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High-NA EUV(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는 반도체 집적도 향상을 위해 기존 EUV 리소그래피의 수치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를 높인 차세대 미세공정 기술입니다. ASML이 주도하는 이 기술은 0.55 NA를 채택하여 2nm 이하의 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며, 차세대 고성능 반도체 소자의 생산을 위한 핵심 패터닝 플랫폼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High-NA EUV는 파장 13.5nm의 EUV 광원을 활용하면서, 광학 시스템의 수치 개구수(NA)를 기존 0.33에서 0.55 이상으로 높여 해상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리소그래피 기술입니다.
- NA 정의: NA = n × sin(θ), 해상도와 반비례
- 기술 목표: 2nm 이하 노드 대응, 8nm HP (Half Pitch) 이하 분해능 확보
- 핵심 제조사: ASML의 EXE 시리즈 (EXE:5000 등)
2. 특징
항목 | High-NA EUV 특징 | 기존 EUV(0.33 NA)와의 비교 |
해상도 | 8nm HP 이하 구현 가능 | 약 13nm 수준 해상도 한계 |
단일 노광 한계 축소 | Multi-patterning 필요성 감소 | LELE, SADP 공정 필요함 |
광학 구조 | 투사비 8배 이상 증가, 반사경 복잡도 상승 | 비교적 단순한 반사계 |
High-NA EUV는 해상도 향상을 위해 시스템 크기와 정밀도 모두를 극한으로 확장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역할 |
EUV 광원 | CO2 레이저로 생성된 플라즈마 기반 13.5nm 광 | 고에너지 광자 생성 |
고NA 반사경 집합 | 멀티 반사형 미러 시스템 | 집속된 고정밀 광학 전송 구현 |
마스크 블랭크 | 반사형 EUV 마스크 | 노광 패턴 생성 (Pellicle 이슈 존재) |
정밀 스테이지 | nm 단위 정렬 시스템 | 패턴 정확도 및 overlay 정밀 확보 |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목적 |
DUV vs EUV | DUV(193nm) 한계를 극복 | ArF Immersion의 물리적 한계 극복 |
Telecentricity 확보 | 고NA에서 입사각 왜곡 최소화 | CD(치수) 편차 방지 |
Stochastic Variation 억제 | Shot noise 및 도징 편차 보정 | Yield 저하 원인 감소 |
High-k Resist | 고흡수 EUV 감광제 개발 | 해상도 향상 및 SNR 개선 |
5. 장점 및 이점
장점 | 설명 | 기대 효과 |
해상도 향상 | 2nm 이하 노드까지 구현 가능 | 차세대 모바일/AI 칩 대응 |
공정 단순화 | Multi-patterning 필요 감소 | 생산 공정 비용/시간 절감 |
생산성 개선 | Shot 수 감소, throughput 개선 | Fabs의 생산 효율 향상 |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 설명 | 고려사항 |
2nm AI 프로세서 | 초미세 노드 대응 고밀도 설계 | Overlay 정밀도 확보 필요 |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 DRAM/Flash 셀 미세화 | 노광 영역 평탄도 중요 |
HPC/GPU 반도체 | 고열 설계 대응 고집적 배선 구현 | 패턴 fidelity 유지 과제 존재 |
Pellicle 투명도, 마스크 결함 및 감광제 개발은 상용화의 관건입니다.
7. 결론
High-NA EUV 리소그래피는 2nm 이하 노드로 진입하기 위한 필수 노광 기술로, 고해상도 구현과 공정 단순화를 동시에 실현하는 차세대 반도체 제조의 핵심 플랫폼입니다. 초정밀 광학 설계, 감광제 개발, 마스크 안정성 등 해결 과제도 많지만, 양산 체계가 갖춰질 경우 반도체 산업의 또 다른 기술적 도약을 이끌 중요한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uromorphic Photonics(뉴로모픽 포토닉스) (0) | 2025.05.23 |
---|---|
Complementary FET (CFET) (1) | 2025.05.23 |
OpenYurt (1) | 2025.05.23 |
KubeEdge (0) | 2025.05.23 |
Orbital Angular Momentum (OAM) Multiplexing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