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라우드 보안 48

DSP(Digital Supply-chain Protection)

개요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더 많은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서드파티 API에 의존하게 되었고, 그만큼 **공급망 공격(Supply-chain attack)**에 대한 위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DSP(Digital Supply-chain Protection)**는 이러한 복잡한 IT 환경에서 공급망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보안 위협에 대한 사전 대응 및 자동화를 통해 전체 공급망의 보안성을 확보하는 전략적 접근 방식입니다.1. 개념 및 정의**Digital Supply-chain Protection(DSP)**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API, 클라우드 리소스 등 디지털 자산이 외부 공급자와 연계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험을 식별하고, 이에 대해 모니터링, 감지, 대응 및 통제..

Topic 2025.05.28

QRNG-as-a-Service(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as-a-Service)

개요현대 암호 기술과 보안 시스템의 핵심 요소는 ‘난수’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난수 생성기는 소프트웨어 기반 의사 난수(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PRNG)를 사용하기 때문에 예측 가능성, 반복 가능성 등의 한계를 가집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QRNG(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이며, 이를 클라우드 API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 **QRNG-as-a-Service(QRNGaaS)**입니다. 본 글에서는 QRNGaaS의 개념, 기술 구조, 보안적 이점 및 실제 활용 방안 등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QRNG-as-a-Service(QRNGaaS)**는 양자역학의 불확정..

Topic 2025.05.28

SOC-as-Code(Security Operations Center as Code)

개요보안 운영센터(SOC)는 기업 정보보안의 중추 역할을 하지만, 전통적인 SOC 운영은 많은 인력과 수작업 중심의 대응으로 인해 복잡성과 운영 비용이 높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SOC-as-Code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코드 기반으로 보안 운영을 자동화하고 DevSecOps 환경에 자연스럽게 통합함으로써, 효율성과 민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C-as-Code란 기존의 보안 운영 프로세스를 코드화하여 인프라처럼 선언적 방식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Infrastructure as Code(IaC)처럼, 정책, 탐지 규칙, 대응 플로우 등을 코드로 관리함으로써 보안 운영의 재현성, 확장성,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목..

Topic 2025.05.27

PKI-as-a-Service (PKIaaS)

개요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인증, 암호화, 전자서명 등 다양한 보안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핵심 인프라가 바로 공개키 기반 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입니다. 그러나 자체 구축 방식의 PKI는 높은 초기 투자와 관리 복잡성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PKI-as-a-Service(PKIaaS)**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PKIaaS는 보안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갖춘 인증 인프라 솔루션으로, 기업의 빠른 보안 인프라 확장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PKIaaS는 PKI 구성 요소(인증기관 CA, 등록기관 RA, 인증서 수명주기 관리 등)를 클라우드 기반에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모델입니..

Topic 2025.05.24

Live Migration of Confidential VMs

개요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환경에서 유연한 자원 활용을 위해 가상 머신(VM)의 라이브 마이그레이션(Live Migration)은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하지만 민감 정보가 포함된 워크로드를 다룰 때는 보안과 무결성을 보장한 상태로 VM을 실시간 이전해야 하므로 더욱 고도화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Live Migration of Confidential VMs입니다. 이 기술은 Confidential Computing 기반의 VM을 라이브 상태에서 안전하게 다른 호스트로 이전하는 과정을 구현합니다.1. 개념 및 정의Live Migration of Confidential VMs는 민감 데이터가 포함된 가상 머신(Confidential VM)을 암호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

Topic 2025.05.24

Meltdown Hardening

개요Meltdown은 현대 CPU의 투기 실행(speculative execution) 기능을 악용하여 커널 메모리 영역의 민감 데이터를 사용자 공간에서 접근할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다. Intel, ARM 등의 CPU에서 주로 발견되며, 운영체제와 하이퍼바이저 전반의 보안 설계를 재검토하게 만든 사건이다. Meltdown Hardening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수준의 보안 방어 기술이다.1. 개념 및 정의Meltdown은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했을 때에도, 투기 실행 중에는 일시적으로 해당 데이터를 캐시에 로드하는 점을 악용한다. 공격자는 이를 기반으로 캐시 사이드 채널 분석을 통해 커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목적: 커널 메모리 보호 및 사용..

Topic 2025.05.11

Spectre

개요Spectre는 2018년 처음 공개된 하드웨어 취약점으로, CPU의 투기 실행(speculative execution) 최적화 기능을 악용하여 민감 정보를 누출할 수 있는 고급 사이드 채널 공격이다. 이는 현대의 고성능 CPU 아키텍처의 핵심 설계 원칙을 악용하며, 소프트웨어 수준에서 완전한 대응이 어렵다는 점에서 전 세계 보안 커뮤니티에 큰 충격을 주었다.1. 개념 및 정의Spectre는 프로세서가 미래의 실행 흐름을 예측하여 미리 연산을 수행하는 '투기 실행' 과정에서, 잘못된 분기 예측으로 인해 실행된 코드가 이후 롤백되더라도 일부 마이크로 아키텍처 상태(캐시 등)에 영향을 남긴다는 점을 악용한다.목적: 메모리 경계를 우회하여 보호된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접근작동 원리: 분기 예측 + 사이드 ..

Topic 2025.05.11

ASPM (Application Security Posture Management)

개요ASPM(Application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보안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시각화·관리하여 애플리케이션 전반의 보안 상태(Posture)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최신 보안 접근법이다. 이는 DevSecOps와 연계되어, 개발에서 배포까지 전 과정의 보안 가시성과 조치 능력을 극대화한다.1. 개념 및 정의ASPM은 애플리케이션 전 생애주기(Lifecycle)에 걸쳐 보안 관련 설정, 취약점, 접근 정책, 컴플라이언스 준수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보안 프레임워크이다. 기존의 SAST, DAST, SCA와 같은 도구에서 수집된 결과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분석하여 '보안 상황 인지' 중심의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목적:..

Topic 2025.05.11

제로트러스트 오버레이(Zero Trust Overlay)

개요제로트러스트 오버레이(Zero Trust Overlay)는 기존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 별도의 보안 계층을 구축하여, 사용자와 디바이스의 모든 접근 요청에 대해 지속적인 검증을 수행하는 보안 아키텍처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Trust No One)’는 제로트러스트 보안 철학을 실현하는 실질적인 구현 방식 중 하나로, 특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원격 근무 환경, OT(운영 기술) 보안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제로트러스트 오버레이는 기존 네트워크를 변경하지 않고, 그 위에 보안 정책 기반의 가상화된 보안 통신망(Secure Overlay Network)을 추가로 형성합니다. 사용자는 이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과 인가 과정을 거쳐 애플리케이션이나..

Topic 2025.04.05

자기치유 시스템(Self-Healing System)

개요자기치유 시스템(Self-Healing System)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 등의 IT 시스템이 스스로 문제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복구하는 기술이다. 이는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여 운영 중 발생하는 장애를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 없이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글에서는 자기치유 시스템의 개념, 주요 특징, 활용 사례, 장점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자기치유 시스템이란?자기치유 시스템은 IT 시스템이 장애를 사전에 탐지하고, 최소한의 인간 개입으로 자동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자율적 복구 기술이다. 이는 기존의 수동적인 유지보수 방식과 차별화되며,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1..

Topic 2025.03.23

컨피덴셜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

개요컨피덴셜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은 데이터가 사용 중일 때도 암호화 상태를 유지하며 보호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데이터 보안 방식은 저장(Storage) 및 전송(Transit) 중 암호화를 제공했지만, 컨피덴셜 컴퓨팅은 데이터가 처리(Processing)되는 동안에도 보호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글에서는 컨피덴셜 컴퓨팅의 개념, 주요 특징, 활용 사례, 장점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컨피덴셜 컴퓨팅이란?컨피덴셜 컴퓨팅은 데이터가 실행 중일 때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기반 신뢰 실행 환경(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을 활용하는 보안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클라우드 및 엣..

Topic 2025.03.23

데이터 클린 룸(Data Clean Room)

개요데이터 클린 룸(Data Clean Room)은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협력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환경이다. 광고, 마케팅, 금융, 의료 산업에서 개인정보 보호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데이터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 사용된다. 본 글에서는 데이터 클린 룸의 개념, 주요 특징, 활용 사례, 장점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데이터 클린 룸이란?데이터 클린 룸은 기업 간 데이터 공유 및 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개인 정보 보호를 보장하는 보안 환경이다. 데이터는 암호화되거나 익명화된 상태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개별 데이터가 아닌 집계된 데이터 분석 결과만 확인 가능하다.1.1 데이터 클린 룸의 필요성개인정보 보호 법규(예: GDPR, CCPA) 강화로 인해..

Topic 2025.03.23

클라우드 아웃소싱 리스크 관리

개요클라우드 아웃소싱(Cloud Outsourcing)은 기업이 자체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대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Cloud Service Provider)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클라우드를 도입하면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보안, 데이터 보호, 법적 문제 등의 다양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클라우드 아웃소싱의 주요 리스크와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을 살펴본다.1. 클라우드 아웃소싱의 필요성과 리스크클라우드 아웃소싱은 IT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이지만, 다양한 보안 및 관리 리스크를 동반한다.1.1 클라우드 아웃소싱의 필요성비용 절감: 물리적 서버 및 데이터센터 유지 비용 절감운영 효율성 향상: 클라우드 인프라를..

Topic 2025.03.22

Web Application Firewall(WAF)

개요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eb Application Firewall, WAF)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사이버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보안 솔루션이다. WAF는 웹 트래픽을 분석하여 악성 요청을 차단하고, SQL 인젝션(SQL Injection),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등의 공격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한다. 본 글에서는 WAF의 개념, 동작 원리, 주요 기능, 장점과 한계를 살펴본다.1. WAF(Web Application Firewall)란?WAF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사용자) 사이에서 웹 트래픽을 감시하고, 악성 요청을 차단하는 보안 장치이다. 이는 네트워크 방화벽과 달리, 애플리케이션 계층(HTTP/HTTPS)에서 작동하여 웹 기반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다..

Topic 2025.03.21

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개요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성을 검증하고 신뢰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인증 제도이다. 이 제도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정부 기관에서 관리하며, 공공기관 및 기업이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글에서는 CSAP의 개념, 필요성, 인증 절차, 장점과 한계를 살펴본다.1. 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이란?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의 보안성을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로,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CSAP는 국..

Topic 2025.03.21

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

개요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 국제공통평가기준)은 정보보안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고 국제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인증을 부여하는 글로벌 보안 표준이다. 이 인증은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이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글에서는 CC 인증의 개념, 평가 체계, 등급, 프로세스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이란?CC 인증은 정보보안 제품이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성을 갖추었음을 검증하는 국제 표준 인증이다. ISO/IEC 15408에 기반하여 설계되었으며, 여러 국가 간 상호 인증이 가능하다.✅ CC 인증을 받은 보안 제품은 국제적으로 검증된 보안성을 보장한다.1.1 CC ..

Topic 2025.03.20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

개요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는 국내 기업과 기관이 검증된 보안 제품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기존의 인증 절차보다 간소화된 확인 절차를 통해 보안성이 검증된 제품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글에서는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의 개념, 필요성, 운영 방식, 장점과 한계를 살펴본다.1.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란?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는 국가 및 공공기관이 보안 제품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인증 절차를 간소화한 제도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관련 기관이 운영한다.✅ 기존의 보안 인증 절차보다 빠른 확인 과정을 통해 최신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1.1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의 목적보안 제품의 신속한 도입: 기존 보안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여..

Topic 2025.03.20

ISO/IEC 19086-4 (클라우드 SLA 법적 준수 및 계약 요건)

개요ISO/IEC 19086-4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법적 준수 및 계약 요건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법적 관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GDPR, CCPA, ISO/IEC 27001 등의 글로벌 규제 준수를 보장할 수 있도록 SLA 내 법적 조항을 체계적으로 정의합니다. **ISO/IEC 19086-1(클라우드 SLA 개요), ISO/IEC 19086-2(SLA 성과 측정 메트릭), ISO/IEC 19086-3(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과 연계하여, 클라우드 계약의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서비스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4의 개념, 법..

Topic 2025.03.18

ISO/IEC 19086-3 (클라우드 SLA의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 정의)

개요ISO/IEC 19086-3은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에서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보안 기대치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항을 포함하도록 지원합니다. **ISO/IEC 19086-1(클라우드 SLA 개요 및 원칙), ISO/IEC 19086-2(SLA 성과 측정 메트릭)**과 연계하여, 클라우드 SLA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3의 개념, 주요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3이란?I..

Topic 2025.03.18

ISO/IEC 19086-2 (SLA 성과 측정을 위한 메트릭 및 평가 기준)

개요ISO/IEC 19086-2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메트릭 및 평가 기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성능, 가용성, 보안, 지원 수준 등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ISO/IEC 19086-1(클라우드 SLA 개요 및 원칙)**과 연계하여 SLA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계약 이행을 명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2의 개념, 핵심 메트릭, 평가 기준 및 적용 방법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2란?ISO/IEC 19086-2는 클라우드 SLA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Topic 2025.03.18

ISO/IEC 19086-1 (클라우드 SLA의 개요, 기본 개념 및 원칙 정의)

개요ISO/IEC 19086-1은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개념과 원칙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계약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서비스 품질(QoS) 및 성능 지표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ISO/IEC 19086 시리즈(1~4) 중 첫 번째 표준으로, 클라우드 SLA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칙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1의 개념, 핵심 원칙,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1이란?ISO/IEC 19086-1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수준 계약(SLA)을 정..

Topic 2025.03.18

ISO/IEC 19086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협약 – SLA)

개요ISO/IEC 19086은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협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서비스 품질, 성능, 보안, 법적 요구사항 등을 명확하게 합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SLA 평가 기준 및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이란?ISO/IEC 19086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협약(SLA) 표준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의 신뢰성을 높이고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1.1 주요 목적SLA의 핵심 요소 및 표준화..

Topic 2025.03.18

ISO/IEC 19086 시리즈

개요ISO/IEC 19086 시리즈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서비스 품질, 성능, 보안 및 법적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협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 시리즈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SLA 평가 기준 및 기업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 시리즈란?ISO/IEC 19086 시리즈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협약(SLA)을 표준화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명확한 성과 기준을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

Topic 2025.03.18

ISO/IEC 22123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과 용어 – 확장판)

개요ISO/IEC 22123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용어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으로, 기존 ISO/IEC 17788을 확장하여 최신 클라우드 기술과 개념을 포함한 표준화된 정의를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공통된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2123의 개념, 주요 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배포 모델 및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22123이란?ISO/IEC 22123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및 용어 표준입니다.이 표준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개념과 서비스 모델을 정의하며, 최신 클라우드 기술과 비즈니스 트렌드..

Topic 2025.03.16

ISO/IEC 17789 (클라우드 컴퓨팅 레퍼런스 아키텍처)

개요ISO/IEC 17789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 및 운영을 위한 레퍼런스 아키텍처(Reference Architecture, RA)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모델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7789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역할 모델 및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17789이란?ISO/IEC 17789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조적 모델을 정의하는 표준입니다.이 표준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및 운영을 위..

Topic 2025.03.16

ISO/IEC 17788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와 용어)

개요ISO/IEC 17788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정의와 주요 개념을 정리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 조직 및 개발자들이 일관된 용어와 개념을 기반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7788의 개념, 주요 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및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17788이란?ISO/IEC 17788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및 용어에 대한 표준입니다.이 표준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개념과 서비스 모델을 정의하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및 비즈니스적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할..

Topic 2025.03.16

ISO/IEC 27017 (클라우드 보안 통제)

개요ISO/IEC 27017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보안 통제 지침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ISO/IEC 27001과 ISO/IEC 27002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와 클라우드 고객(사용자) 모두가 보안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7017의 개념, 주요 보안 통제 항목,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27017이란?ISO/IEC 27017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클라우드 보안 통제 가이드라인입니다. 기존의 ISO/IEC 27002를 보완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Topic 2025.03.15

DevSecOps(Development + Security + Operations)

개요DevSecOps(Development + Security + Operations)는 소프트웨어 개발(Dev), 보안(Sec), 운영(Ops)을 통합하여 애플리케이션과 IT 인프라의 보안을 자동화하고 개발 속도를 유지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을 개발 및 운영 프로세스의 필수 요소로 포함하여 지속적인 보안 강화와 신속한 배포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evSecOps의 개념, 핵심 원칙, 주요 도구,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DevSecOps란 무엇인가?DevSecOps는 보안을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SDLC)의 초기 단계부터 통합하여, 코드 배포와 동시에 보안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론입니다. 이는 개발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보..

Topic 2025.03.11

CloudOps(Cloud + Operations)

개요CloudOps(Cloud + Operations)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 방법론으로, DevOps 및 FinOps와 연계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동화, 지속적인 모니터링, 보안 및 비용 최적화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loudOps의 개념, 핵심 원칙, 주요 도구,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CloudOps란 무엇인가?CloudOps는 클라우드 인프라의 구축, 운영, 모니터링, 보안 및 비용 관리를 최적화하는 운영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가용성과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1.1 기존..

Topic 2025.03.11

SecOps(Security + Operations)

개요SecOps(Security + Operations)는 보안(Security)과 IT 운영(Operations)을 통합하여 조직의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SecOps는 보안 팀과 운영 팀 간의 협업을 강화하고,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 XDR(Extended Detection and Response)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보안 운영을 최적화합니다. 본 글에서는 SecOps의 개념, 핵심 원칙, 주요 도구,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SecOps란 무엇인가?SecOps는 조직의..

Topic 2025.03.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