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DRAM vs SRAM

JackerLab 2025. 4. 2. 11:59
728x90
반응형

개요

DRAM(Dynamic RAM)과 SRAM(Static RAM)은 컴퓨터 및 디지털 기기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휘발성 메모리로, 각각 주기억장치와 캐시 메모리로 주로 사용됩니다. 두 메모리는 저장 방식, 속도, 전력 소비, 집적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시스템 성능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본 글에서는 DRAM과 SRAM의 구조적 차이, 특성, 사용 용도, 장단점을 체계적으로 비교·정리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구분 DRAM SRAM
정식 명칭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동작 방식 축전기 전하 저장, 주기적 리프레시 필요 플립플롭 유지, 리프레시 불필요
전원 제거 시 데이터 삭제됨 (휘발성) 삭제됨 (휘발성)

DRAM은 주기적 재충전이 필요하며 간단한 구조로 고밀도 구현이 가능하고, SRAM은 빠르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지만 고가이며 집적도가 낮습니다.


2. 구조 비교

항목 DRAM SRAM
기본 셀 구성 1 트랜지스터 + 1 커패시터 6 트랜지스터 (플립플롭 회로)
리프레시 필요 여부 필요 (수 ms 주기) 불필요
회로 복잡도 단순 복잡
집적도 높음 낮음
면적당 저장 용량 작음

DRAM은 단순 구조 덕분에 대용량 메모리로 구현이 용이하며, SRAM은 속도와 안정성에서 우위를 보입니다.


3. 성능 및 전력 비교

항목 DRAM SRAM
액세스 속도 느림 (10~100ns) 매우 빠름 (1~10ns)
전력 소비 낮음 (비활성 시) 높음 (항상 전력 유지 필요)
대역폭 중간 높음
가격 저렴 고가

SRAM은 캐시 메모리, 레지스터 등 속도가 중요한 부분에 사용되며, DRAM은 대용량의 주기억장치로 적합합니다.


4. 주요 사용 분야

메모리 유형 사용 예시 설명
DRAM PC 메인 메모리 (RAM), 모바일 DRAM, GPU VRAM 대용량, 비용 효율적 필요
SRAM CPU 캐시 (L1/L2/L3), FPGA 내부 메모리, SSD 버퍼 고속, 저지연 메모리 필요

현대 시스템에서는 SRAM과 DRAM을 계층적으로 함께 사용하여 성능과 용량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5. 장점 및 단점 비교

구분 DRAM SRAM
장점 고집적도, 저비용, 대용량 구현 가능 고속 액세스, 안정성 높음
단점 리프레시 필요, 속도 느림 고비용, 공간 차지 큼

DRAM은 전력 및 공간 효율, SRAM은 속도와 반응성에서 각각 장점이 있습니다.


6. 실무 활용 예시

분야 DRAM SRAM
데스크탑/노트북 메인 메모리 (DDR4/DDR5) CPU 캐시 메모리
스마트폰 LPDDR 메모리 이미지 처리용 임시 메모리
임베디드 시스템 외장 DRAM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장 SRAM
서버/클라우드 ECC 지원 DRAM 고속 캐시로 SRAM 사용

시스템 설계 시 두 메모리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조합이 필요합니다.


7. 결론

DRAM과 SRAM은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한 메모리로, 대용량 저장이 필요한 곳에는 DRAM, 고속 응답이 필요한 영역에는 SRAM이 사용됩니다. 현대의 컴퓨터 구조는 이 두 메모리를 계층 구조로 배치하여 성능과 비용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메모리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들의 효율적 활용 전략도 계속 진화 중입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 vs HDD  (2) 2025.04.02
DMA(Direct Memory Access)  (0) 2025.04.02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Page Replacement Algorithms)  (0) 2025.04.02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0) 2025.04.02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