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KSI(Keyless Signature Infrastructure)는 비대칭키 기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방식 대신, 해시 체인을 활용한 블록체인 구조로 데이터 무결성과 타임스탬프를 보장하는 디지털 서명 인프라이다. 서명 키 없이도 위·변조 방지 및 신뢰 검증이 가능하며, 정부, 금융, 국방 등 고신뢰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 설명 |
정의 | KSI는 비밀키를 사용하지 않고, 해시 트리와 타임스탬프 체인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증명하는 분산형 서명 인프라이다. |
특징 | 해시값 기반 서명, 영구적 검증 가능, 중앙화 리스크 없음 |
기반 기술 | 해시 트리(Merkle Tree), 타임스탬프 체인, 블록체인 |
KSI는 일반적인 서명 생성-검증 모델을 탈피하여, 신뢰 기관 없이 데이터 진위 검증을 가능하게 한다.
2. 구조 및 작동 방식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해시 트리 | 다수의 데이터 해시를 Merkle Tree로 구성 | Leaf 노드: 각 데이터 해시, Root 해시 공유 |
타임스탬프 체인 | 시간 순으로 연결된 해시 기반 블록체인 | 주기적으로 Anchor 블록 생성 |
Aggregation | 여러 해시를 병합하여 하나의 서명값 생성 | Hash -> Tree -> Chain 경로 구성 |
Publication | 외부에 공개된 Root 해시 저장소 | 신문, DNS, 공공 저장소 등 |
Verification | 데이터 해시값 + 증명 경로로 위·변조 여부 검증 | Verifier 노드, 클라이언트 검증 도구 사용 |
공개된 앵커 블록을 기반으로 제3자 검증이 가능하다.
3. 전통 PKI와의 차이점
항목 | PKI (공개키 기반 서명) | KSI |
서명 방식 | 개인 키 기반 디지털 서명 | 해시값 기반 체인 서명 |
키 관리 | 개인/조직 키 보관 및 폐기 필요 | 키 없음, 노출 위험 없음 |
신뢰 모델 | CA/RA 등 중앙 신뢰기관 의존 | 중앙기관 없음, 블록체인 기반 검증 |
검증 지속성 | 인증서 유효기간 존재 | 영구 검증 가능 |
KSI는 인증서 갱신, 해킹 리스크 등 기존 PKI 단점을 해소한다.
4. 활용 사례 및 효과
사례 | 설명 | 효과 |
정부 기록 보존 | 행정정보, 법령 개정 이력 위변조 방지 | 공공기록의 감사 추적성 확보 |
산업 설비 로그 검증 | OT 시스템의 로그 조작 방지 | 보안 규제 대응, 위협 대응 가능 |
의료/금융 데이터 보호 | 민감 데이터의 위조 탐지 | 제3자 검증 가능성 확보 |
사이버 공격 증거 보존 | 공격 전후 로그 무결성 보장 | 포렌식 증거력 강화 |
KSI는 Zero Trust 보안 모델과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5. 결론
Keyless Signature Infrastructure는 ‘신뢰 기관 없는 서명’이라는 개념을 현실화한 구조로, 중앙 집중 구조 없이 데이터의 진위와 무결성을 보장하는 기술이다. 향후 디지털 증명과 감사의 표준이자, 블록체인-보안 융합의 대표 사례로서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stant-NGP (0) | 2025.07.02 |
---|---|
Virtio-FS (0) | 2025.07.02 |
Zero-Trust Network Access 2.0 (ZTNA 2.0) (1) | 2025.07.01 |
Security Service Edge (SSE) (2) | 2025.07.01 |
Kani – Rust Formal Verifier (1)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