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프트웨어보안 16

Memory-Safe Language Migration Plan

개요Memory-Safe Language Migration Plan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메모리 오류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언어 전환 전략입니다. C/C++과 같은 전통적인 언어에서 Rust, Go, Swift 등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하는 현대 언어로 점진적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보안성, 안정성,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메모리 안전 언어로 소스코드나 모듈을 전환하는 전략적 계획C/C++ → Rust/Go 등목적힙/스택 오류, 버퍼 오버플로우 등 메모리 취약점 제거보안 강화 중심필요성정부기관과 주요 기업의 메모리 안전 언어 권고 증가NIST, NSA 권고 포함이 계획은 전체 시스템 리팩토링이 아닌, 리스크 중심의 점진적 대체와 상호운용성..

Topic 2025.06.09

CycloneDX Spec

개요CycloneDX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목록(SBOM: Software Bill of Materials)을 정의하는 경량화된 표준 사양입니다. 특히 보안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어, 오픈소스 및 상용 소프트웨어의 구성 요소, 라이선스, 취약점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CycloneDX는 보안 사고 대응 속도 향상과 공급망 위험 감소에 효과적인 도구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정보를 명세하는 SBOM 표준 사양OWASP 주도 개발목적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및 투명성 확보취약점 관리 용이필요성정부 및 산업계의 SBOM 요구 증가 대응미국 행정명령 EO 14028 반영CycloneDX는 JSON, XML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며, 자동화된 보안..

Topic 2025.06.09

Rust Migration Guides

개요Rust Migration Guides는 기존 언어(C, C++, Go, Python 등)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메모리 안전성, 병렬성, 성능 최적화를 목표로 Rust 언어로 점진적 또는 전면적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안내하는 지침입니다. 특히, 보안 민감성, 시스템 리소스 최적화, 현대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Rust 전환은 점점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정의기존 소프트웨어를 Rust 기반으로 변환하거나 Rust와 통합하는 과정 및 베스트 프랙티스 가이드목적메모리 안전성 확보, 성능 최적화, 현대적 시스템 호환성 강화필요성C/C++ 기반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 유지보수 비용, 확장성 문제 대응 필요Rust Migration은 완전 교체 또는 하..

Topic 2025.05.01

VEX(Vulnerability Exploitability eXchange)

개요VEX(Vulnerability Exploitability eXchange)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SBOM, Software Bill of Materials) 내 발견된 취약점(Vulnerability)에 대한 실제 악용 가능성(Exploitability) 여부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 포맷입니다. 단순히 취약점 존재를 알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취약점이 현재 환경에서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합니다. VEX는 SBOM+VEX 조합을 통해 **공급망 보안(Supply Chain Security)**을 강화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소프트웨어 내 특정 취약점에 대한 악용 가능성 여부 및 상태를 명시하는 보안 데이터 교환 포맷..

Topic 2025.04.30

SSDF(Secure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

개요SSDF(Secure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 전반에 걸쳐 보안 원칙과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지침 및 최선의 관행을 정의한 프레임워크입니다. 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가 제안한 SSDF는 개발 단계부터 배포,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보안을 내재화(Shift Left)**하여 사이버 위협에 강한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보안 기능을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목적소프트웨어 제품의 보안 품질 향상 및 사이버 공격 표면 최소화필요성공급망 공격, 제로데이..

Topic 2025.04.30

SAST(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개요SAST(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는 소스 코드, 바이트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중간 코드 상태에서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는 정적 분석 기법입니다. 이는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수행되며, 보안 결함을 조기에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DevSecOps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며,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서의 보안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AST는 정적 분석 도구를 이용해 코드 실행 없이 취약점을 찾아내는 보안 테스트 방식입니다.목적개발 초기 단계에서 보안 결함을 사전에 탐지 및 수정필요성비용 효율성과 보안 품질 향상을 동시에 실현 가능SAST는 개발 단계에서 Shift Left Testing을 실현하며, 개발자 친화적..

Topic 2025.04.29

Software Composition Analysis (SCA)

개요Software Composition Analysis(SCA)는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 라이선스 위험, 버전 관리 상태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SCA는 오픈소스 의존성이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공급망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인 DevSecOps 접근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CA는 애플리케이션 빌드 시 사용된 오픈소스 구성 요소들을 식별하고, 해당 구성 요소들의 보안 취약점, 비호환 라이선스, 패치 미적용 상태 등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보안 위협을 제거하고,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SCA는 단순한 취약점 스캐너가 아니라,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와 컴포넌트..

Topic 2025.04.28

CLASP Methodology

개요CLASP(Classification of Secure Application Development Practices)는 보안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통합하기 위한 실천 기반의 개발 방법론으로, 소프트웨어 보안을 개발자, 설계자, 아키텍트 등 실무자에게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실용적이고 역할 기반의 접근이 특징이며, 개발 프로세스 내에서 수행해야 할 보안 활동을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보안 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다.1. 개념 및 정의CLASP는 OWASP(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에서 제안한 보안 개발 프레임워크로, 기존의 개발 프로세스에 보안 기능과 체크리스트를 통합하여 개발자가 실제로 실천할 수 있는 보안 활동을 정의한다. 역할..

Topic 2025.04.24

Seven Touch Points for Software Security

개요Seven Touch Points는 Gary McGraw 박사가 제안한 실천 기반의 소프트웨어 보안 개발방법론으로, 실제 개발 프로세스 속에 보안 활동을 자연스럽게 통합하기 위한 7가지 핵심 접점을 제시한다. 이는 전통적인 개발 생명주기(SDLC)나 DevSecOps와도 연계 가능하며, 조직이 개발 과정 중 언제, 어떤 방식으로 보안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안내한다. 특히 보안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줄이고, 코딩 단계부터 운영 단계까지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접근법이다.1. 개념 및 정의Seven Touch Points는 보안이 개발자의 업무 흐름 속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각 개발 단계에 삽입 가능한 7가지 보안 활동을 정의한다. 이는 보안을 외부 감사 항목이 아닌 개발 품질의 핵..

Topic 2025.04.24

MS-SDL Methodology

개요MS-SDL(Microsoft Security Development Lifecycle)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사 소프트웨어 제품의 보안 강화를 위해 개발한 보안 중심의 개발방법론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부터 보안을 설계에 내재화(Shift Left)하며, 위험 평가, 위협 모델링, 보안 테스트 등을 단계별로 통합하여 보안 사고를 예방하고 신뢰성 높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보안 인증이나 국제표준(ISMS, ISO 27001 등) 대응 시 효과적이다.1. 개념 및 정의MS-SDL은 2002년 마이크로소프트가 Nimda, Code Red 등 보안 사고 이후 도입한 SDLC 기반 보안 개발 프로세스이다. 'Secure by Design, Secure by Default, Secure in D..

Topic 2025.04.24

Secure Coding Guide

개요개발보안가이드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 전반에 걸쳐 보안을 고려한 안전한 코드 작성 기준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이는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예방하고, 해킹·침해 사고를 최소화하며, 정보 보호법 등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금융, 공공, 의료 등 보안이 중시되는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준수되어야 하며, 개발자, 기획자, 보안 담당자 모두에게 필요한 지침이다.1. 개념 및 정의개발보안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보안을 내재화(Shift Left)하는 개념으로, 보안 결함이 제품 출시 전에 제거되도록 한다. 한국에서는 행정안전부, 금융보안원, KISA 등이 개발보안가이드를 제정하여 권고하고 있으며, 주요 기준으로 CWE, OWASP Top 10 등이 사용된다.2. 특징..

Topic 2025.04.24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

개요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은 해커가 기업이나 조직의 직접적인 보안망이 아닌, 그 조직과 연결된 협력사, IT 솔루션, 개발 라이브러리, 서비스 공급자 등을 통해 침투하는 사이버 공격 방식입니다. 한 번의 침투로 다수의 하위 시스템을 감염시킬 수 있어, 그 피해 범위와 위협 강도가 매우 크며, 최근 SolarWinds, Kaseya, MOVEit 등 다양한 글로벌 사건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공급망 내의 신뢰된 외부 파트너나 소프트웨어를 악용하여 본래의 타깃 조직에 침투하는 공격 방식대상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개발자 도구, 제3자 API, 하드웨어 제조사, 물류업체 등목적감지 회피, 대규모 감염, 신뢰 체계 악용2. 주요 공격 방식방식설명사례소프..

Topic 2025.04.23

SLSA(Supply-chain Levels for Software Artifacts)

개요SLSA(Supply-chain Levels for Software Artifacts)는 소프트웨어 공급망(Supply Chain) 전반에 걸쳐 보안성과 무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개방형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구글(Google)이 주도하고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발전시키고 있는 이 모델은 최근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이 증가함에 따라, 개발-빌드-배포 과정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보안 기준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LSA는 개발자 코드부터 빌드 시스템, 패키지, 배포 환경까지 모든 소프트웨어 아티팩트(artifacts)가 어떻게 생성되고, 어떤 경로로 배포되는지를 추적 가능하고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핵심 목표:소프트웨어 아티팩트의 기원(traceability..

Topic 2025.04.04

소프트웨어 자재명세서 보안 (SBOM Security)

개요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제품이 어떤 오픈소스·서드파티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명확히 기술한 소프트웨어 구성 목록입니다. 최근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 증가와 더불어, SBOM은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관리를 위한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의 보안 규정(NIST, EO 14028)**에서도 필수 요소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BOM의 개념, 보안 가치, 관리 방법 및 실무 적용 전략을 소개합니다.1. SBOM이란? 항목 설명 SBOM소프트웨어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라이브러리, 모듈, 종속성 등)를 기록한 BOM 형식의 문서구성 항목구성요소 이름, 버전, 공급자, 해시값, 라이선스 정보,..

Topic 2025.03.26

서플라이 체인 보안 (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

개요서플라이 체인 보안(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은 소프트웨어 개발, 배포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방지하는 보안 전략입니다. 최근 대규모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이 증가하면서, 조직들은 서플라이 체인 보안을 강화하여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서플라이 체인 보안의 개념, 주요 위협, 보안 강화 방안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서플라이 체인 보안이란?서플라이 체인 보안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과정에서 사용되는 서드파티(Third-Party) 코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빌드 시스템, 배포 인프라 등의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념 설명 서플라이 체..

Topic 2025.03.25

CWE (Common Weakness Enumeration)

개요CWE(Common Weakness Enumeration, 공통 취약점 목록)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표준 리스트입니다. 이는 개발자와 보안 전문가가 보안 취약점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본 글에서는 CWE의 개념, 주요 분류, 활용 방법 및 보안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WE란?CWE는 MITRE에서 관리하는 보안 취약점의 표준 목록으로, 보안 취약점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개념 설명 CWE ID취약점 유형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 (예: CWE-79)CWE 목록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취약점 유형을 정리한 데이터베이스CVE와의 차이점CWE는 취약점 유형을 정의하고, CVE는 개별적인 취약점..

Topic 2025.03.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