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MPC(Multi-Party Computation) 기반 서명은 하나의 서명을 생성하기 위해 다수의 참여자가 각자의 비밀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고도화된 암호 기술입니다. 특히 가상자산 지갑, 디지털 자산 수탁(Custody), DAO, Web3 서비스 등에서 **개인 키 단일 실패 지점(SPOF: Single Point of Failure)**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MPC Wallet, MPC-TSS(Threshold Signature Scheme) 구조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 MPC 서명은 여러 참여자가 각각 자신의 비밀 정보를 보유한 채, 전체 개인 키를 복원하지 않고 공동으로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 이는 특정 개인이 전체 키를 소유하지 않기 때문에, 단일 공격으로 비밀 키 전체가 유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으로 MPC-TSS(임계값 서명) 구조에서는 전체 참여자 중 일부(T out of N)만으로도 유효한 서명이 생성됩니다.
2. 작동 구조
단계 | 설명 | 기술 요소 |
키 분할 | 개인 키가 다수 참여자에게 분산되어 저장 | Secret Sharing, Shamir Scheme 등 |
서명 요청 | 사용자가 트랜잭션 서명을 요청 | MPC 엔진이 트리거됨 |
분산 연산 | 각 참여자가 로컬 연산 후 결과 교환 | Zero Knowledge, Oblivious Transfer 등 |
공동 서명 | 집계된 결과로 서명 생성 | ECDSA / EdDSA 지원 가능 |
검증 | 일반 서명처럼 누구나 검증 가능 | 키 통합 없이도 유효성 유지 |
MPC 기반 서명은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실시간 서명 처리가 가능합니다.
3. MPC 서명 vs 기존 서명 vs Multisig
항목 | MPC 기반 서명 | 단일 서명 | 멀티시그(Multisig) |
키 저장 | 분산 저장 (각 참여자) | 단일 키 (하드월렛, SW) | 여러 공개키 (스마트 계약) |
서명 구조 | 하나의 합의된 서명 | 단일 주체가 서명 | 여러 서명 필요 (on-chain) |
프라이버시 | 외부에 공개되지 않음 | 노출 가능 | 서명자 수 노출 가능 |
지원성 | 네트워크 전반 호환성 높음 | 표준화 | 체인 별 제한 존재 |
예시 | Fireblocks, Zengo Wallet | 메타마스크 등 | Gnosis Safe (Multisig Wallet) |
MPC는 Multisig보다 유연하고 프라이버시 친화적이며, 체인 간 확장성도 뛰어납니다.
4. 활용 사례
분야 | 적용 내용 | 프로젝트 및 기업 |
MPC Wallet | 키 보유 없이 안전한 지갑 구조 | Zengo, Coinbase WaaS, BitGo |
커스터디 | 기관용 MPC 기반 자산 수탁 | Fireblocks, Anchorage |
DAO 거버넌스 | 구성원 합의 기반 서명 집행 | Safe + Lit Protocol 조합 등 |
Web3 게임 | NFT 자산의 안전한 인출 | Cybavo (MPC 엔진 기반) |
탈중앙 금융(DeFi) | 무허가형 공동 서명 처리 | Threshold Network, Portal Finance 등 |
MPC는 보안성과 유연성이 동시에 필요한 서비스에 최적화된 서명 솔루션입니다.
5. 장점과 기술적 과제
구분 | 장점 | 고려 사항 |
보안성 | 키 복원 없이도 안전한 서명 | 통신 비용 증가 가능성 있음 |
키 관리 | 백업 없이도 복구 가능 (부분 키 재구성) | 참여자 동기화 중요 |
체인 호환성 | 네이티브 서명 방식과 동일하게 동작 | zk, Layer2 연동 시 성능 튜닝 필요 |
오프체인 처리 | 블록체인 수수료 없음 | MPC 서버간 동기화 인프라 필요 |
MPC는 유연하고 안전한 구조지만, 프로토콜 표준화 및 개발 난이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6. 전망 및 기술 진화
- MPC + ZK 융합 구조: 프라이버시와 보안성 극대화를 위한 혼합 서명 구조 연구 진행 중
- MPC + WebAuthn: 생체 인증 및 패스키 기반 사용자 경험 개선
- MPC-TSS 오픈소스 표준화: GG18, GG20, Frost 등의 프로토콜 기반 글로벌 연동 기대
- Web3 기반 공동 서명 서비스 확산: 다중 주체 거버넌스를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
결론
MPC 기반 서명은 Web3 생태계에서 키 관리와 보안을 혁신할 수 있는 강력한 암호 기술입니다. 단일 키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다양한 참여자가 안전하게 공동 서명을 생성할 수 있어, Wallet, DAO, DeFi, NFT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향후에는 ZK 기술, 생체 인증, WebAuthn 등과의 융합을 통해 사용자 경험과 보안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CP(Model Context Protocol) (0) | 2025.03.31 |
---|---|
Manus (1) | 2025.03.31 |
Bulletproofs (1) | 2025.03.31 |
Ring Signature (링 서명) (0) | 2025.03.31 |
zk-SNARK / zk-STARK (1)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