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해시함수 3

해시 테이블(Hash Table)

개요해시 테이블(Hash Table)은 키(Key)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통해 고정된 인덱스로 변환하여 값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평균적으로 삽입, 삭제, 탐색 연산이 **O(1)**로 매우 빠르며, 파이썬의 dict, set, 자바의 HashMap, C++의 unordered_map 등 거의 모든 언어의 핵심 자료구조로 활용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키(Key)값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값(Value)저장할 실제 데이터해시 함수키를 배열 인덱스로 변환하는 함수버킷(Bucket)해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배열의 각 칸해시 함수는 키를 숫자로 변환해 해시 테이블의 인덱스로 매핑한다.2. 해시 함수와 충돌해시 함수(Hash Function): hash(key) % tabl..

Topic 2025.03.30

Salted Hash (솔트 기법을 적용한 해시)

개요Salted Hash(솔트 기법을 적용한 해시)는 해시 함수에 추가적인 보안 요소(Salt)를 결합하여 해시 충돌과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을 방지하는 암호화 기법입니다. 본 글에서는 Salted Hash의 개념, 필요성, 주요 원리, 구현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alted Hash란?Salted Hash는 패스워드 또는 기타 중요한 데이터를 해시 처리할 때, 무작위 값(Salt)을 추가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기법입니다. 용어 설명 Hashing입력값을 고정된 길이의 암호화된 문자열로 변환하는 과정Salt무작위 문자열을 해시 연산 전에 추가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값Salted Hash해싱 전에 Salt를 추가하여 보안 강도를 높인 해시 값해시..

Topic 2025.03.24

CIA 삼원칙 (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개요CIA 삼원칙(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은 정보 보안의 핵심 원칙으로, 조직과 개인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이 원칙을 준수함으로써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IT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IA 삼원칙의 개념, 중요성, 구성 요소, 기술적 구현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IA 삼원칙이란?CIA 삼원칙(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은 정보 보안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3가지 핵심 요소입니다.기밀성(Confidentiality): 정보가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원칙무결성(Integrity): 정보가 변조되지 않고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원칙가용..

Topic 2025.03.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