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리스크관리 7

RAID-B Log

개요RAID-B Log는 프로젝트 또는 제품 운영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위험(Risks), 가정(Assumptions), 이슈(Issues), 의존관계(Dependencies), 이점(Benefits)을 기록하고 추적합니다. 이 로그는 의사결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1. 개념 및 정의RAID-B Log는 프로젝트 관리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다음의 5가지 핵심 요소를 주기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체계적인 로그입니다.Risks(위험): 미래 발생 가능성 있는 문제Assumptions(가정): 근거 없는 전제 또는 조건Issues(이슈): 현재 발생 중인 문제Dependencies(의존관계): 외부 또는 내..

Topic 2025.07.02

Weinberg’s Second Law

개요Weinberg’s Second Law(와인버그의 제2법칙)는 소프트웨어 공학자이자 시스템 사고의 대가인 Gerald Weinberg가 제시한 통찰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솔루션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는 철학적이자 실용적인 원칙입니다. 이는 기술 시스템뿐 아니라 조직, 정책, 프로세스 설계 등 다양한 복잡계에서 적용되며, 변화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부작용’을 인식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Weinberg의 제2법칙은 복잡한 시스템에서의 문제 해결이 종종 새로운 형태의 문제를 낳는다는 관찰에서 출발합니다. 이는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리스크 분석(Risk Analysis) 등의 핵심 전제와 맞닿아 ..

Topic 2025.06.27

GRC-as-Code

개요GRC-as-Code는 Governance(거버넌스), Risk(위험관리), Compliance(규제 준수)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함으로써, DevSecOps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맞는 정책 일관성과 자동화된 통제를 실현하는 접근 방식이다. 이는 전통적인 수작업 기반 GRC 관리의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극복하며, 실시간 리스크 대응과 감사 대비를 가능하게 만든다.1. 개념 및 정의GRC-as-Code는 정책, 위험 규칙, 통제 기준을 코드로 정의하고 소스 코드처럼 버전 관리하며, 자동화 도구와 연계해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통제 체계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거버넌스 규칙은 선언적으로 정의되며, 실시간 감시 및 리포팅 시스템과 통합될 수 있다.2. 특징 항목 GRC..

Topic 2025.06.22

Four-Eyes Principle

개요Four-Eyes Principle(사안에 두 쌍의 눈을 둔다)은 한 사람의 단독 결정이나 행동에 의존하지 않고, 반드시 두 명 이상이 공동으로 확인 또는 승인하도록 하여 리스크를 줄이고 책임성을 높이는 통제 원칙입니다. 재무, 보안, 법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 투명성과 신뢰 확보를 위한 내부 통제 도구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중요 결정, 승인, 변경 작업을 하나의 책임자가 아닌 두 명 이상의 승인자가 검토 및 승인하는 내부 통제 절차유래기업 감사 및 규제 대응 목적에서 시작된 거버넌스 개념대안 용어Two-Person Rule, Dual Control, Dual ApprovalFour-Eyes는 단순한 검토 절차가 아닌, 책임과 권한을 분산하는 거버넌스 구조입니다...

Topic 2025.06.13

Bow-Tie Analysis

개요Bow-Tie Analysis는 조직의 주요 리스크에 대한 원인(Threat)과 결과(Consequence), 그리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예방 및 완화 조치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이름처럼 리스크 중심의 좌우 구조를 통해 원인-사건-결과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산업 안전, 정보보안, 금융,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위협(좌측)과 결과(우측), 제어 수단을 시각적으로 연결해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핵심 구성Threat, Top Event, Consequence, Barrier목적위험 원인-결과 파악 및 방지책/완화책의 통합 설계Bow-Tie는 Fault Tree(고장수목)와 Event Tree(사건수목)..

Topic 2025.06.12

정보시스템 감리

개요정보시스템 감리는 정보화사업 수행 시 독립된 제3자가 사업의 품질, 일정, 비용, 보안 등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평가하여, 문제 예방과 조기 대응을 유도하는 공공 IT 품질관리 제도입니다. 특히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 정보화사업에는 의무적으로 감리가 수행되며, 사업자와 발주기관의 책임 있는 시스템 구축을 촉진합니다.1. 개념 및 정의정보시스템 감리란 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유지보수 등 전 단계에서 시스템이 계획대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위험 요소를 사전에 진단하여 개선을 권고하는 품질보증 활동입니다. ‘정보시스템 감리 기준’(행정안전부 고시)에 따라 감리유형, 절차, 보고서 양식 등이 정해져 있으며, 감리결과는 정책 의사결정에도 활용됩니다.2. 주요 특징 항목 설명 ..

Topic 2025.04.10

BCF(Board Control Framework)

개요BCF(Board Control Framework, 이사회 통제 프레임워크)는 조직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Board of Directors)가 전략적 리스크를 통제하고, 거버넌스와 컴플라이언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적 관리 체계입니다. 특히 기업 지배구조 강화, 내부통제 체계 수립, ESG 대응, 책임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는 환경에서 BCF는 경영 투명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핵심 프레임워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BCF는 이사회가 기업 전반의 활동에 대해 전략적으로 관여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세스, 책임 체계, 리스크 관리 및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통합한 구조입니다. 단순한 보고 체계를 넘어, 이사회가 전략 실행, 윤리, 성과, 규제 준수 등..

Topic 2025.04.0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