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버보안 33

Threat-Led Pen Testing (TLPT / TIBER-EU)

개요Threat-Led Penetration Testing(TLPT)은 실제 위협 행위자의 전술, 기법, 절차(TTPs)를 기반으로 기관의 사이버 방어 능력을 테스트하는 고도화된 보안 평가 방식입니다. 유럽에서는 TIBER-EU(Threat Intelligence-based Ethical Red Teaming)라는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로 제도화되어 금융기관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사이버 레질리언스를 확보하기 위한 선진적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TLPT(Threat-Led Pen Testing): 위협 인텔리전스 기반 시나리오로 설계된 침투 테스트로, 보안 시스템의 실전 대응력 평가TIBER-EU: 유럽중앙은행(ECB) 주도 아래 수립된 금융권 특화 TLPT 가이드라인목적: 침..

Topic 2025.06.26

AI 에이전트 하이재킹(Agent Hijacking

개요AI 에이전트 하이재킹(Agent Hijacking)은 인공지능 시스템, 특히 자동화된 에이전트나 자율 실행 AI가 공격자에게 통제권을 탈취당하는 사이버 공격 유형입니다. 이는 명령어 조작, 학습 데이터 오염, 통신 경로 개입 등을 통해 발생하며,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오작동, 악성 자동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AI 에이전트 하이재킹 공격은 AI가 수행하는 작업 흐름을 공격자가 탈취하거나 변조하여 악의적인 목적을 수행하도록 조작하는 공격 방식입니다.주 대상: 챗봇, RPA, 자율 에이전트, 멀티에이전트 시스템공격 목표: 정보 유출, 정책 위반, 악성 실행 유도차이점: 기존 시스템 하이재킹보다 자율성 기반 AI의 조작이 핵심2. 특징 구분 AI 에이전트 하이재킹 일반 악성코드 공..

Topic 2025.06.24

CIS Critical Security Controls v8

개요CIS Critical Security Controls v8은 조직이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본 글에서는 최신 버전인 v8의 주요 내용과 실무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정보보호 담당자와 보안 컨설턴트를 위한 심층 가이드를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CIS Critical Security Controls는 보안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선정한 보안 조치들의 모음으로, 위협 대응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구성됨목적공격 표면 감소, 침해 방지, 보안 거버넌스 향상최신 버전v8 (2021년 5월 발표) - 최신 기술 트렌드와 클라우드/모바일 환경 반영조직의 보안 체계를 표준화하고, 가장 위험한 공격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실질적 지침입니다.2. 특징특..

Topic 2025.06.10

Graph Contrastive Learning(GCL)

개요Graph Contrastive Learning(GCL)은 라벨이 없는 그래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지도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프레임워크입니다. 기존의 그래프 신경망(GNN)이 라벨 기반 학습에 주로 의존했던 것과 달리, GCL은 그래프의 노드, 엣지, 서브그래프 간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양의 쌍(positive pair)'과 '음의 쌍(negative pair)'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표현 차이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그래프 임베딩을 학습합니다.1. 개념 및 정의GCL은 그래프 내 또는 그래프 간 다양한 형태의 유사성과 비유사성을 학습하여, 라벨 없이도 효과적인 노드/그래프 수준 임베딩을 생성하는 학습 전략입니다.핵심 전략: contrastive ..

Topic 2025.05.22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개요MFA(Multi-Factor Authentication)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 둘 이상의 인증 요소를 요구하는 보안 방식입니다. 단순한 비밀번호 기반 인증에서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식(비밀번호), 소유(기기, 토큰), 생체정보(지문, 얼굴 인식) 등 복수의 요소를 결합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특히 재택근무, 클라우드 사용 확산에 따라 MFA는 현대 인증 체계의 필수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사용자 인증 시 두 개 이상의 인증 수단을 요구하는 보안 절차2FA는 MFA의 하위 개념목적계정 탈취 및 인증 우회 방지피싱 및 스푸핑 공격 대응필요성비밀번호 노출 위험 증가, 데이터 유출 사고 예방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에서 필수MFA는 사이버..

Topic 2025.05.13

OBASHI Framework

개요OBASHI 프레임워크는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IT 자산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정보 흐름 기반 모델링 기법입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Ownership, Business, Application, System, Hardware, Infrastructure의 6단계 레이어로 구성되어, 비즈니스와 기술 간의 상호 의존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IT 투자, 위험 관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수립 등에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OBASHI는 정보가 조직 내에서 어떻게, 어디서, 왜 흐르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구조화된 프레임워크로, 복잡한 IT 시스템이 비즈니스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시각화합니다. 이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 또는 비즈니스 IT 연계(BIT Al..

Topic 2025.05.07

Browser-in-the-Browser (BitB) Phishing

개요Browser-in-the-Browser(이하 BitB) 피싱은 웹 브라우저 내부에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브라우저 창을 생성해 사용자를 속이는 시각적 피싱 공격 기법입니다. 이 방식은 SSO(Single Sign-On) 또는 OAuth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모방하여 사용자가 무심코 자격 증명을 입력하게 만듭니다. 본 글에서는 BitB 피싱의 작동 방식, 특징, 사례, 보안 위협 및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상세히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BitB 피싱은 자바스크립트, CSS, HTML을 활용해 웹사이트 내에 브라우저 팝업처럼 보이는 UI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입니다. 실제 브라우저 팝업처럼 동작하고 드래그 이동, 주소창, 자물쇠 아이콘까지 흉내낼 수 있어 사용자가 ..

Topic 2025.05.07

Honeytoken

개요Honeytoken은 공격자가 접근하면 알림을 발생시키는 디지털 미끼 정보로, 사이버 침입을 조기에 탐지하고 내부자 위협을 추적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입니다. 문서, 자격증명, API 키, DB 엔트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실제 자산처럼 보이지만 사용되면 즉시 이상 행위로 감지됩니다. 본 글에서는 Honeytoken의 정의, 구성 방식, 기술 요소, 활용 방안 등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Honeytoken은 허위 자산으로 구성된 보안 탐지 기술의 일종으로, 네트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부에 배치되어 침입자가 실수로 혹은 의도적으로 접근할 경우 탐지 이벤트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물리적 보안에서의 '도난 방지 태그'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행위 중심 보안을 가능하게 합니다.2...

Topic 2025.05.07

Deception Technology

개요Deception Technology(기만 기술)는 공격자를 속이기 위해 시스템 내에 의도적으로 허위 정보를 포함한 자산을 배치하여, 악의적인 접근을 조기에 탐지하고 분석하는 능동적 보안 기술입니다. 허니팟(Honeypot), 허니토큰(Honeytoken), 가짜 시스템, 위장된 네트워크 자산 등을 통해 침입자의 활동을 유도하고 식별함으로써, 실제 자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위협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eception Technology는 공격자의 심리를 역이용하여,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자산을 통해 공격 행위를 유도하고 분석하는 방식의 보안 전략입니다. 이는 정적 방어보다는 사이버 함정을 구축하여 위협 행위를 능동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기존 보안 솔루션이 침입..

Topic 2025.05.07

Moving Target Defense(MTD)

개요Moving Target Defense(MTD)는 시스템 구성, 네트워크 경로, 실행 환경 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공격자가 취약점을 식별하거나 악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보안 전략입니다. 기존의 정적 방어체계와 달리 MTD는 공격 면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 시도를 무력화합니다. 본 글에서는 MTD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메커니즘, 장점 및 도입 사례를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MTD는 '움직이는 표적 방어' 전략으로,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정적인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자에게 혼란을 주는 보안 접근 방식입니다. 즉, 공격자가 시스템의 내부 구조나 취약점을 탐지하고 악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늘리고, 공격 성공 가능성을 현저히 낮춥니다.2. 특징 특징 설명 기존 ..

Topic 2025.05.07

Attack Surface Management (ASM)

개요Attack Surface Management(ASM)는 조직의 외부 노출 자산을 지속적으로 식별, 분석, 모니터링하여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확산, 재택근무 확대로 인해 기업의 공격 표면은 급격히 확장되었고, 이에 따라 ASM은 현대 보안 전략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았습니다. ASM은 사전 예방적 위협 탐지 및 자산 가시성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조직 외부에 노출된 모든 자산과 취약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보안 활동목적공격자가 악용할 수 있는 진입점을 사전에 식별 및 제거필요성IT 자산 복잡성 증가와 위협 환경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 필수ASM은 Shadow IT, Third-party Exposure, Misconfig..

Topic 2025.04.30

ATT&CK(Adversarial Tactics, Techniques, and Common Knowledge)

개요ATT&CK는 MITRE가 개발한 사이버 공격자 행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공격 기술 및 전술(TTPs) 지식베이스입니다. 실제 사이버 공격 사례에 기반해 공격자들이 시스템에 침투하고, 확장하고,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전술(Tactics)과 기술(Techniques) 단위로 구조화하여 정리했습니다. 보안 분석, 위협 헌팅, 레드팀/블루팀 훈련, 공격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사이버 보안 활동에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실제 사이버 공격자의 행동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오픈 소스 지식베이스목적공격 이해 및 대응 체계화, 위협 기반 방어 전략 수립 지원필요성다양한 공격 벡터를 표준화하여 조직의 방어력을 체계적으로 향상ATT&CK는 엔터프라이즈 환경(Windows, Linux, macOS),..

Topic 2025.04.30

사이버 보안 메시(Cybersecurity Mesh)

개요사이버 보안 메시(Cybersecurity Mesh)는 분산된 IT 환경에서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대적인 아키텍처 접근 방식이다. 기존에는 네트워크 경계를 중심으로 보안을 설계했다면, 이제는 다양한 위치와 디바이스, 사용자에 따라 보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이버 보안 메시 모델은 독립적인 보안 서비스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전체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1. 개념 및 정의사이버 보안 메시란, 중앙 집중식 보안 모델이 아닌, 분산된 접근 제어 및 정책을 통해 보안 기능을 위치와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키텍처이다.목적: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복잡한 IT 환경에서 일관된 보안 체계 유지필요성: 클라우드, 원격 근무, IoT 등으로 보안 경계가 사라진 시대 대응기..

Topic 2025.04.26

Eclipse Attack

개요Eclipse Attack(이클립스 공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정 노드 또는 사용자 노드를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고, 악성 노드들로만 연결되도록 만드는 네트워크 공격 기법입니다. 이로 인해 피해 노드는 잘못된 거래 정보를 수신하거나, 블록 전파에 지연이 생기며, 더 큰 공격(예: 이중 지불, 51% 공격 등)의 발판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P2P 기반 블록체인에서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간주됩니다.1. 개념 및 정의Eclipse Attack은 공격자가 대상 노드의 모든 피어 연결을 장악하거나 조작하여, 네트워크상의 다른 정직한 노드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 공격의 목적은 특정 노드를 '네트워크적으로 고립된 상태' 로 만들고, 정보 조작 또는 공격의 발판으로 ..

Topic 2025.04.25

Digital Literacy

개요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 소프트웨어, 미디어 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현대 사회에서 정보 탐색, 소통, 창작, 문제 해결 능력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이다. 단순한 컴퓨터 사용 능력을 넘어, 디지털 환경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책임 있는 활용 능력을 요구하는 핵심 시민 역량이다. 본 글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 구성 요소, 중요성, 교육 방향 및 실생활 적용 사례를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디지털 리터러시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 및 도구를 통해 정보를 탐색, 분석, 생성, 공유하고, 이를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역량이다. 이는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기술 리터러시 등을 포함하며, 개인의 일상생활뿐 아니라 교..

Topic 2025.04.25

BPF 기반 악성코드(BPF-Based Malware)

개요BPF(Berkeley Packet Filter) 또는 eBPF(extended BPF)는 리눅스 커널에서 고성능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모니터링, 트레이싱 등에 활용되는 기술입니다. 최근 이 기술을 악용하여 파일리스(fileless) 기반 악성코드가 확산되며 보안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BPF 기반 악성코드는 커널 수준의 은밀한 조작이 가능하여 탐지 및 대응이 매우 어렵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BPF 기반 악성코드는 eBPF 기술을 이용해 리눅스 커널 공간에서 실행되는 악성코드입니다.목적사용자 모르게 시스템 감시, 정보 탈취, 후속 공격 수행특징파일 시스템 접근 없이 실행, 커널 트레이싱 기능 악용, 은폐성 뛰어남eBPF는 원래 보안 및 성능 모니터링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Topic 2025.04.25

IoT 공통보안 7원칙

개요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 표준 및 국내 기관에서는 IoT 제품 및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게 개발·운영하기 위한 'IoT 공통보안 7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원칙은 제조사, 개발자, 서비스 운영자 모두가 보안 내재화를 실현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가이드라인입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IoT 기기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 설계 및 운영 전반에 적용되는 7가지 공통 보안 원칙목적IoT 디바이스의 보안 수준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보안 위협으로부터 사용자와 인프라를 보호필요성IoT 보안 취약점으로 인한 해킹, 개인정보 유출, 사이버 테..

Topic 2025.04.22

SATIN

개요SATIN은 경량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블록 암호 알고리즘으로, NIST(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경량 암호 표준화 프로젝트(LWC, Lightweight Cryptography) 후보 중 하나로 제안된 알고리즘이다. 적은 자원(CPU, 메모리, 전력)으로도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SATIN은 IoT, 스마트카드, 웨어러블, 센서 등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1. 개념 및 정의SATIN은 SPN(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 구조 기반의 블록 암호로, NIST가 제안한 경량 암호 경쟁에서 하드웨어 효율성과 보안성을 인정받아 주목받고 있다.목적: 자원 제한형 디바이스에서도 효율적인 암호화 구현블록 크기: 64비트 또는 128비트 (버전에..

Topic 2025.04.22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Information Security Readiness Assessment)

개요정보보호 준비도 평가는 기업이나 기관이 사이버 위협에 얼마나 대비되어 있는지를 진단하는 평가 제도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수준의 항목을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실질적인 보안 투자와 체계적인 개선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1. 개념 및 정의정보보호 준비도 평가는 조직의 정보보호 체계 전반을 진단하여 현재 수준을 수치화하고, 취약 영역을 도출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체계적인 진단 도구입니다. 보안 인프라뿐 아니라 정책, 조직, 교육, 기술, 사고 대응 등 전반적인 항목을 평가하며, 주로 자가 진단 또는 외부 전문가에 의해 수행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전반적 진단정책부터 기술까지 모든 보안 영역 평가ISMS 항목 기반 구..

Topic 2025.04.16

정보보호공시제도(Information Security Disclosure System)

개요정보보호공시제도는 기업이나 기관이 자사의 정보보호 활동 및 수준을 외부에 자율적으로 공개함으로써 보안 역량을 투명하게 알리고, 이용자 및 투자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정보보호를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게 하고, 보안 투자 유도 및 기업 간 선의의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정보보호공시제도는 기업이 정보보호 관련 정책, 조직, 예산, 사고 대응 현황 등을 자율적으로 작성하여 공시하는 제도로,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포털을 통해 공개됩니다. 이 제도는 기업의 보안 성숙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자율 공시 기반법적 강제성 없이 자발적으로 공개민간 중심의 ..

Topic 2025.04.16

루트킷(Rootkit)

개요루트킷(Rootkit)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에 침투하여 사용자와 보안 소프트웨어의 감시를 회피하고, 악의적인 활동을 은폐하는 고급 위협 기술입니다. 루트킷은 커널 수준에서 시스템을 조작하며, 백도어, 정보 탈취, 권한 상승 등 다양한 공격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탐지와 제거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루트킷의 개념, 유형, 동작 방식, 탐지 및 대응 전략을 종합적으로 다룹니다.1. 루트킷의 정의 및 목적루트킷은 ‘root(최고 권한)’ + ‘kit(도구)’의 합성어로, 공격자가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한 후 자신의 존재와 악성 행위를 은폐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 모음입니다. 루트킷은 커널 API 후킹, 파일 및 프로세스 숨김, 네트워크 트래픽 조작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보안 시스템과 사용자의..

Topic 2025.04.14

악성코드 탐지 기법(Malware Detection Techniques)

개요악성코드는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손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날로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탐지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정적·동적 분석부터 인공지능 기반 탐지까지 고도화된 방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악성코드 탐지의 주요 기법과 기술적 원리,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악성코드 탐지 기법이란,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내에서 악성코드의 존재를 식별하고 분석하여 위협을 사전에 제거하거나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보안 기술입니다. 탐지 기법은 정적(코드 분석), 동적(행위 기반), 휴리스틱, AI 기반 등으로 분류됩니다.2. 악성코드 탐지 기법 분류 기법 설명 특징 시그니처 기반(Signature-based)알려진 악성코드의 고유 패턴(해시..

Topic 2025.04.09

NGFW(Next Generation Firewall)

개요NGFW(Next Generation Firewall, 차세대 방화벽)는 전통적인 L3/L4 기반 방화벽 기능에 애플리케이션 인식, 사용자 식별, 위협 탐지, 침입 방지(IPS) 등의 고급 보안 기능을 통합한 보안 솔루션입니다. 클라우드, 모바일, IoT 등 복잡하고 분산된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NGFW의 개념, 주요 기능, 기존 방화벽과의 차이점, 적용 사례 및 선택 시 고려사항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NGFW는 기본적인 IP/포트 기반 필터링을 넘어서 애플리케이션 레벨(L7)의 가시성 확보 및 제어, 지능형 위협 탐지, 통합 정책 관리, 컨텍스트 기반 보안을 제공하는 통합 보안 플랫폼입니다.2..

Topic 2025.04.02

IDS/IPS

개요IDS(침입 탐지 시스템, Intrusion Detection System)와 IPS(침입 방지 시스템, Intrusion Prevention System)는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상 행위를 감지하고, 이를 차단하거나 경고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방화벽이 정적인 정책 기반의 접근 제어를 수행한다면, IDS/IPS는 실시간 트래픽을 분석하여 알려지지 않은 공격까지 탐지할 수 있는 동적 보안 기술로 작동합니다. 본 글에서는 IDS/IPS의 개념, 차이점, 구성 방식, 탐지 기술, 도입 사례 등을 통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 용어 정의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네트워크 또는 호스트 내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행위를 탐지하고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Topic 2025.04.02

이중 갈취 랜섬웨어(Double Extortion Ransomware)

개요이중 갈취 랜섬웨어(Double Extortion Ransomware)는 기존의 랜섬웨어 공격 방식에서 한 단계 진화한 형태로, 피해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할 뿐만 아니라 이를 외부로 유출하여 2차 협박을 가하는 방식이다. 단순한 복호화 대가 요구를 넘어, 유출 위협을 통해 기업의 평판과 법적 리스크까지 무기로 삼는 공격 전략이다. 본 글에서는 이중 갈취 랜섬웨어의 개념, 특징, 동작 방식, 기술적 요소, 대응 전략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한다.1. 개념 및 정의Double Extortion Ransomware는 공격자가 침투한 시스템의 데이터를 암호화한 뒤, 해당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유출하고, 피해자에게는 복호화 비용과 함께 유출 방지를 조건으로 한 추가 몸값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기업의 민감한 정보가 유..

Topic 2025.03.28

표적형 피싱(스피어피싱, Spear Phishing)

개요표적형 피싱(Spear Phishing)은 무차별 대량 피싱과 달리, 특정 조직이나 인물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그에 맞춰 설계된 맞춤형 사이버 공격 기법입니다. 공격자는 피해자의 소속, 업무, 인간관계, 언어 습관까지 파악한 뒤, 신뢰할 만한 발신자를 사칭하거나 실제와 유사한 메시지로 악성 링크 클릭이나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합니다. 본 글에서는 스피어피싱의 정의, 특징, 주요 기법, 공격 사례, 탐지 및 대응 방안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스피어피싱(Spear Phishing)은 ‘작살(spear)’과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무작위가 아닌 특정 대상을 노린 고도화된 피싱 공격을 의미합니다. 공격은 주로 이메일, 메신저, SMS, SNS 등을 통해 이뤄지며, 타겟은 다음과 같습..

Topic 2025.03.27

서플라이 체인 보안 (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

개요서플라이 체인 보안(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은 소프트웨어 개발, 배포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방지하는 보안 전략입니다. 최근 대규모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이 증가하면서, 조직들은 서플라이 체인 보안을 강화하여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서플라이 체인 보안의 개념, 주요 위협, 보안 강화 방안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서플라이 체인 보안이란?서플라이 체인 보안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과정에서 사용되는 서드파티(Third-Party) 코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빌드 시스템, 배포 인프라 등의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념 설명 서플라이 체..

Topic 2025.03.25

CVE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개요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공통 보안 취약점 및 노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보안 취약점 식별 시스템으로, 보안 연구원과 조직이 보안 위협을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CVE의 개념, 주요 원리, 취약점 관리 프로세스 및 활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VE란?CVE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보안 취약점을 고유한 식별자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보안 연구원과 기업이 같은 보안 취약점을 동일한 기준으로 다룰 수 있도록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개념 설명 CVE ID보안 취약점이 공식적으로 등록되면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 (예: CVE-2023-12345)CVE 목록공개된 취약점들의 데이터베..

Topic 2025.03.24

SIEM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개요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은 기업과 기관에서 발생하는 보안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대응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본 글에서는 SIEM의 개념, 주요 기능, 기술 요소, 구현 방식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IEM이란?SIEM은 보안 로그와 이벤트를 중앙에서 수집 및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보안 시스템입니다. 개념 설명 주요 역할 보안 로그 수집다양한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의 로그 데이터를 중앙에서 수집이벤트 기록 및 로그 분석이상 탐지 및 분석머신러닝 및 규칙 기반 분석을 통해 보안 위협 식별침입 탐지 및 이상 행동 감지보안 사고 대응보안 위협..

Topic 2025.03.24

SOC (보안 운영 센터, Security Operations Center)

개요SOC(Security Operations Center, 보안 운영 센터)는 기업과 기관의 IT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조직으로,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SOC의 개념, 주요 기능, 기술적 요소, 구축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C란?SOC(Security Operations Center)는 기업 및 조직의 IT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 이벤트를 감시하고 분석하며, 위협이 탐지되면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하는 보안 전담 조직입니다. SOC는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기업 데이터를 보호하고, 보안 사고를 예방하며, 신속한 대응을 지원합니다. 개념 설명 주요 역할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네트워크 및 시스템 로그를 실시간으로 ..

Topic 2025.03.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