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엔트로피 지수 vs 지니 지수

JackerLab 2025. 4. 17. 17:10
728x90
반응형

개요

엔트로피 지수(Entropy Index)와 지니 지수(Gini Index)는 모두 집단 내 분포의 균형 상태를 수치로 표현하는 통계 지표입니다. 두 지수 모두 '얼마나 고르게 혹은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측정하지만, 측정 방식과 해석의 목적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지표의 개념, 계산 방법, 차이점, 그리고 활용 사례를 비교해 정리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지표정의적용 대상

지니 지수 소득·자산 분포의 불평등 정도 측정 경제학, 복지정책, ESG 보고서
엔트로피 지수 범주 내 구성 요소의 다양성과 균형 측정 도시사회학, 생태학, 교육, 산업분석 등
  • 지니 지수는 로렌츠 곡선에 기반하며, **분포의 집중도(불평등)**를 측정
  • 엔트로피 지수는 정보이론에서 유래하여, **분포의 다양성(균등성)**을 측정

2. 계산 방식 비교

항목 지니 지수 엔트로피 지수
수식
값의 범위 0(평등) ~ 1(불평등) 0(불균형) ~ ln(n)(최대 다양성)
표준화 없음 또는 0~100% 보통 0~1로 정규화됨
주요 전제 누적 소득/자산 비율 기준 범주 간 비율 기반 확률 모델

지니 지수는 연속적 소득 데이터를 대상으로, 엔트로피 지수는 범주형 데이터 분석에 적합함


3. 특징 및 차이점

항목 지니 지수 엔트로피 지수
주요 목적 불평등 측정 다양성·균형 측정
데이터 타입 연속형 수치(소득 등) 명목형(범주, 비율 등)
최대값 조건 한 명이 모든 소득을 가질 때 모든 범주가 동일 비율일 때
사용 예시 소득격차, 자산 집중도 인종다양성, 산업분포, 라벨 균형

두 지표는 목적에 따라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4. 활용 사례

분야 지니 지수 활용 엔트로피 지수 활용
경제학 국가 간 소득 불균형 비교 산업 다양성 평가
도시계획 주거 소득 격차 도시 내 인종 구성 다양성
생태학 없음 종 다양성 지표 (Shannon Index)
교육 교육 자원 분배 격차 학교 내 다문화 구성 비율
데이터 과학 데이터 불균형 검출 라벨 클래스 균형 측정

5. 장점 및 한계

지표 장점 한계
지니 지수 직관적인 수치로 불평등 해석 용이 소득 정의 및 자료 전처리에 민감함
엔트로피 지수 복잡한 구성의 균형 측정 가능 범주 수가 많을수록 해석 난이도 증가

6. 결론

지니 지수와 엔트로피 지수는 모두 '분포의 형태'를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지니 지수가 “누가 더 많이 갖고 있는가”를 설명한다면, 엔트로피 지수는 “얼마나 다양한 구성이 있는가”를 설명합니다. 분석 목적에 따라 두 지표를 함께 사용하면 사회 현상이나 데이터 구조를 더욱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텔레매틱스(Telematics)  (0) 2025.04.17
레이더(Radar) & 라이다(LiDAR)  (0) 2025.04.17
엔트로피 지수(Entropy Index)  (0) 2025.04.17
지니 지수(Gini Index)  (2) 2025.04.17
토러스(Torus) 구조  (0)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