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버보안 11

NGFW(Next Generation Firewall)

개요NGFW(Next Generation Firewall, 차세대 방화벽)는 전통적인 L3/L4 기반 방화벽 기능에 애플리케이션 인식, 사용자 식별, 위협 탐지, 침입 방지(IPS) 등의 고급 보안 기능을 통합한 보안 솔루션입니다. 클라우드, 모바일, IoT 등 복잡하고 분산된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NGFW의 개념, 주요 기능, 기존 방화벽과의 차이점, 적용 사례 및 선택 시 고려사항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NGFW는 기본적인 IP/포트 기반 필터링을 넘어서 애플리케이션 레벨(L7)의 가시성 확보 및 제어, 지능형 위협 탐지, 통합 정책 관리, 컨텍스트 기반 보안을 제공하는 통합 보안 플랫폼입니다.2..

Topic 2025.04.02

IDS/IPS

개요IDS(침입 탐지 시스템, Intrusion Detection System)와 IPS(침입 방지 시스템, Intrusion Prevention System)는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상 행위를 감지하고, 이를 차단하거나 경고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방화벽이 정적인 정책 기반의 접근 제어를 수행한다면, IDS/IPS는 실시간 트래픽을 분석하여 알려지지 않은 공격까지 탐지할 수 있는 동적 보안 기술로 작동합니다. 본 글에서는 IDS/IPS의 개념, 차이점, 구성 방식, 탐지 기술, 도입 사례 등을 통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 용어 정의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네트워크 또는 호스트 내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행위를 탐지하고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Topic 2025.04.02

이중 갈취 랜섬웨어(Double Extortion Ransomware)

개요이중 갈취 랜섬웨어(Double Extortion Ransomware)는 기존의 랜섬웨어 공격 방식에서 한 단계 진화한 형태로, 피해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할 뿐만 아니라 이를 외부로 유출하여 2차 협박을 가하는 방식이다. 단순한 복호화 대가 요구를 넘어, 유출 위협을 통해 기업의 평판과 법적 리스크까지 무기로 삼는 공격 전략이다. 본 글에서는 이중 갈취 랜섬웨어의 개념, 특징, 동작 방식, 기술적 요소, 대응 전략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한다.1. 개념 및 정의Double Extortion Ransomware는 공격자가 침투한 시스템의 데이터를 암호화한 뒤, 해당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유출하고, 피해자에게는 복호화 비용과 함께 유출 방지를 조건으로 한 추가 몸값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기업의 민감한 정보가 유..

Topic 2025.03.28

표적형 피싱(스피어피싱, Spear Phishing)

개요표적형 피싱(Spear Phishing)은 무차별 대량 피싱과 달리, 특정 조직이나 인물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그에 맞춰 설계된 맞춤형 사이버 공격 기법입니다. 공격자는 피해자의 소속, 업무, 인간관계, 언어 습관까지 파악한 뒤, 신뢰할 만한 발신자를 사칭하거나 실제와 유사한 메시지로 악성 링크 클릭이나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합니다. 본 글에서는 스피어피싱의 정의, 특징, 주요 기법, 공격 사례, 탐지 및 대응 방안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스피어피싱(Spear Phishing)은 ‘작살(spear)’과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무작위가 아닌 특정 대상을 노린 고도화된 피싱 공격을 의미합니다. 공격은 주로 이메일, 메신저, SMS, SNS 등을 통해 이뤄지며, 타겟은 다음과 같습..

Topic 2025.03.27

서플라이 체인 보안 (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

개요서플라이 체인 보안(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은 소프트웨어 개발, 배포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방지하는 보안 전략입니다. 최근 대규모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이 증가하면서, 조직들은 서플라이 체인 보안을 강화하여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서플라이 체인 보안의 개념, 주요 위협, 보안 강화 방안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서플라이 체인 보안이란?서플라이 체인 보안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과정에서 사용되는 서드파티(Third-Party) 코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빌드 시스템, 배포 인프라 등의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념 설명 서플라이 체..

Topic 2025.03.25

CVE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개요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공통 보안 취약점 및 노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보안 취약점 식별 시스템으로, 보안 연구원과 조직이 보안 위협을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CVE의 개념, 주요 원리, 취약점 관리 프로세스 및 활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VE란?CVE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보안 취약점을 고유한 식별자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보안 연구원과 기업이 같은 보안 취약점을 동일한 기준으로 다룰 수 있도록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개념 설명 CVE ID보안 취약점이 공식적으로 등록되면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 (예: CVE-2023-12345)CVE 목록공개된 취약점들의 데이터베..

Topic 2025.03.24

SIEM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개요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은 기업과 기관에서 발생하는 보안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대응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본 글에서는 SIEM의 개념, 주요 기능, 기술 요소, 구현 방식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IEM이란?SIEM은 보안 로그와 이벤트를 중앙에서 수집 및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보안 시스템입니다. 개념 설명 주요 역할 보안 로그 수집다양한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의 로그 데이터를 중앙에서 수집이벤트 기록 및 로그 분석이상 탐지 및 분석머신러닝 및 규칙 기반 분석을 통해 보안 위협 식별침입 탐지 및 이상 행동 감지보안 사고 대응보안 위협..

Topic 2025.03.24

SOC (보안 운영 센터, Security Operations Center)

개요SOC(Security Operations Center, 보안 운영 센터)는 기업과 기관의 IT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조직으로,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SOC의 개념, 주요 기능, 기술적 요소, 구축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C란?SOC(Security Operations Center)는 기업 및 조직의 IT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 이벤트를 감시하고 분석하며, 위협이 탐지되면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하는 보안 전담 조직입니다. SOC는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기업 데이터를 보호하고, 보안 사고를 예방하며, 신속한 대응을 지원합니다. 개념 설명 주요 역할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네트워크 및 시스템 로그를 실시간으로 ..

Topic 2025.03.24

CIA 삼원칙 (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개요CIA 삼원칙(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은 정보 보안의 핵심 원칙으로, 조직과 개인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이 원칙을 준수함으로써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IT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IA 삼원칙의 개념, 중요성, 구성 요소, 기술적 구현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IA 삼원칙이란?CIA 삼원칙(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은 정보 보안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3가지 핵심 요소입니다.기밀성(Confidentiality): 정보가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원칙무결성(Integrity): 정보가 변조되지 않고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원칙가용..

Topic 2025.03.24

EDR/XDR (Endpoint/Extended Detection and Response)

개요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및 XDR(Extended Detection and Response)은 사이버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차세대 보안 솔루션입니다. 기존의 안티바이러스(Anti-virus) 및 보안 정보 이벤트 관리(SIEM) 시스템보다 향상된 위협 탐지 및 자동 대응 기능을 제공하며, 기업 및 조직이 실시간으로 보안 위협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EDR과 XDR의 개념, 차이점, 주요 기능, 보안 이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EDR/XDR이란?EDR과 XDR은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개념 설명 EDR (Endpoint Detection a..

Topic 2025.03.20

혼돈 공학 기반 보안 (Chaos Engineering Security)

개요혼돈 공학(Chaos Engineering)은 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장애를 유발하여 시스템의 반응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보안 영역에서도 이러한 접근법을 적용하여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식별하고, 실전 공격 시나리오를 테스트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식을 혼돈 공학 기반 보안(Chaos Engineering Security)이라고 합니다. 본 글에서는 혼돈 공학 기반 보안의 개념, 주요 기법,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혼돈 공학 기반 보안이란?혼돈 공학 기반 보안(Chaos Engineering Security)은 실제 공격 시나리오를 모의 실험하여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개선하는 접근 방..

Topic 2025.03.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