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트워크프로토콜 4

Sliding Window

개요Sliding Window(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은 데이터 통신에서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핵심적인 메커니즘입니다. 송신자와 수신자 간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윈도우라는 논리적 범위를 설정하여 연속적인 프레임 전송과 확인 응답(ACK)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TCP, ARQ, HDLC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Sliding Window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일정 범위 내에서 프레임을 관리하며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정해진 윈도우 크기만큼 데이터를 전송한 뒤 ACK를 기다리며 윈도우를 ‘슬라이딩’시켜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입니다.이 방식은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줄이고, 수신자의 처리 능력에 맞춰 전송을 조절..

Topic 2025.04.19

Go-Back-N ARQ

개요Go-Back-N ARQ는 Stop-and-Wait ARQ의 단점을 보완한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기반의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 방식입니다. 송신자가 한 번에 여러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프레임부터 이후 모든 프레임을 다시 전송함으로써 전송 효율과 신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ARQ 방식입니다.1. 개념 및 정의Go-Back-N ARQ는 송신자가 윈도우 크기(N)만큼의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하고, 수신자로부터 누락 없이 확인 응답(ACK)을 받지 못한 프레임 이후의 모든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수신자는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수신해야 하며, 중간에 누락된 프레임이 있으면 이후의 프레임은 모두 무시하고 ACK는 마지막으로 정상 수신된 ..

Topic 2025.04.19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개요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정보 등을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관리자의 수작업 없이도 수백~수천 대의 장치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며, 유선·무선 네트워크, 기업 환경, 홈 네트워크 등 다양한 곳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DHCP의 개념, 작동 원리, 구성 요소, 설정 방법 및 보안 고려사항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DHCP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IP 주소 및 관련 네트워크 설정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기존의 수동 IP 설정 방식에 비해 편의성과 효율성이 높아, 현대 네트워..

Topic 2025.04.02

X.25 (패킷 교환망 프로토콜)

개요X.25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널리 사용된 국제 표준 패킷 교환망 프로토콜로, 공중 데이터망(Public Data Network, PDN)에서 원거리 통신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전화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 기술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오류 제어를 내장하고 있어, 당시 낮은 품질의 회선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 글에서는 X.25의 개념, 구조, 프로토콜 계층, 동작 방식 및 현대적 의의까지 포괄적으로 설명한다.1. 개념 및 정의X.25는 ITU-T(구 CCITT)가 제정한 패킷 교환 프로토콜로, 단말 장치(DTE)와 네트워크 종단 장치(DCE) 간의 통신을 위해 설계되었다. 회선 교환 방식의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패킷 단위로 ..

Topic 2025.03.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