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버리스 15

u-Container Runtime Interface (u-CRI)

개요u-Container Runtime Interface(u-CRI)는 마이크로 VM, 서버리스, 엣지 컴퓨팅 등 경량화된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초소형 런타임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는 기존의 Kubernetes Container Runtime Interface(CRI)를 확장 또는 대체하여, 리소스 제약 환경에서도 보안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u-CRI의 정의, 구성 방식, 기술적 차별성, 도입 사례 등을 자세히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초경량 환경에 최적화된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MicroK8s, K3s 등과 연계됨목적리소스 절약과 빠른 컨테이너 부팅 제공엣지 및 서버리스 플랫폼용필요성기존 CRI-O, con..

Topic 2025.08.17

Cold-Start Carbon Metric (CS-CM)

개요Cold-Start Carbon Metric(CS-CM)은 서버, 애플리케이션, AI 모델 등 디지털 자원이 초기 실행 단계에서 발생시키는 탄소 배출량을 정량화하는 지표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이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버리스 컴퓨팅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cold-start 현상은 에너지 소모를 유발하고, 이로 인한 탄소 배출량은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본 글에서는 CS-CM의 정의, 특징, 구성, 측정 방식, 활용 사례 등을 전문가 수준에서 심도 있게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디지털 시스템이 최초 기동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계량화한 지표탄소 집약도 기반 산정목적cold-start 관련 에너지 소비 파악 및 저감 전략 수립클라우드 탄..

Topic 2025.08.16

WasmEdge Device Plugin (WasmEdge DP)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이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를 중심으로 진화함에 따라, **WebAssembly (Wasm)**는 경량화와 보안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에지 컴퓨팅과 IoT 환경에서는 컨테이너보다 가볍고 빠른 실행 환경이 요구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기술이 WasmEdge다.**WasmEdge Device Plugin(WasmEdge DP)**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WebAssembly 워크로드를 안전하고 고성능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 플러그인이다. 쿠버네티스와의 통합을 통해 WebAssembly를 네이티브 워크로드처럼 취급할 수 있게 하며, 에지 환경의 성능과 확장성을 극대화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WasmEdge DP는 Kubernetes에서 W..

Topic 2025.08.07

Unikernel-as-a-Service (UaaS)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경량화와 보안은 상충되기 쉬운 가치다. 컨테이너는 빠르지만 보안에 취약할 수 있고, 가상머신은 안전하지만 무겁다. 이 사이의 균형점을 찾기 위한 해답 중 하나가 바로 Unikernel이다. 그리고 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개념이 **Unikernel-as-a-Service(UaaS)**다.UaaS는 단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커스터마이징된 최소 운영체제 이미지를 실행하는 아키텍처로, 보안성, 경량성, 부팅 속도, 이식성 등의 측면에서 차세대 클라우드 워크로드 환경에 적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UaaS는 Unikernel 기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실행 모델이다.목적극단적인 경량화와 보안성을 확보한 전..

Topic 2025.08.06

WasmEdge Containerd Shim

개요WasmEdge Containerd Shim은 WebAssembly 기반 워크로드를 containerd 런타임 환경에 통합하여, 기존 컨테이너 기반 인프라에서 경량 WASM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이 Shim은 기존 OCI(컨테이너) 워크플로우에 WASM을 자연스럽게 연결함으로써 보안성, 속도, 이식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WasmEdge Containerd Shim은 CNCF WasmEdge 런타임과 containerd 사이를 연결하는 런타임 Shim 구현체로, 컨테이너 명령어(CRI)를 통해 WebAssembly 모듈을 마치 OCI 컨테이너처럼 배포, 실행,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목적: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WASM을 OCI 런타임처럼 운영 가능하..

Topic 2025.07.14

WasmCloud Actor Model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경량화, 이식성, 보안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실행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WebAssembly(Wasm)**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Wasm 기반의 분산 마이크로서비스 프레임워크인 wasmCloud는 이를 더욱 구조화된 형태로 제공하는데,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Actor Model입니다. wasmCloud Actor Model은 WebAssembly의 경량성과 Actor 패러다임의 격리성과 메시지 기반 통신 구조를 결합하여 확장 가능하고 안전한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구축하는 핵심 아키텍처입니다.1. 개념 및 정의WasmCloud Actor Model은 각각의 기능 단위를 Actor라는 독립적 실행 단위로 구성하고, Actor 간의 메시지 기반 비동기..

Topic 2025.07.12

u-Containers

개요u-Containers(Microcontainers)는 전통적인 컨테이너보다 훨씬 가볍고 빠르게 실행되는 차세대 컨테이너 기술이다. 초소형 이미지, 짧은 수명 주기, 최적화된 보안 환경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와 서버리스 환경에 이상적이다.1. 개념 및 정의u-Containers는 최소한의 실행 환경만을 포함한 초경량 컨테이너로, 수 MB 단위의 이미지 크기와 밀리초 단위의 기동 속도를 자랑한다. 보안성과 격리성은 유지하면서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해 서버리스 및 이벤트 기반 컴퓨팅에 적합하다.목적 및 필요성컨테이너 운영 비용 및 오버헤드 최소화초고속 시작이 필요한 워크로드 지원서버리스 및 엣지 컴퓨팅을 위한 최적화된 환경 제공2. 특징 항목 u-Containers 일반 컨테이너 VM ..

Topic 2025.07.08

Edge Function Orchestration

개요Edge Function Orchestration은 클라우드와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한 엣지 노드에서 다양한 함수를 분산 실행하고, 그 흐름을 효과적으로 조율하여 실시간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지연 최소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보안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며, IoT, CDN, 실시간 스트리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Edge Function Orchestration은 엣지 네트워크에 배포된 경량화된 함수(functions)를 복수의 노드에서 병렬 또는 연속적으로 실행시키고, 그 실행 흐름을 중앙 또는 분산 방식으로 관리하는 아키텍처 설계 전략입니다.Edge Function: 짧은 시간 안에 실행되는 서버리스 단위 함수Orchestration: 실행..

Topic 2025.07.03

WasmEdge

개요WasmEdge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엣지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고성능 WebAssembly(WASM) 런타임입니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샌드박스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경량성, 빠른 시작 속도, 높은 보안성을 기반으로 마이크로서비스, AI 추론,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WasmEdge는 WebAssembly 모듈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실행 환경으로, 다양한 언어(Rust, C/C++, JavaScript 등)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합니다. 기존 컨테이너보다 더 가볍고 빠르며, Kubernetes, Docker와 같은 인프라와도 쉽게 통합됩니다.WasmEdge는 특히 서..

Topic 2025.05.17

CloudEvents

개요CloudEvents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및 시스템 간의 이벤트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주도의 오픈 표준입니다.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서버리스(Functions),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 등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이벤트 메시지의 구조를 통일하여 상호운용성과 이벤트 처리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CloudEvents의 개념, 구조, 활용 사례 및 기술적 적용 전략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CloudEvents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표준 메시지 형식(specification)**입니다. 이는 다양한 이벤트..

Topic 2025.05.08

WebAssembly System Interface(WASI)

개요WebAssembly System Interface(WASI)는 WebAssembly(Wasm) 모듈이 운영체제 기능을 안전하고 이식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된 시스템 인터페이스 표준입니다. 기존 Wasm은 브라우저 환경에서 제한적인 API만 제공했지만, WASI를 통해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시계, 환경 변수 등과 같은 시스템 호출을 표준화하여 서버, 엣지, CLI 등 브라우저 외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WASI(WebAssembly System Interface)**는 WebAssembly 모듈이 운영체제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의된 POSIX 유사 API 집합입니다.목표: 보안, 이식성, 최소 권한 기반의 시스템 호출 지원표준화 주체: Bytecode ..

Topic 2025.05.07

컴포저블 애플리케이션(Composable Application)

개요컴포저블 애플리케이션(Composable Application)은 독립적인 모듈을 조합하여 비즈니스 요구에 맞게 애플리케이션을 유연하게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이다. 이는 '조립 가능한(Composable)'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 모놀리식 구조에서 탈피해 재사용성과 민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MACH(Microservices, API-first, Cloud-native, Headless) 아키텍처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적응하려는 조직에 적합한 전략이다.1. 개념 및 정의컴포저블 애플리케이션이란, 기능 단위의 모듈을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모듈화와 인터페이스 기반 통합에 중점을 둔다.목적: 빠른 서비스 출시와 변화 ..

Topic 2025.04.27

베조스의 법칙(Bezos’ Law)

개요베조스의 법칙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Jeff Bezos)가 예측한 개념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비용은 매년 약 50%씩 감소한다는 경험적 법칙입니다. 이는 IT 인프라의 전통적인 비용 구조를 혁신하며,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베조스의 법칙(Bezos’ Law)은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이후 전통적인 온프레미스(온사이트) 방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IT 비용이 감소한다는 개념입니다. 이는 AWS의 성장과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입증되고 있는 현상이기도 합니다.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비용은 해마다 약 50%씩 감소한다.배경: 대규모 인프라 통합, 자원 가상화, 자동화 기술의 발전이 비용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의의: 기업은 더 적..

Topic 2025.04.20

플랫폼형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

개요플랫폼형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는 개발자와 기업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입니다. 인프라 관리 부담을 줄이고,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PaaS는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PaaS의 개념, 주요 특징,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PaaS란 무엇인가?PaaS는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로, 개발자는 물리적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1.1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비교 서비스 모델 개념 주요 제공 요소 IaaS (Infrastructu..

Topic 2025.03.10

서버리스(Serverless) 컴퓨팅

개요서버리스(Serverless) 컴퓨팅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 모델이다. 개발자는 인프라 관리 없이 코드 개발과 배포에 집중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만 리소스를 사용하여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서버리스 컴퓨팅의 개념, 장점 및 단점, 주요 서비스, 활용 사례, 그리고 도입 시 고려사항에 대해 살펴본다.1. 서버리스 컴퓨팅이란?서버리스(Serverless) 컴퓨팅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AWS, Azure, Google Cloud 등)가 서버 관리를 담당하며, 개발자는 실행해야 할 코드만 제공하는 방식이다. 애플리케이션은 이벤트 기반으로 실행되며, 사용한 만큼만 과금되는 FaaS(Function as a Service..

Topic 2025.02.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