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602

Consortium Blockchain (컨소시엄 블록체인)

개요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은 여러 조직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탈중앙성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효율성을 절충한 구조입니다. 은행, 보험사, 물류사 등 복수 이해관계자가 협업해야 하는 B2B 환경에 적합하며,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분산시켜 운영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사전에 승인된 복수 기관이 블록체인의 운영 권한을 공유하고 공동 관리하는 형태의 블록체인입니다.일부 중앙화된 구조를 갖되, 여러 주체가 합의와 데이터 검증에 참여함으로써 공정성과 투명성을 유지합니다.분산 원장의 이점(무결성, 추적성 등)을 유지하면서, 특정 산업 내 공동 운영 구조를 실현합니다.2. 구조 및 ..

Topic 2025.03.31

Private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

개요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은 특정 조직이나 기관이 접근 권한을 통제하고 운영하는 폐쇄형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개방성과는 달리, 거래 속도, 보안성, 데이터 프라이버시 확보에 초점을 맞추며, 주로 기업 간 협업, 공급망 관리, 내부 회계 및 기록 시스템 등에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정의, 구조, 특징, 장단점, 주요 플랫폼과 활용 사례를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참여자 접근과 읽기/쓰기 권한을 제한한 블록체인으로, 중앙 기관 또는 컨소시엄이 운영합니다.블록 생성 및 검증 권한도 허가된 노드에만 부여되며, 비공개 환경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와 무결성 검증이 가능합니다.완전한 탈중앙보다는 신뢰 기반의 네트워크 운..

Topic 2025.03.31

Public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

개요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탈중앙성과 투명성을 핵심 가치로 합니다. 모든 거래와 데이터가 공개되며, 노드 간 합의를 통해 블록이 생성되고 유지됩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대표적인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퍼블릭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 Web3, NFT, 디파이(DeFi)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 기술입니다. 본 글에서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정의, 구조, 장단점, 주요 사례 등을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든지 네트워크에 참여해 노드를 운영하고,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분산형 장부 시스템입니다.별도의 중앙 관리자 없이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네트워크가 유지되며, 완전한 투명성과 검열 저항성을 보장합니다.탈중..

Topic 2025.03.31

KYC(Know Your Customer, 고객확인제도)

개요KYC(Know Your Customer, 고객확인제도)는 금융기관, 가상자산사업자(VASP), 핀테크 기업 등이 고객의 신원과 거래 목적을 파악해 불법 활동(자금세탁, 테러자금 조달 등)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하는 신원 인증 절차입니다. 전통 금융은 물론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도 규제의 핵심 요건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Travel Rule, AML, FATF 권고 등과 함께 운영됩니다.1. 개념 및 정의KYC는 금융기관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의 신원, 주소, 직업, 자금 출처 등을 확인하는 절차입니다.AML(자금세탁방지), CFT(테러자금차단), 금융범죄 예방 등 다양한 규제 목적을 지원합니다.국제적으로는 FATF의 권고 사항에 기반하며, 국내에서는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중심이 됩..

Topic 2025.03.31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

개요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는 자금세탁방지(AML) 및 테러자금조달방지(CFT)를 위한 국제 표준을 수립하는 글로벌 기구입니다. 2019년, FATF는 가상자산(Virtual Assets, VA)과 가상자산사업자(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 VASP)에 대한 권고안을 발표하며 전 세계적으로 가상자산 규제 프레임워크가 본격화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FATF의 VASP 정의, 규제 요소, 핵심 요구사항 및 국내외 대응 사례를 상세히 다룹니다.1. VASP의 정의**VASP(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란, FATF 기준에 따라 다음 행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법인 또는 개인을 의미합니다:가상자산의 교환, 이전 ..

Topic 2025.03.31

Stablecoin(스테이블코인)

개요Stablecoin(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나 기타 자산에 가치를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암호화폐입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기존 가상자산의 높은 변동성과 달리, 실사용성과 결제 수단으로의 안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본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개념, 종류, 작동 방식, 주요 프로젝트, 장단점, 규제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Stablecoin은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로, 일반적으로 USD(미국 달러) 등 실물 자산에 1:1로 연동됩니다.법정화폐 기반, 암호화폐 담보 기반, 알고리즘 기반 등 다양한 형태로 발행됩니다.블록체인 상에서 결제, 송금, 디파이(DeFi) 등의 실질적 금융 활동에 활용됩니다.2. 스테이블코인 유형 유형 ..

Topic 2025.03.31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개요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형태의 법정 통화입니다. 기존 현금과 동일한 법적 지위를 가지며, 디지털화된 경제 환경에서 지급결제의 안정성과 포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BDC의 개념, 구조, 주요 국가 동향, 장단점, 기술적 요소 및 정책적 고려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CBDC는 국가의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 법정 통화입니다.실물 화폐(현금)와 달리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며, 기존의 계좌 기반 시스템과 블록체인 등 분산원장 기술(DLT)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일반 국민에게 직접 제공되는 소매형(Retail)과 금융기관 간 결제에 사..

Topic 2025.03.31

Travel Rule(트래블 룰)

개요Travel Rule(트래블 룰)은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제시한 가상자산(VASP) 규제 가이드라인으로, 암호화폐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 거래 시 송·수신자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규정입니다. 본래 은행 간 자금 이체에 적용되던 금융 규제가 가상자산 산업에도 적용되면서, 암호화폐 거래소, 수탁업자, 지갑 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법적 준수 의무가 확대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Travel Rule의 개념, 작동 방식, 적용 대상, 기술적 대응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Travel Rule은 일정 금액 이상(일반적으로 1,000달러 또는 1,000유로)의 가상자산을 이전할 때, 송신자와 수신자의 신원 정보를 VASP 간 함께 전송해야 한다는 규제입니다.FATF가 ..

Topic 2025.03.31

SIOP (Self-Issued OpenID Provider)

개요SIOP(Self-Issued OpenID Provider)은 사용자가 직접 인증 주체가 되어 OpenID Connect 프로토콜을 통해 자신의 디지털 ID를 제시하고 검증받을 수 있도록 하는 탈중앙형 인증 방식입니다. 기존 중앙화된 ID 제공자(Google, Facebook 등)의 종속성을 제거하고,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및 Verifiable Credential과 결합해 Web3 시대의 자기주권형 신원(Self-Sovereign Identity, SSI)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IOP는 기존 OpenID Connect 구조에서 ‘사용자 스스로’ OpenID Provider가 되는 확장 모델입니다.사용자는 DID를 기반으로 한 지..

Topic 2025.03.31

Verifiable Credential (VC)

개요Verifiable Credential(VC, 검증 가능한 증명서)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위·변조 없이 제3자에게 검증 가능한 디지털 증명 기술입니다. W3C의 DID(Decentralized Identifier) 표준과 함께 작동하며, 학위, 자격증, 의료 기록, 금융 정보 등 다양한 실제 증명서를 디지털화해 Web3 시대의 신원 증명 인프라를 형성합니다. 본 글에서는 VC의 개념, 구조, 장단점, 사용 사례를 포함한 기술적 배경을 상세히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Verifiable Credential (VC)**는 발행자가 서명하여 발급하고, 사용자가 저장·제시할 수 있으며, 검증자는 그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증명입니다.전통적인 PDF 증명서나 이메일 인증과는 달..

Topic 2025.03.31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개요DID(Decentralized Identifier)는 중앙 기관 없이 사용자가 스스로 디지털 신원을 생성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분산형 식별자입니다. 기존 ID 시스템의 중앙 집중형 구조와 달리, DID는 블록체인 및 탈중앙 기술을 기반으로 자기 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 SSI)을 가능하게 하며, Web3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ID의 구조, 동작 원리, 장단점, 활용 사례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DID는 탈중앙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고유한 식별자로, 특정 개인, 조직, 사물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DID는 중앙 서버나 인증 기관 없이 생성되며, 사용자가 소유하고 제어합니다.DID 문서(DID Documen..

Topic 2025.03.31

Paxos

개요Paxos는 분산 시스템에서 하나의 값에 대한 일관된 합의를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1998년 Leslie Lamport가 논문을 통해 소개한 Paxos는 장애 발생 시에도 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장하며, 고신뢰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기술로 평가받습니다. 본 글에서는 Paxos의 작동 원리, 구성 요소, 특징, 장단점, RAFT와의 비교 및 주요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Paxos는 분산된 환경에서 하나의 값에 대해 과반수 노드가 합의에 도달하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입니다.시스템이 일시적으로 분리되거나 노드가 실패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의 일관성(consistency)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집니다.핵심 아이디어는 다수결 기반의 합의 메커니즘을 세 단계로 나누어..

Topic 2025.03.31

RAFT(Reliable, Replicated, and Fault-Tolerant)

개요RAFT는 분산 시스템에서 노드 간 일관성(consistency)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Google에서 제안한 Paxos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2014년 Diego Ongaro와 John Ousterhout가 개발한 RAFT는 이해하기 쉽고 구현이 간단한 특성 덕분에 많은 분산 DB 및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RAFT의 작동 방식, 특징, 장단점,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RAFT (Reliable, Replicated, and Fault-Tolerant)**는 리더 선출, 로그 복제, 일관성 유지의 세 가지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합의 알고리즘입니다.Paxos와 유사한 수준의 안정성을..

Topic 2025.03.31

Blockchain Types(블록체인 종류)

개요블록체인은 탈중앙화, 투명성, 불변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에 혁신을 불러오고 있으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네트워크 구조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은 퍼블릭(Public), 프라이빗(Private), 컨소시엄(Consortium) 체인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보안성, 확장성, 운영 방식에 따라 활용 영역이 다릅니다. 본 글에서는 대표적인 블록체인 유형의 개념, 특징, 장단점, 활용 사례를 체계적으로 비교합니다.1. 개념 및 정의 유형 정의 주요 특징 퍼블릭 블록체인누구나 참여하고 읽고 쓸 수 있는 오픈 네트워크탈중앙성, 투명성 극대화프라이빗 블록체인특정 조직이나 기관이 관리하는 폐쇄형 블록체인빠른 속도, 데이터 비공개컨소시엄 블록체인여러 기관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반-탈중앙형 구조협력 기..

Topic 2025.03.30

Validium

개요Validium은 ZK-Rollup 계열의 Layer 2 확장 기술로, 트랜잭션의 데이터는 온체인이 아닌 오프체인에 저장하고, 유효성 증명(Zero-Knowledge Proof)을 메인체인에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처리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보안성과 무결성은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기업, 게임, NFT 서비스 등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Validium은 Zero-Knowledge 기술을 사용하지만, 롤업과 달리 트랜잭션 데이터를 온체인에 게시하지 않고 오프체인에 저장합니다.온체인에는 데이터가 없으므로 저장 비용이 매우 낮으며, 유효성 증명(ZK-Proof)을 통해 보안은 유지됩니다.StarkWare의 St..

Topic 2025.03.30

State Channels(상태 채널)

개요State Channel(상태 채널)은 오프체인(Off-chain)에서 참가자 간 상호작용을 처리하고, 최종 결과만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확장성 솔루션입니다. 빠른 거래 속도, 낮은 수수료, 실시간 반응성을 제공하면서도 메인체인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어, 마이크로 결제나 게임, 실시간 서비스 등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상태 채널의 구조, 작동 방식, 장단점, 활용 사례를 폭넓게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State Channel은 두 명 이상의 참가자가 스마트 계약을 통해 블록체인에 채널을 열고, 그 안에서 여러 거래를 오프체인으로 수행한 후, 마지막 결과만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식입니다.참가자 간의 직접적 합의를 통해 트랜잭션을 처리하므로, 네트워크 부담을 줄이면서 빠르고 효율적인..

Topic 2025.03.30

Sidechains(사이드체인)

개요Sidechain(사이드체인)은 메인 블록체인과 연결되지만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체인으로, 확장성 향상, 기능 실험,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블록체인 확장 기술입니다. 메인체인의 보안성과 탈중앙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실험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기업형 블록체인이나 DApp 개발자에게 유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사이드체인의 개념, 구조, 장단점, 주요 활용 사례 등을 포괄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Sidechain은 메인체인과 자산 이동이 가능한 독립된 블록체인으로, 자체 합의 알고리즘과 운영 규칙을 가질 수 있습니다.메인체인에서 자산을 Lock한 뒤 사이드체인에서 해당 자산을 연동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테스트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보통 양방..

Topic 2025.03.30

Optimistic Rollup vs ZK Rollup

개요Optimistic Rollup과 ZK Rollup은 이더리움의 확장성과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Layer 2 기술입니다. 두 기술 모두 다량의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처리하고 그 요약만 메인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속도 향상과 비용 절감을 실현합니다. 그러나 합의 방식, 보안 모델, 처리 속도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각각의 장단점과 적용 사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는 Optimistic Rollup과 ZK Rollup의 구조와 특징을 비교 분석합니다.1. Rollup 개요 및 정의Rollup은 Layer 2 확장 방식으로, 다수의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처리한 후 압축된 데이터를 Layer 1 블록체인(Ethereum)에 기록합니다.데이터는 온체인에 저장하되 실행은 오프체인에..

Topic 2025.03.30

Plasma

개요Plasma는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Layer 2 솔루션으로, 메인체인과 독립적인 하위 체인(Child Chain)을 구성하여 트랜잭션을 분산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Joseph Poon과 Vitalik Buterin이 공동으로 제안한 Plasma는 트랜잭션 처리 속도 개선과 수수료 절감, 네트워크 혼잡 해소에 기여하며, 한때 이더리움 확장성 해결책의 핵심으로 주목받았습니다. 본 글에서는 Plasma의 개념, 구조, 작동 원리, 장단점, 주요 프로젝트 등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Plasma는 메인체인(Ethereum) 외부에 별도의 하위 체인을 만들어 다수의 트랜잭션을 처리한 후, 최종 결과만 메인체인에 기록하는 오프체인 확장 기술입니다.각 Child Chain은 자체적..

Topic 2025.03.30

Scalability Solutions

개요Scalability Solutions(확장성 솔루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처리 속도(TPS), 용량, 사용자 수용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접근입니다. 이더리움, 비트코인 등 주요 블록체인은 탈중앙성과 보안성은 확보했지만, 확장성에서 큰 제약을 겪고 있어 Layer 1, Layer 2, 샤딩, 롤업 등 다양한 확장 기술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블록체인 확장성 문제의 본질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기술들을 종합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블록체인 확장성이란 네트워크가 증가하는 트랜잭션 수요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처리 속도(TPS), 거래 지연 시간, 수수료 부담 등 사용자 경험에 직결되는 요소이며, 대중화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 과제입니다.확장성 ..

Topic 2025.03.30

PoA (Proof of Authority)

개요PoA(Proof of Authority, 권한증명)는 소수의 신뢰받는 검증자(Authority)가 블록 생성 권한을 갖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탈중앙성과는 달리 속도, 효율성, 신뢰 기반 운영에 중점을 둡니다. 주로 프라이빗 체인이나 기업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활용되며,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비용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PoA의 개념, 구조, 장단점, 활용 사례 등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PoA는 사전에 승인된 검증자만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합의 구조입니다.검증자는 주로 기관, 기업, 혹은 식별 가능한 실체로 구성되어 있어, 신뢰 기반 운영이 가능하며, 무분별한 접근이나 익명성 공격을 방지합니다.퍼블릭 네트워크보다는 프라이빗 및 컨소..

Topic 2025.03.30

PBFT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개요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실용적 비잔틴 장애 허용)는 분산 시스템에서 일부 노드가 악의적이거나 오류를 일으켜도 전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초기에는 분산 컴퓨팅에서 출발했으나, 이후 블록체인 시스템—특히 프라이빗 및 컨소시엄 체인—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PBFT의 개념, 작동 구조, 장단점 및 주요 활용 사례를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PBFT는 비잔틴 장군 문제를 실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합의 알고리즘으로, 네트워크의 최대 1/3까지 악의적인 노드가 존재해도 합의가 가능합니다.비잔틴 장애는 노드가 단순히 다운되는 것뿐 아니라, 거짓 정보를 보내는 악의적 행위까지 포함됩니다.PBFT는 블..

Topic 2025.03.30

DPoS (Delegated Proof of Stake)

개요DPoS(Delegated Proof of Stake, 위임지분증명)는 전통적인 PoS(지분증명) 합의 구조를 개선하여, 네트워크 참여자가 자신이 신뢰하는 대표자(Delegate)에게 투표권을 위임하는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처리 속도와 확장성에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며, EOS, TRON 등 여러 고성능 블록체인에서 채택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PoS의 구조, 특징, 장단점, 주요 사례 등을 포괄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DPoS는 토큰 보유자가 직접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자신이 선택한 대표 노드(Validator 또는 Delegate)가 블록을 생성하도록 투표로 위임하는 방식입니다.민주주의와 위임 구조를 결합해 빠른 합의와 고속 거래 처리에 적합하며, 보안성과 탈중앙화 간 균..

Topic 2025.03.30

PoS (Proof of Stake)

개요PoS(Proof of Stake, 지분증명)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블록 생성 및 거래 검증 권한을 코인 보유량(지분)에 따라 부여하는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기존 PoW(작업증명)의 과도한 에너지 소비 문제를 해결하며, Ethereum 2.0을 비롯한 다양한 네트워크가 PoS 또는 그 변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oS의 작동 방식, 특징, 장단점, 주요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PoS는 네트워크 참여자가 보유한 암호화폐의 양과 보유 기간을 기반으로 블록 생성 확률을 부여하는 합의 알고리즘입니다.‘작업’ 대신 ‘지분’을 기반으로 하며, 자원을 많이 소모하지 않고도 블록체인 유지가 가능합니다.공격자가 네트워크를 조작하려면 전체 코인의 상당 지분을 보유해야 하므로, ..

Topic 2025.03.30

PoW (Proof of Work)

개요PoW(Proof of Work, 작업증명)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최초의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Bitcoin을 시작으로 다양한 암호화폐에 적용되어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작동해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PoW의 작동 원리, 특징, 장점과 단점, 주요 사례 등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PoW는 특정 계산 문제(해시 퍼즐)를 해결한 노드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경쟁 기반의 합의 알고리즘입니다.문제 해결에 소요된 연산 자원(작업량)을 바탕으로 블록 생성 권한을 부여하며, 이는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무작위성과 공정성을 확보합니다.주로 SHA-256 해시 알고리즘이 사용되며, 작업 증명을 통해 이중 지불(..

Topic 2025.03.30

Consensus Algorithms(합의 알고리즘)

개요Consensus Algorithms(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노드가 동일한 거래 기록과 상태에 대해 합의에 도달하게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중앙기관 없이 분산된 참여자들이 신뢰를 형성하고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며, 블록 생성 및 검증을 통해 탈중앙화된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대표적인 합의 알고리즘들의 원리, 특징, 장단점 및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Consensus Algorithm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 간에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합의 프로토콜입니다.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없이도 다수의 분산 노드가 동일한 거래 내역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합의 알고리즘은 탈중앙화 시스템의 보안성, 효..

Topic 2025.03.30

Smart Contract Security

개요Smart Contract Security(스마트 계약 보안)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이 해킹, 오류, 취약점으로부터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기술적·운영적 조치입니다. DeFi, NFT, DAO 등 실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 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안전한 스마트 계약 설계는 Web3 시대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스마트 계약 보안의 중요성과 위협 요소, 대응 전략, 실전 사례까지 폭넓게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Smart Contract Security는 스마트 계약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 악성 공격, 실행 오류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일련의 기술 및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스마트 계약은 배포 이후 수정이 어렵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부터 보안을 철..

Topic 2025.03.30

EVM (Ethereum Virtual Machine)

개요EVM(Ethereum Virtual Machine)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기 위한 가상 머신으로, 분산된 블록체인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계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Solidity로 작성된 스마트 계약은 EVM 상에서 실행되며, 다양한 EVM 호환 블록체인을 통해 확장성과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EVM의 정의, 구조, 기술 요소, 역할, 활용 사례 등을 상세히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EVM(Ethereum Virtual Machine)**은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탈중앙화된 소프트웨어 환경입니다.이더리움 노드마다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모든 연산을 동일하게 처리해 블록체인 상태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Solidity, Vyper 등의..

Topic 2025.03.30

Solidity

개요Solidity는 이더리움 기반의 스마트 계약 개발을 위한 고수준 프로그래밍 언어로, Web3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의 핵심 도구입니다. JavaScript, Python, C++ 등의 문법 스타일을 차용해 친숙한 개발 환경을 제공하며, DeFi, NFT, DAO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olidity의 정의, 구조, 문법, 활용 사례, 기술 스택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Solidity는 Ethereum Virtual Machine(EVM)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기 위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2015년 이더리움 재단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더리움 외에도 BNB Chain, Polygon, Avalanche 등 ..

Topic 2025.03.30

Smart Contract(스마트 계약)

개요Smart Contract(스마트 계약)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디지털 계약입니다. 중개자 없이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DeFi, NFT, DAO 등 다양한 Web3 생태계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 계약의 개념부터 구조, 기술 요소, 활용 사례까지 폭넓게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Smart Contract는 사람 간의 계약을 코드로 작성하여,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만든 디지털 계약입니다.1990년대 Nick Szabo가 처음 개념을 제안하였으며, 현재는 Ethereum 등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구현되고 있습니다.신뢰성, 자동성, 불변성을 갖춘 스마트 계약은 복잡한 거래를 투명하게 자동 처리할 수..

Topic 2025.03.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