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레이더(Radar) & 라이다(LiDAR)

JackerLab 2025. 4. 17. 18:16
728x90
반응형

개요

레이더(Radar)와 라이다(LiDAR)는 물체의 거리, 방향, 속도를 감지하는 대표적인 원거리 센서 기술입니다. 자율주행차, 드론, 스마트시티, 산업자동화 등에서 공간 인식 및 장애물 감지에 활용되며, 각 기술은 작동 원리와 장단점, 적용 환경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본 글에서는 레이더와 라이다의 정의, 기술 원리, 비교, 활용 사례를 정리합니다.


1. 레이더(Radar)란?

항목 설명
정의 전파(Radio Wave)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해 거리·속도·방향을 측정하는 기술
어원 Radio Detection And Ranging (무선 탐지 및 거리 측정)
특징 장거리 감지, 날씨 영향 적음, 상대 속도 측정 가능

레이더는 군사·항공용에서 발전해 자율주행, 교통 모니터링, 레벨3 이상 차량에 탑재되고 있습니다.


2. 라이다(LiDAR)란?

항목 설명
정의 레이저(Light)를 발사하고, 반사되는 시간(Time of Flight)을 측정해 고해상도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
어원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광 탐지 및 거리 측정)
특징 고정밀 3D 스캔, 공간 해상도 우수, 실내·단거리 분석에 강점

라이다는 수십만 개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생성하며, 정밀지도 제작, SLAM, 스마트 인프라에 활용됩니다.


3. Radar vs LiDAR 비교

항목 Radar LiDAR
신호 유형 전파 (GHz 대역) 레이저 (근적외선, 905nm/1550nm 등)
감지 거리 수십~수백 미터 (장거리) 수백 미터 (단중거리)
공간 해상도 낮음 (거칠고 간결한 형상) 높음 (정밀한 3D 모델링)
속도 측정 가능 (도플러 효과 활용) 불가능 또는 보조 센서 필요
날씨 영향 낮음 (비, 안개, 눈에 강함) 높음 (우천/먼지에 민감)
가격대 낮음 높음 (메카닉 방식 기준)

실무에서는 레이더+라이다+카메라를 통합한 센서 퓨전(Sensor Fusion) 방식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4. 활용 사례

분야 Radar 활용 LiDAR 활용
자율주행 차량 주변 물체 감지, ACC, 전방충돌 경고 차선·차량의 정밀 형상 인식, HD Map 기반 주행
드론/항공 장애물 회피, 거리 유지, 고도 감지 고도계, 지형 3D 스캔, 재난 지역 탐색
스마트시티 교차로 교통 흐름 감지, 속도 추적 정차 차량, 보행자, 점유 공간 인식
로보틱스 접근 경보, 실내 이동 안전 실내 SLAM, 경로 계획, 객체 감지
산업용 생산라인 장애 감지, 진동 분석 부품 위치 캘리브레이션, 창고 내 경로 인식

Radar = 안정성과 내구성 중심 / LiDAR = 정밀도와 형태 인식 중심


5. 기술 동향 및 진화

항목 설명
솔리드 스테이트 라이다 회전 없는 반도체 기반 라이다, 가격/내구성 개선
4D 이미징 레이더 공간+속도+형상까지 감지하는 고해상도 레이더
센서 퓨전 알고리즘 LiDAR+Radar+Camera 통합 인식 AI 모델 활성화
라이다 on Chip (LiOC) SoC 기반 마이크로 라이다 기술, 소형화 진행 중

레이더는 범용·고신뢰성, 라이다는 정밀·고해상도 AI 활용성으로 발전 중입니다.


6. 결론

레이더와 라이다는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진 거리·공간 감지 기술입니다. 레이더는 저렴하고 날씨에 강하며 속도까지 감지 가능하고, 라이다는 고정밀 3D 스캔과 공간 인식에 탁월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환경은 두 기술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센서 융합(Sensor Fusion) 기반 시스템입니다. 미래 공간 인식 기술의 중심에는 이 두 센서가 반드시 함께합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G(Digital Tachograph)  (1) 2025.04.17
텔레매틱스(Telematics)  (0) 2025.04.17
엔트로피 지수 vs 지니 지수  (1) 2025.04.17
엔트로피 지수(Entropy Index)  (0) 2025.04.17
지니 지수(Gini Index)  (2)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