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DNS Covert Channel 공격은 DNS 프로토콜을 악용하여 외부와의 비인가 통신, 명령전달, 데이터 유출을 수행하는 은닉 채널 공격입니다. DNS는 기본적으로 허용된 서비스이며 대부분의 방화벽을 우회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자가 내부망에서 외부 C2 서버와 통신하거나 민감 정보를 유출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DNS Covert Channel의 개념, 공격 기법, 탐지 방안, 대응 전략을 다룹니다.
1. DNS Covert Channel의 개념
DNS Covert Channel은 도메인 이름 질의(DNS Request)의 구조를 활용해 악성 코드의 명령·제어 또는 데이터 전송을 은밀히 수행하는 통신 기법입니다. 즉, DNS 질의를 정상처럼 보이게 하면서 실제로는 내부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거나 공격 명령을 받아오는 숨겨진 채널입니다.
2. 공격 기법 및 전송 방식
방식 | 설명 | 예시 |
데이터 인코딩 기반 | Base32/64 등으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subdomain에 삽입 | dGVzdGluZw==.exfil.domain.com |
질의 이름 길이 활용 | 최대 255바이트를 활용해 패킷에 데이터 삽입 | 내부 키, 인증 토큰 전송 가능 |
TXT/NULL 레코드 악용 | 응답값 또는 쿼리에 메시지 삽입 | Command & Control 용도 |
분산형 요청 | 다수의 짧은 쿼리로 정보 분산 전송 | 탐지 회피 목적 |
이러한 공격은 정상 DNS와 거의 유사하게 보이므로 탐지가 매우 어려움.
3. 주요 도구 및 공격 사례
도구/사례 | 설명 | 공격 기능 |
Iodine | 터널링용 DNS Covert Channel 오픈소스 | TCP/IP 통신, 리버스 셸 제공 |
DNSCat2 | 암호화 기반 DNS C2 구축 도구 | 명령 전송, 파일 업/다운 가능 |
OzymanDNS | Perl 기반 DNS 터널링 도구 | Base64 인코딩 통신 지원 |
OilRig 캠페인 | 중동 타깃 APT 그룹의 DNS 통신 악용 사례 | 내부 정보 유출 및 C2 명령 수신 |
FeederBot 멀웨어 | DNS 응답을 통해 페이로드 지속 업데이트 | DNS 응답 변조 방식 활용 |
실제로 많은 APT 그룹이 DNS Covert Channel을 침투 수단으로 사용 중.
4. 탐지 및 대응 전략
전략 | 설명 | 구현 방법 |
DNS 로그 분석 | subdomain 길이, 질의 패턴 이상 탐지 | SIEM 연계, DNS 로그 시각화 |
도메인 엔트로피 검사 | 무작위 문자열 여부 분석 | zxcvbn, Shannon Entropy 활용 |
빈도 기반 분석 | 동일 도메인에 다량 요청 여부 모니터링 | 통계 기반 탐지 시그니처 생성 |
DNS 터널링 차단 장비 적용 | DNS 메시지 내 콘텐츠 분석 | DNS 보안 게이트웨이, DDI 솔루션 |
DNS over HTTPS(DOH) 제한 | HTTPS 기반 은닉 통신 통제 | 브라우저 정책 관리, 프록시 필터링 |
탐지 효율은 정상 쿼리와의 차이를 정의하는 분석 룰의 정교함에 좌우됨.
5. 방어 아키텍처 구성 예시
- DNS Forwarder + SIEM 연동
- 내부 DNS 요청 전량 로깅 및 주기적 분석
- 커스텀 탐지 룰 적용: 요청 길이, TTL 이상, 유사도 낮은 도메인 차단
- Threat Intelligence 연동된 DNS 블랙리스트 자동 업데이트
정상 사용자 DNS 트래픽을 보호하면서 이상 요청만 선별하는 구조 설계 필요
결론
DNS Covert Channel 공격은 네트워크 인프라의 신뢰 기반을 악용하여 이루어지는 은밀하고 지속적인 위협입니다. 특히 방화벽이나 IDS를 우회하고, 보안 솔루션의 사각지대를 노리는 공격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통신 수단입니다. 조직은 DNS 로그를 단순 인프라 로그가 아닌 보안 자산으로 간주하고, 탐지/차단 체계를 정교하게 구축해야 합니다.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 난독화(Code Obfuscation) (1) | 2025.04.14 |
---|---|
위협 모델링(Threat Modeling) (0) | 2025.04.14 |
DNS 취약점(Domain Name System Vulnerabilities) (0) | 2025.04.14 |
NTP 취약점(Network Time Protocol Vulnerabilities) (0) | 2025.04.14 |
SMB 취약점(Server Message Block Vulnerabilities) (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