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Zero-Trust Segmentation (ZTS)

JackerLab 2025. 7. 21. 18:00
728x90
반응형

개요

Zero-Trust Segmentation(ZTS)은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의 핵심 전략으로, 네트워크 내부를 신뢰하지 않고 모든 트래픽을 지속적으로 검증하며, 마이크로 세분화(Micro-Segmentation)를 통해 내부 위협 확산을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방식을 탈피하여, 워크로드 간의 최소 권한 통신만 허용하고,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보안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Zero-Trust Segmentation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제로 트러스트 철학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논리적으로 세분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입니다. 트래픽 흐름을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 사용자, 데이터 등 세분화된 단위로 분석 및 제어하며, 위협 탐지 및 대응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2. 특징

특징 설명 기존 방식 대비 장점
마이크로 세분화 워크로드 단위의 세밀한 보안 정책 적용 내부 이동 경로의 위협 차단
지속적 검증 모든 요청과 통신을 실시간으로 인증 및 인가 인증 우회 및 lateral movement 방지
경계 없는 보안 네트워크 경계가 아닌 자산 중심 접근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

전통적인 방화벽만으로는 부족한 현대 환경에서 필수적인 보안 모델입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주요 기술 또는 툴
정책 엔진 사용자 및 워크로드의 접근 제어 정책 생성 및 적용 Illumio, Zscaler ZPA, Cisco Tetration
트래픽 시각화 통신 흐름을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정책 수립 지원 Flow Map, Application Dependency Mapping
보안 에이전트 각 엔드포인트에 설치되어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Host-based Agent, eBPF 기반 모듈

이러한 구성 요소는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와 통합되어야 높은 보안 효과를 발휘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관련 기술 스택
마이크로 세분화 엔진 네트워크 내부를 논리적 단위로 나누는 기술 Illumio Core, VMware NSX
정체성 기반 접근 제어 사용자 및 디바이스 정체성 기반 인증 Azure AD, Okta, Ping Identity
정책 자동화 동적 워크로드에 따라 정책 자동 갱신 Terraform, Ansible, REST API

ZT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탄력적으로 적용되며 자동화와 가시성이 핵심입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위협 확산 억제 공격자가 네트워크를 수평 이동하는 것을 방지 침해 범위 최소화
규제 대응 용이 컴플라이언스 기준에 부합하는 보안 모델 구현 PCI-DSS, HIPAA, ISO27001 등 대응 강화
운영 효율성 향상 보안 정책을 중앙에서 관리 및 자동화 가능 관리 비용 절감 및 일관성 유지

공격 표면을 줄이고 보안 태세를 향상시키는 전략적 보안 방식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적용 방식 고려사항
금융기관 내부망 보안 강화 워크로드 기반 마이크로 세그먼트 적용 서비스 간 종속성 분석 필수
클라우드 인프라 보호 VPC/Subnet 단위 대신 애플리케이션 단위 세분화 트래픽 흐름 가시성 확보 필요
제로 트러스트 확장 기존 VPN을 ZTNA와 ZTS로 대체 사용자 경험 저하 없는 설계 필요

도입 시에는 네트워크 복잡도와 기존 인프라 간의 연계성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7. 결론

Zero-Trust Segmentation은 기존 보안 체계를 혁신하는 핵심 전략으로,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친 위협을 능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특히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ZTS는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자동화 및 정책 기반 접근 제어와 결합하여 보안과 민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됨에 따라, ZTS는 앞으로도 필수적인 보안 아키텍처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Sharing Agreement Catalog (DSAC)  (0) 2025.07.22
Fabric-Attached Memory (FAM)  (0) 2025.07.22
Policy-as-Test (PaT)  (1) 2025.07.21
Sidecarless eBPF Mesh (eMesh)  (0) 2025.07.21
Steampipe Cloud (SPC)  (2) 202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