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Fan-in / Fan-out

JackerLab 2025. 4. 27. 10:19
728x90
반응형

개요

Fan-in과 Fan-out은 모듈 간의 의존성과 결합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설계 지표로, 복잡성과 유지보수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시스템 통합, 테스트 설계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조에서 모듈 간 관계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이다.


1. 개념 및 정의

용어 정의 의미
Fan-in 하나의 모듈이 호출되는 횟수 재사용도, 핵심 기능 지표
Fan-out 하나의 모듈이 다른 모듈을 호출하는 수 의존도, 결합도 지표
  • Fan-in이 높다: 해당 모듈이 여러 곳에서 호출됨 → 재사용성 높음, 그러나 변경 시 영향 범위 큼
  • Fan-out이 높다: 많은 외부 모듈에 의존함 → 변경 시 취약, 유지보수 부담 증가

2. 활용 사례

분야 Fan-in 활용 Fan-out 활용
MSA 공통 서비스 호출 횟수 파악 특정 서비스가 몇 개 서비스에 의존하는지 파악
단위 테스트 테스트 대상 함수의 재사용성 분석 테스트 대상이 호출하는 외부 함수 수 분석
리팩토링 중복 모듈 식별 → 통합 고려 의존 분리 대상 식별 → 디커플링 유도
통합 테스트 다수 모듈이 하나에 집중될 경우 집중 테스트 대상 선정 테스트 안정성 확보 위한 의존성 시각화

Fan-in/Fan-out은 아키텍처 설계뿐 아니라 테스트 전략 수립에도 유용하다.


3. 이상적인 Fan-in / Fan-out 구조

유형 특징 권장 방향
높은 Fan-in, 낮은 Fan-out 공통 모듈로 자주 호출되며, 자체 의존은 적음 재사용성 높고 유지보수 용이
낮은 Fan-in, 높은 Fan-out 특정 모듈이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외부 호출 많음 구조 복잡도 증가, 개선 필요
낮은 Fan-in, 낮은 Fan-out 독립적, 제한된 역할 수행 전용 도메인 함수에 적합
높은 Fan-in, 높은 Fan-out 핵심 모듈이나 복잡성 매우 큼 테스트/보안/배포 모두 주의 필요

Fan-in이 높을수록 품질 관리가 중요하며, Fan-out이 높을수록 의존성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4. Fan-in / Fan-out 분석 방법

  • 정적 분석 도구 활용: SonarQube, Understand, CodeMR 등에서 자동 분석 가능
  •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작성: 서비스 간 호출 관계 시각화
  • 코드 리뷰 체크리스트에 Fan-out 여부 포함
  • 모듈 분리 기준 정의: Fan-out이 일정 이상이면 분리 대상 고려

이 지표는 팀 단위 코드 품질 관리 정책 수립에도 활용 가능하다.


5. 관련 개념과의 연계

개념 연계 설명
결합도(Coupling) Fan-out이 높을수록 결합도 높음 → 응집력 저하 우려
응집도(Cohesion) Fan-in이 높을수록 해당 모듈 기능 응집도 판단 가능
SOLID 원칙 단일 책임 원칙(SRP), 의존 역전 원칙(DIP)과 연계해 분석
서비스 메시 마이크로서비스 간 Fan-out을 관찰 및 제어하는 기술

Fan-in/Fan-out은 추상적 지표이지만 실제 아키텍처 품질에 직결된다.


6. 결론

Fan-in과 Fan-out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적 복잡성과 유지보수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메트릭이다. 이 지표를 통해 재사용성이 높은 핵심 모듈을 식별하거나, 의존성이 과도한 설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모듈 간의 결합도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 모놀리식, 레이어드 아키텍처 등 모든 형태의 설계에서 Fan-in/Fan-out 분석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 소프트웨어(Green Software)  (0) 2025.04.27
SDP(Software Defined Perimeter)  (0) 2025.04.27
메타휴리스틱스(Metaheuristics)  (0) 2025.04.27
제너레이티브 AI(Generative AI)  (0) 2025.04.27
자율 시스템(Autonomous Systems)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