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CSAF 2.0(Common Security Advisory Framework)은 보안 취약점에 대한 정보를 구조화된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국제 표준 포맷입니다. OASIS(Open Standards for the Information Society)에서 정의한 이 포맷은 JSON 기반이며, 자동화된 보안 대응과 취약점 공유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공급망, 제품 보안 팀, 보안 솔루션 벤더 등 다양한 보안 이해관계자 간의 원활한 협력을 지원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 내용 | 비고 |
정의 | 취약점 관련 정보를 기계 판독 가능하게 제공하는 JSON 기반 보안 권고문 표준 | OASIS 표준 (2022년 승인) |
목적 | 보안 취약점 정보를 일관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배포 | CVE, VEX와 연계 가능 |
필요성 | 복잡해진 공급망 환경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취약점 대응 | SBOM과 연계 필수화 추세 |
2. 특징
항목 | 설명 | 비고 |
JSON 기반 구조 | 표준화된 스키마로 자동 수집·분석 가능 | 보안 도구와 연계 용이 |
공급망 보안 강화 | VEX(취약점 제외 정보), 제품 트리 구조 등 포함 | SBOM 연동 지원 |
자동화 친화 | 취약점 정보의 파싱 및 대응 자동화 가능 | DevSecOps 통합 가능 |
→ 보안 권고문을 단순 문서에서 ‘자동화 가능한 데이터’로 전환함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Document | 문서 버전, ID, 생성일 등 메타데이터 | CSAF-2.0 형식 명시 |
Product Tree | 영향을 받는 제품/버전의 계층적 구조 표현 | 공급망 연결 구조화 |
Vulnerabilities | CVE ID, 영향도, 설명, 패치 정보 등 | CVSS 정보 포함 가능 |
Remediations | 수정 조치 정보 (업데이트, 패치 등) | 적용 조건 명시 |
Threats | 취약점의 위협 시나리오 및 악용 가능성 정보 | 공격 코드 존재 여부 등 |
References | 외부 문서, URL, 보안 권고문 등 링크 | NVD, CERT 연동 가능 |
Acknowledgments | 취약점 제보자 및 협력자 정보 | 보안 연구자 인정 |
→ 각 구성요소는 공급망 대응과 보안 자동화를 위해 기계 판독형으로 설계됨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관련 기술 |
JSON Schema | CSAF 문서 구조 정의를 위한 스키마 | JSON Schema Draft 7 기반 |
CVE 연계 | 취약점 식별자를 표준적으로 활용 | CVE.org, CVE JSON 5.0 |
VEX (Vulnerability Exploitability eXchange) | 제품이 취약점에 영향 받는지 여부를 명시 | CISA 주도, CSAF 확장 필드 |
SBOM 연계 |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리스트와 자동 연동 | SPDX, CycloneDX 호환 |
→ CSAF는 SBOM → VEX → 패치 조치의 흐름을 구조화하여 대응 자동화 기반 제공
5. 장점 및 이점
항목 | 설명 | 기대 효과 |
대응 속도 향상 | 자동화된 취약점 분석·조치 가능 | 보안 이벤트 처리 효율화 |
공급망 가시성 확보 | 어떤 제품/버전이 영향을 받는지 명확히 식별 | 위협 관리 및 우선순위 조정 |
DevSecOps 통합 | CI/CD 파이프라인에서 취약점 검출·조치 자동화 | 보안 shift-left 실현 |
글로벌 표준화 지원 | 국제 표준 기반으로 조직 간 협업 가능 | 정부 및 기업 대응 일관성 확보 |
→ 조직 내 보안 대응 프로세스의 성숙도 향상에 직접적인 기여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 설명 | 고려사항 |
보안 벤더 | 패치 노트 및 권고문을 CSAF 형식으로 배포 | 고객 자동 처리 시스템 연동 필요 |
소프트웨어 개발사 | 제품별 영향 여부(VEX)와 패치 정보 포함 권고 배포 | SBOM 관리 시스템과 연계 필요 |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 CSAF 기반 위협 분석 자동화 도입 | JSON 검증 도구 필수 |
공공기관 | 보안 권고문 표준화를 통한 민간 협력 강화 | 국제 표준 준수 여부 확인 필요 |
→ JSON 생성 및 서명, 보안 유통 채널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운영 필요
7. 결론
CSAF 2.0은 보안 권고문을 정형화하고, 공급망 전반의 취약점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입니다. 특히 VEX 및 SBOM과의 연계를 통해 전체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가시성과 신속 대응력을 높이며, DevSecOps의 핵심 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향후 모든 보안 정보 전달은 CSAF 기반의 구조적 방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VC(Stakeholder-Specific Vulnerability Categorization) (0) | 2025.10.23 |
---|---|
HPKE (Hybrid Public Key Encryption, RFC 9180) (0) | 2025.10.22 |
Instance Metadata Service(IMDS) (0) | 2025.10.22 |
ISO 22320 (0) | 2025.10.22 |
ISO 22318 (0) | 2025.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