태로, 파장 간 간격을 좁혀(보통 0.8nm 또는 100GHz 이하) 더 많은 채널을 수용하는 다중화 방식이다. 광 스펙트럼의 특정 범위(C-band 또는 L-band)를 활용해 수십에서 수백 개의 파장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인프라를 유지하면서도 대역폭을 수십 배..

Topic 2025.04.25

STDM (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개요STDM(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의 발전된 형태로, 고정 시간 슬롯 대신 데이터 전송 요구가 있는 채널에만 동적으로 슬롯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는 통신 채널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불필요한 대역폭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갖춘 다중화 기술로 평가된다.1. 개념 및 정의STDM은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부여함으로써, 전체 채널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다중화 방식이다. 이는 비정형 트래픽 환경(데이터 전송이 불규칙한 상황)에서 특히 유리하며, 각 채널의 사용률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리소스를 최적화한다.2..

Topic 2025.04.25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개요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여러 개의 서로 직교하는(Orthogonal) 하위 반송파(Sub-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디지털 다중화 기술이다. 이 방식은 대역폭 효율성과 멀티패스 간섭 저항성이 뛰어나 LTE, Wi-Fi, 5G, 디지털 방송(DVB-T)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널리 활용된다. 본 포스트에서는 OFDM의 개념, 기술 원리, 구성 요소, 장단점 및 활용 사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1. 개념 및 정의OFDM은 데이터를 다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Sub-carriers)에 나누어 병렬 전송하는 방식으로, 각 반송파는 서로 직교(orthogonal)하므로 주파수 간 간섭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높은 스펙트럼 ..

Topic 2025.04.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