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G 네트워크 4

TCP/UDP/SCTP

개요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핵심 프로토콜이다. TCP는 신뢰성이 높은 연결형 프로토콜이며, UDP는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고, SCTP는 TCP와 UDP의 장점을 결합한 차세대 전송 프로토콜이다. 본 글에서는 각 프로토콜의 개념, 차이점, 장점과 단점, 그리고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란?TC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Connected)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고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재전송하는 기..

Topic 2025.03.21

NetOps(Network + Operations)

개요NetOps(Network + Operations)는 네트워크 인프라의 운영 및 관리를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네트워크 가상화, AI 기반 네트워크 모니터링 등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본 글에서는 NetOps의 개념, 핵심 원칙, 주요 도구,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NetOps란 무엇인가?NetOps는 기존의 수동 네트워크 운영 방식을 개선하여 자동화, 가시성, 보안을 강화하는 네트워크 운영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IT 팀은 네트워크 성능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고, 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1.1 기존 네트워크 운영 방식과 NetOps 비..

Topic 2025.03.11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개요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은 네트워크의 제어(Control) 기능과 데이터 전달(Forwarding) 기능을 분리하여 중앙에서 소프트웨어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 구조와 달리 SDN은 유연성, 자동화, 비용 절감 및 보안성을 강화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DN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보안 이슈 및 미래 전망을 살펴봅니다.1. SDN이란?SDN은 기존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의 제어 기능을 중앙 소프트웨어 컨트롤러로 이동시켜 네트워크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1.1 SDN의 주요 특징중앙 집중형 제어..

Topic 2025.03.09

Open RAN(Open Radio Access Network)

개요Open RAN(Open Radio Access Network, 개방형 무선 접속망)은 전통적으로 폐쇄된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비 환경을 개방형으로 전환하는 기술입니다. Open RAN은 네트워크 장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공급업체 간 경쟁을 촉진하며, 5G 및 미래 이동통신망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Open RAN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이점, 도입 사례 및 전망을 살펴봅니다.1. Open RAN이란?기존 RAN(Radio Access Network)은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예: Ericsson, Nokia, Huawei)의 독점적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어, 특정 벤더의 장비에 종속되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Open RAN은 이러한 제한을 없..

Topic 2025.03.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