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마트홈 9

MLO (Multi-Link Operation)

개요MLO(Multi-Link Operation)는 Wi-Fi 7에서 도입된 새로운 연결 방식으로, 하나의 디바이스가 여러 주파수 대역(2.4GHz, 5GHz, 6GHz)을 동시에 활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 지연 시간, 안정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핵심 기술이다. 본 글에서는 MLO의 기술 개념, 구성 방식, 장점, 활용 사례 등을 정리하여 네트워크 설계 및 고속 통신 기술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Multi-Link Operation은 하나의 STA(Station)가 여러 링크(주파수 대역)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술로, 다중 채널 동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목적고속, 저지연, 고신뢰 무선 통신 실현필요성IoT, AR/VR, 4K+ 스트리밍 ..

Topic 2025.06.29

매직 패킷(Magic Packet)

개요매직 패킷(Magic Packet)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원이 꺼진 컴퓨터를 원격에서 켤 수 있도록 해주는 특별한 포맷의 데이터 패킷입니다. WOL(Wake-on-LAN)의 핵심 구성 요소로, 로컬 또는 인터넷을 통해 특정 장치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전달되면 컴퓨터가 부팅되는 방식입니다. 기업 네트워크, IT 자산 관리, 홈 오토메이션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매직 패킷은 FF(16진수) 6바이트 + MAC 주소 16회 반복 구조의 특수한 이더넷 프레임입니다.목적: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를 원격으로 깨움(Wake-on-LAN)형식: FF FF FF FF FF FF + 16번 반복된 대상 MAC 주소전송 방식: 브로드캐스트 또는 특정 서브넷에 유니캐..

Topic 2025.06.02

Matter Stack

개요스마트 홈과 IoT 기기들이 확산되면서, 제조사마다 호환되지 않는 독자 프로토콜로 인한 상호운용성 문제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Google, Apple, Amazon, Samsung 등이 중심이 되어 주도한 표준이 바로 Matter입니다. Matter는 IoT 장치 간의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과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벤더 간 기기 연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실현하는 핵심 기술 집합이 바로 Matter Stack입니다.1. 개념 및 정의Matter Stack은 IoT 기기가 Matter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체 기술 스택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데이터 모델(Data Model), 보안 프로토콜(SPAKE2+, ..

Topic 2025.05.28

6LoWPAN (IPv6 over Low-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개요6LoWPAN은 IPv6 프로토콜을 저전력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LPWAN)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네트워크 기술입니다.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홈, 산업용 IoT 등 전력과 대역폭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도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줍니다. 이 글에서는 6LoWPAN의 개념, 구조, 기술적 특징, 장점 및 실제 적용 사례 등을 자세히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6LoWPAN은 “IPv6 over Low-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의 약자로, IEEE 802.15.4와 같은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위에 IPv6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소형 디바이스들이 기존 인터넷 인프라와 호환되며, 직접 통신이 가능해집니다.IoT 시대의 대규모 센..

Topic 2025.03.26

Wi-Fi 7 (802.11be)

개요Wi-Fi 7(802.11be)은 기존 Wi-Fi 기술보다 훨씬 빠른 속도, 낮은 지연시간,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하는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표준입니다. 특히 고화질 스트리밍, VR/AR, 클라우드 게이밍, 산업용 IoT 등 초고속 저지연 통신이 필요한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글에서는 Wi-Fi 7의 개념, 핵심 기술, 주요 장점,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Wi-Fi 7은 IEEE 802.11be로 표준화된 무선 LAN 기술로,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이라는 목표 하에 개발되었습니다. 기존 Wi-Fi 6E보다 4.8배 이상 빠른 이론적 최대 속도(최대 46Gbps)를 제공하며, 주파수 대역은 2.4G..

Topic 2025.03.26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개요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가시광 통신)는 LED 조명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로, 기존 Wi-Fi 및 RF 기반 통신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글에서는 VLC의 개념, 주요 특징, 기술 요소, 장점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개념 및 정의VLC는 인간의 눈에 보이는 빛(400~800nm)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일반적인 LED 조명을 활용해 데이터를 빠르게 변조하여 신호를 송출하며, 이를 광 센서를 통해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특히 Li-Fi(Light Fidelity)라는 기술로 발전하면서 Wi-Fi의 보완재로 각광받고 있다.2. 주요 특징 항목 내용주파수 대역가시광(400~800nm)전송 속도최대 10Gbps..

Topic 2025.03.20

UWB(Ultra Wideband)

개요UWB(Ultra Wideband)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과 정밀한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기술이다. 본 글에서는 UWB의 개념, 주요 특징, 기술 요소, 장점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개념 및 정의UWB(Ultra Wideband)는 매우 넓은 대역폭(500MHz 이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로, 낮은 전력으로 높은 속도의 데이터 전송과 센티미터 단위의 정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기존 Wi-Fi나 Bluetooth와 달리 짧은 거리에서 높은 대역폭을 활용해 저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특징이다.2. 주요 특징 항목 내용 주파수 대역3.1GHz~10.6GHz (초광대역)전송 속도최대 675Mbps통신 거리약 10~30m위치 정밀도10cm 이하의 초정..

Topic 2025.03.20

Zigbee

개요Zigbee는 IoT(사물인터넷) 및 스마트홈을 위한 저전력, 저비용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본 글에서는 Zigbee의 개념, 주요 특징, 구성 요소, 기술적 요소, 장점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개념 및 정의Zigbee는 IEEE 802.15.4 표준을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기술로, 센서 및 IoT 기기 간의 저전력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일반적인 Wi-Fi나 Bluetooth와 달리, 저전력 소비와 메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대규모 스마트홈 및 산업 IoT 시스템 구축에 적합하다.2. 주요 특징 항목 내용주파수 대역2.4GHz ISM 대역 (일부 지역에서는 868MHz, 915MHz 지원)연결 방식메시 네트워크 (Mesh Network) 구조 지원통신 거리약 10m~100m (..

Topic 2025.03.20

Bluetooth

개요Bluetooth는 다양한 전자기기 간의 무선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저전력 소비와 편리한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글에서는 Bluetooth의 개념, 주요 원칙, 구성 요소, 기술 요소, 장점 및 활용 사례를 다룬다.1. 개념 및 정의Bluetooth는 근거리 무선 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기술로, 주로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홈 제품 등에 사용된다. 1994년 에릭슨(Ericsson)이 처음 개발한 이후,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에서 표준화를 진행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2. 주요 특징 항목 내용 주파수 대역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

Topic 2025.03.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