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라우드인프라 10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

개요SDx(Software-Defined Everything)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스토리지, 보안 등 모든 IT 인프라 요소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제어 및 운영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하드웨어 중심에서 벗어나 유연하고 자동화된 IT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클라우드 및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Dx는 "모든 것을 소프트웨어 정의"한다는 의미로, 인프라 전반을 소프트웨어로 통제하는 방식입니다.목적운영 자동화, 유연성 확보, 비용 절감 및 확장성 증대를 목표로 합니다.필요성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기반 환경에서 빠른 변화 대응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SDx는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SDS(Software-Define..

Topic 2025.04.29

Chaos Engineering

개요Chaos Engineering은 대규모 시스템이 예기치 못한 장애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의도적인 실패를 유도하는 실험 기반 접근 방식입니다. Netflix가 도입한 'Chaos Monkey'로 유명해졌으며, 최근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도 필수적인 신뢰성 확보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haos Engineering이란, 운영 중인 시스템에 통제된 실패를 주입하여 그 시스템의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문제 대응 능력을 사전에 검증하는 방식입니다. 단순한 부하 테스트나 장애 복구 시나리오와 달리, 실제 장애 상황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숨어 있는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이 개념은 대규모 분산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중요성이..

Topic 2025.04.28

분산된 기업(Distributed Enterprise)

개요분산된 기업(Distributed Enterprise)은 물리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흩어진 인력, 기술, 인프라를 하나의 유기체처럼 운영하는 현대적 조직 모델이다. 원격 근무, 글로벌 협업,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개념으로, 물리적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업무 수행 체계를 의미한다. 이는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 디지털 경험 중심 전략, 보안 강화 등의 흐름과 맞물려 기업 운영 방식의 근본적인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1. 개념 및 정의Distributed Enterprise는 조직의 기능과 인프라가 단일 본사나 오프라인 공간에 집중되지 않고,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동시에 중앙의 통제 없이도 독립적·협력적으로 운영되는 조직 형태를 말한다.목적: 효율적이고 유연한 글로벌 운영, 인재 확보, 디지..

Topic 2025.04.27

Scale Out vs Scale Up

개요IT 시스템의 확장은 비즈니스 성장과 트래픽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과제입니다. 이때 시스템 확장을 위한 전략으로 크게 'Scale Up(스케일 업)'과 'Scale Out(스케일 아웃)'이 존재합니다. 각각은 하드웨어 성능 향상을 통한 수직 확장과 서버 수를 늘리는 수평 확장 방식으로, 목적, 비용, 기술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클라우드 환경과 고성능 컴퓨팅 시대에 있어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할 개념입니다.1. 개념 및 정의구분정의핵심 개념Scale Up기존 서버의 CPU, RAM, 저장장치 등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직 확장 방식더 강력한 하드웨어로 교체하거나 업그레이드Scale Out서버를 추가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수평 확장 방식여러 대의 서버를 병렬로 구성2. 구조 비교항목Sc..

Topic 2025.04.22

I/O 가상화(IO Virtualization)

개요I/O 가상화(Input/Output Virtualization)은 가상 머신(VM) 또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물리적인 I/O 자원(스토리지, 네트워크, USB, GPU 등)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CPU, 메모리 가상화와 함께 I/O 가상화는 고성능 가상 인프라의 필수 요소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하나의 물리적 I/O 디바이스를 여러 가상 머신이 효율적으로 공유·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술목적자원의 활용률 극대화, 성능 유지, 안정적 가상 인프라 제공필요성고속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가 필수적인 환경에서 병목 최소화와 확장성 확보를 위함2. 특징 및 기술 구분유형설명주요 적용 사례에뮬레이..

Topic 2025.04.22

길더의 법칙(Gilder’s Law)

개요길더의 법칙은 통신 네트워크의 핵심 자원인 **대역폭(Bandwidth)**이 시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원리를 제시한 이론입니다. 이는 무어의 법칙이 처리 능력의 증가를 예측했다면, 길더의 법칙은 데이터 전송 능력의 비약적 향상을 설명하며, 인터넷, 클라우드, 5G, IoT 발전의 핵심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길더의 법칙(Gilder’s Law)은 기술 미래학자 조지 길더(George Gilder)가 제안한 개념으로, 네트워크 용량이 지속적으로 확장되며 정보 사회의 성장을 견인한다는 내용입니다.정의: 네트워크의 대역폭은 해마다 3배 이상 증가한다.비교 개념: 무어의 법칙이 CPU 성능의 18~24개월마다 2배 향상을 말한다면, 길더의 법칙은 네트워크 처리 속도와 용량..

Topic 2025.04.19

SDS(Software Defined System)

개요SDS(Software Defined System)는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모든 IT 인프라 자원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아키텍처입니다. 이는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 인프라 구조를 벗어나, 추상화(virtualization), 자동화(automation), 정책 기반 제어를 통해 보다 민첩하고 유연한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Software Defined System은 컴퓨팅 자원(CPU, RAM),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 구성 요소를 하드웨어와 분리된 소프트웨어 계층에서 제어하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핵심은 ‘소프트웨어 정의’로, 모든 제어 로직과 운영..

Topic 2025.04.19

Auto Scaling(자동 스케일링)

개요Auto Scaling(자동 스케일링)은 애플리케이션의 부하에 따라 컴퓨팅 자원(서버 인스턴스, 컨테이너 등)을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핵심적인 인프라 관리 기술로, 사용량 변화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최적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Auto Scaling은 설정된 조건(트래픽, CPU 사용률, 네트워크 지연 등)에 따라 인프라 리소스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여주는 기능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AWS, Azure, GCP 등)는 이를 기본 서비스로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 가용성과 성능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핵심 목적:수요 변화에 따른 서비스 안정성 유지유휴 리소스 제거를 통한 비용 효율성 ..

Topic 2025.04.05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개요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활용해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인프라 서비스입니다. 디지털 서비스가 글로벌화되고 사용자 경험(UX)이 핵심 경쟁력이 된 오늘날, CDN은 웹사이트 속도 향상, 트래픽 부하 분산, 보안 강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며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DN은 중앙 서버에 집중된 콘텐츠를 전 세계 여러 엣지 서버(Edge Server)에 분산 저장하고, 사용자가 요청할 때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핵심 목적:웹 성능 향상: 로딩 속도 단축으로 사용자 이탈률 감소..

Topic 2025.04.05

RTE (Real-Time Enterprise)

개요RTE(Real-Time Enterprise)는 기업이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통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민첩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적 개념입니다. 이 글에서는 RTE의 개념부터 기술 요소, 도입 효과, 실제 사례까지 상세하게 다루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RTE(Real-Time Enterprise)는 모든 비즈니스 활동이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분석되어, 지연 없는 의사결정과 자동화된 운영이 가능한 기업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습니다.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고객 요구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운영 효율성 극대화리스크 사전 대응2. 특징 주요 특징 설명 비고 실시간 정보 처리모든 시스템과 채널에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Topic 2025.04.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