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

JackerLab 2025. 4. 5. 22:07
728x90
반응형

개요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는 기존의 물리 네트워크 위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된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에 있는 노드들을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추상화하고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이는 클라우드, 컨테이너, 멀티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제로트러스트, 서비스 메시 등의 핵심 요소로 활용됩니다.


1. 개념 및 정의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 존재하는 가상의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터널링, 캡슐화(encapsulation), 라우팅 프로토콜 등을 통해 물리적 경로와는 별개의 논리적 연결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물리적인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설계하고, 보안과 정책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오버레이 기술로는 VXLAN, GRE, MPLS, LISP 등이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Kubernetes)에서도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2. 특징

항목 설명 비고
추상화 계층 제공 물리 네트워크와 분리된 가상 네트워크 구성 유연한 네트워크 설계 가능
논리적 주소 체계 사용 IP/MAC과는 별개로 식별자 기반 라우팅 위치 무관 통신 가능
다양한 터널링 방식 VXLAN, GRE, IPsec 등 지원 보안, 성능에 맞춘 선택 가능

오버레이는 데이터 플레인을 물리 네트워크에, 제어 및 정책은 소프트웨어에 분리하여 관리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Virtual Network Interface VM/컨테이너가 연결되는 가상 인터페이스 veth pair, tap device
Overlay Tunnel 패킷을 캡슐화하여 전달하는 경로 VXLAN 터널, GRE 터널
Encapsulation Protocol 원본 패킷을 새로운 헤더로 감싸는 기술 VXLAN Header, UDP Encapsulation
Control Plane 터널 생성 및 정책 전파 담당 SDN Controller, BGP-EVPN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각 계층에서 독립적으로 정책을 구성할 수 있어 자동화와 보안 측면에서 매우 유리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활용 기술
VXLAN 가상 네트워크 식별자(VNI) 기반 오버레이 Kubernetes CNI(Flannel, Calico)
SDN 연동 오버레이 터널을 SDN 제어기로 통제 OpenDaylight, Tungsten Fabric
EVPN(BGP) VXLAN 오버레이의 MAC 라우팅 제어 데이터센터 간 연결용
암호화 터널링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을 위한 터널링 IPsec, WireGuard, TLS 기반

오버레이는 가상 네트워크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안성과 고가용성도 함께 제공합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효과
네트워크 분리 및 격리 논리적 구획 구성 가능 멀티테넌시, 보안 강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지원 클라우드-온프렘 간 연결 단순화 운영 유연성 확대
확장성 수천 개의 논리 네트워크 구성 가능 대규모 인프라 지원
중앙 집중 제어 정책 기반 트래픽 제어 가능 자동화 및 관리 효율 향상

대규모 마이크로서비스 및 SaaS 플랫폼에서는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필수 인프라로 작동합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분야 활용 사례 고려사항
클라우드 네트워크 AWS VPC, Azure VNet, GCP VPC 트래픽 분석 및 모니터링 툴 연계 필요
Kubernetes 네트워크 CNI 플러그인 기반 VXLAN Overlay MTU 설정 및 성능 최적화 필요
데이터센터 간 연결 EVPN VXLAN으로 WAN 확장 BGP 구성 및 경로 학습 고려 필요

터널링 및 캡슐화는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성능과 보안을 균형 있게 설계해야 합니다.


7. 결론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물리적 제약을 넘어 유연하고 민첩한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합니다. 클라우드 시대에 필수적인 인프라 구성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SDN, 보안 정책, 가상화 인프라와의 통합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네트워크 자동화와 분리된 보안 관리를 실현합니다. 향후에는 AI 기반 네트워크 제어 및 SASE, ZTNA와의 융합을 통해 더 진화된 네트워크 구조로 발전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