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2396

MLflow Model Registry

개요MLflow Model Registry는 머신러닝 모델의 버전 관리, 배포, 승인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는 중앙화된 저장소이자 관리 도구입니다. 연구 단계에서 운영 환경까지 이어지는 모델 라이프사이클 전반을 추적·관리하여 MLOps의 필수 구성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MLflow Model Registry는 머신러닝 모델의 저장, 버전 관리, 스테이지 전환(예: Staging → Production)을 지원하는 중앙 레지스트리입니다.목적모델 실험부터 운영 배포까지 추적성과 일관성을 확보필요성여러 팀/환경에서 모델 관리 복잡성을 줄이고, 협업과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함MLflow는 Databricks에서 시작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현재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MLOps..

Topic 00:27:11

Ray Serve

개요Ray Serve는 분산 컴퓨팅 프레임워크 Ray 위에서 동작하는 머신러닝 모델 서빙 플랫폼으로, 대규모 트래픽 처리와 실시간 추론을 지원하는 확장성 높은 MLOps 도구입니다. 다양한 ML/DL 프레임워크와 통합되어, 단일 노트북 프로토타입에서 대규모 클러스터 환경까지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Ray Serve는 Ray 분산 프레임워크 기반의 고성능 모델 서빙 플랫폼으로, REST/gRPC API 형태로 추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목적대규모 트래픽 처리, 멀티모델 서빙, 실시간 ML 추론 지원필요성기존 모델 서빙 도구는 확장성 한계가 있으며, 분산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 필요Ray Serve는 AI/ML 모델 서빙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Python 생태계..

Topic 2025.09.18

BentoML

개요BentoML은 머신러닝 모델을 손쉽게 패키징하고, 서빙 및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MLOps 프레임워크입니다. 데이터 과학자와 ML 엔지니어가 연구 단계에서 운영 환경까지 모델을 빠르게 이전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워크플로우와 유연한 아키텍처를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BentoML은 머신러닝 모델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패키징하여 API 형태로 서빙 및 배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모델 배포 속도 향상, 운영 환경에서의 안정적 서빙, 협업 효율성 제고필요성ML 모델의 운영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성을 줄이고, DevOps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과 통합 필요BentoML은 TensorFlow, PyTorch, Scikit-learn 등 다양한 ML 프레임워..

Topic 2025.09.18

Parca

개요Parca는 오픈소스 기반의 지속적 프로파일링(Continuous Profiling) 도구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의 성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CPU, 메모리, 리소스 사용량을 장기적으로 추적할 수 있어 비용 최적화, 성능 개선,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구분내용정의Parca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발생하는 성능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저장, 분석하는 오픈소스 프로파일러입니다.목적운영 환경에서 성능 병목 지점 확인 및 리소스 최적화 지원필요성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은 동적 확장과 분산 구조로 인해 전통적 모니터링만으로는 성능 문제를 식별하기 어려움Parca는 CNCF 프로젝트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모니터링 생태..

Topic 2025.09.18

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

개요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예: Kubernetes)에서 네트워크 리소스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연결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인터페이스입니다. 컨테이너 간 네트워크 통신, IP 관리, 네트워크 플러그인 확장을 가능하게 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의 네트워킹 기반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CNI는 컨테이너 런타임과 네트워크 플러그인 간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명세입니다.목적다양한 네트워크 플러그인을 통합하여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 지원필요성오케스트레이터와 런타임마다 상이한 네트워크 처리 방식을 통일하여 확장성과 호환성을 보장CNI는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관리되며..

Topic 2025.09.18

CSI(Container Storage Interface)

개요CSI(Container Storage Interface)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예: Kubernetes)과 다양한 스토리지 시스템 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오픈소스 사양입니다. 스토리지 공급자와 플랫폼 간의 종속성을 제거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스토리지를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구분내용정의CSI는 컨테이너 기반 환경에서 외부 스토리지를 마운트하고 제어하기 위한 표준 API 인터페이스입니다.목적스토리지 제공자들이 Kubernetes, Mesos, Nomad 등의 플랫폼에 플러그인 없이 통합될 수 있도록 통합 API 제공필요성기존에는 플랫폼별 스토리지 플러그인을 각각 개발해야 했던 문제 해결을 위해 등장CSI는 Cloud Native Computing..

Topic 2025.09.17

OpenAPI 3.1

개요OpenAPI 3.1은 RESTful API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정의하기 위한 오픈소스 명세(Open API Specification)의 최신 버전입니다. 이전 버전인 3.0에 비해 JSON Schema 호환성, 확장성, 유연성이 대폭 강화되었으며, API 문서화, 자동화, 검증, 테스트 등 다양한 API 생명주기 단계에서 핵심 도구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구분내용정의OpenAPI 3.1은 API의 구조, 요청/응답 데이터, 보안 정책 등을 기술하는 명세서로, Swagger에서 발전된 RESTful API 표준입니다.목적개발자, 클라이언트, 시스템 간 API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하여 상호 운용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필요성API 중심 아키텍처 확산으로 API 정의의 표준화와 자동화 수요가..

Topic 2025.09.17

AsyncAPI 2.x

개요AsyncAPI 2.x는 메시지 기반 아키텍처, 즉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시스템을 설계하고 문서화하기 위한 오픈소스 API 명세(Open API Specification)입니다. 마이크로서비스, IoT,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표준화된 방식으로 통신 구조를 문서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구분내용정의AsyncAPI는 비동기 메시지 기반 시스템을 위한 오픈소스 API 문서화 및 설계 명세입니다.목적이벤트 중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하고, 통신 표준화 및 자동화를 지원합니다.필요성REST API로는 부족한 실시간 통신, 스트리밍, 메시지 브로커 기반 시스템을 위한 명확한 명세 필요AsyncAPI는 OpenAPI(Swagger)의 비..

Topic 2025.09.17

CSA CCM v4(Cloud Controls Matrix)

개요CSA CCM v4는 클라우드 보안 얼라이언스(Cloud Security Alliance)가 개발한 클라우드 보안 통제 프레임워크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한 보안 통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글로벌 표준입니다. 본 글에서는 CSA CCM v4의 개념, 구조, 특징, 기술 요소, 도입 장점 및 사례를 중심으로 클라우드 보안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1. 개념 및 정의구분내용정의CSA CCM(Cloud Controls Matrix)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한 보안 통제 항목들을 도메인별로 정리한 통합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와 이용자 간의 보안 기준 정렬 및 위험 최소화 목적.필요성클라우드 전환 가속화와 함께 보안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표준화된 통제가 필수화됨.CSA..

Topic 2025.09.17

ISO 31000

개요ISO 31000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리스크 관리 원칙 및 가이드라인으로, 조직이 직면하는 불확실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경영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글로벌 표준입니다. 본 글에서는 ISO 31000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요소, 장점 및 활용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구분내용정의ISO 31000은 모든 조직이 리스크를 식별, 평가,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기업의 목표 달성, 지속 가능성 확보, 의사결정 지원 등 전사적 리스크 대응 기반 마련.필요성디지털 전환, ESG, 팬데믹 등 다양한 불확실성 속에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ISO 31000은 산업, 조직 규모, 유형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며, 단일 프레임워크로 통..

Topic 2025.09.16

ISO/IEC 42001

개요AI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 도입되면서, 책임성 있는 AI 운영과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ISO와 IEC는 ISO/IEC 42001을 제정했습니다. 이 표준은 조직이 AI 시스템을 윤리적,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최초의 국제 경영시스템 표준입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42001은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운영하는 조직이 **AI 경영시스템(AI Management System)**을 구축, 실행, 유지 및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 표준입니다.주요 목적은 AI의 책임성, 투명성, 안전성을 확보하여 조직과 사회 전반의 신뢰를 높이는 것입니다.2. 특징특징기존 관리 체계ISO/IEC 42001적용 대상특정 산업 한정AI를 사용..

Topic 2025.09.16

ISO/IEC 23053

개요AI 시스템이 산업 전반에 확산되면서, 신뢰성과 일관된 관리 체계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표준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이를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는 ISO/IEC 23053를 제정했습니다. 이 표준은 인공지능 시스템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정의하는 AI 시스템 프레임워크로, 다른 AI 표준의 참조 모델 역할을 수행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23053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구성 요소, 데이터 흐름, 운영 단계 등을 정의하는 프레임워크 표준입니다. AI 시스템의 개발·운영 전 과정에서 일관성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주요 목적은 AI 시스템 구축·운영의 구조적 가이드라인 제공 및 글로벌 표준화 지원입니다.2. 특징특징기존 AI 적용 방식ISO/I..

Topic 2025.09.16

ISO/IEC 22989

개요인공지능(AI) 기술이 다양한 산업과 사회 전반에 확산되면서, 공통된 개념과 용어의 정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는 ISO/IEC 22989를 제정했습니다. 이 표준은 AI 관련 개념과 용어를 명확히 정의하여, 연구·산업·규제 전반에서 일관성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22989는 인공지능(AI) 시스템, 기술, 프로세스와 관련된 기본 개념과 용어를 정의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AI 관련 국제 표준 개발의 기초가 되는 참조 문서로, AI 생태계의 공통 언어(Common Language) 역할을 합니다.주요 목적은 AI 기술 및 산업 전반에서의 용어 통일과 이해 기반 마련입니다.2. 특징특징기존 ..

Topic 2025.09.16

ISO/IEC 23894

개요인공지능(AI)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윤리적 문제, 안전성, 보안, 책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AI 위험 관리에 관한 국제 표준인 ISO/IEC 23894를 제정했습니다. 이 표준은 AI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 전 주기에 걸쳐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23894는 인공지능 시스템과 관련된 위험을 식별, 평가, 모니터링 및 완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주요 목적은 AI 기술의 신뢰성 확보, 안전한 활용, 규제 준수 지원입니다.2. 특징특징기존 AI 개발ISO/IEC 23894 적용위험 관리부분적·비공식적표준화된 프로세스 적용적용 범위기술적 요소..

Topic 2025.09.16

OID4VCI (OpenID for Verifiable Credential Issuance)

개요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온라인 환경에서의 신원 증명과 자격 증명 발급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기존의 중앙집중식 아이덴티티 관리 방식은 개인정보 보호와 상호운용성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OpenID 재단은 **OID4VCI(OpenID for Verifiable Credential Issuance)**를 표준화하였으며, 이는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 Verifiable Credential) 발급을 위한 핵심 프로토콜입니다.1. 개념 및 정의OID4VCI는 OpenID Connect(OIDC)를 확장하여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을 안전하게 발급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디지털 자격 증명을 발급받아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할..

Topic 2025.09.15

BRSKI (Bootstrapping Remote Secure Key Infrastructure, RFC 8995)

개요IoT 기기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보안 온보딩(secure onboarding)**은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기존 수동 방식은 확장성이 부족하고 보안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ETF는 **BRSKI(Bootstrapping Remote Secure Key Infrastructure)**를 RFC 8995로 표준화하였습니다. BRSKI는 자동화된 보안 인증 절차를 통해 기기 온보딩을 단순화하고 신뢰성을 강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BRSKI는 새로운 네트워크 기기가 보안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동 등록(bootstrapping)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EEE 802.1AR의 **DevID(Device Identity)*..

Topic 2025.09.15

Mixture-of-Agents (MoA)

개요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발전은 단일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단일 모델 접근은 한계가 존재하며, 더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AI 에이전트를 조합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이 바로 **Mixture-of-Agents(MoA)**입니다. MoA는 다중 AI 에이전트를 조율하여 **협력적 추론(collaborative reasoning)**을 가능하게 하는 아키텍처입니다.1. 개념 및 정의**Mixture-of-Agents(MoA)**는 여러 개의 AI 모델 또는 에이전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적 추론 프레임워크입니다. 각 에이전트는 특정 역할이나 전문성을 기반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집계(aggregation) ..

Topic 2025.09.15

PagedAttention

개요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의 성능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추론 시 필요한 메모리와 연산 자원은 여전히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긴 컨텍스트를 처리할 때 어텐션(attention) 메커니즘의 **KV-Cache(Key-Value Cache)**가 차지하는 메모리 사용량은 병목이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 접근이 바로 PagedAttention입니다.1. 개념 및 정의PagedAttention은 KV-Cache를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여 GPU 메모리와 CPU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어텐션 최적화 기법입니다. 운영체제의 가상 메모리 페이징 기법에서 착안하여, GPU 고속 메모리와 CPU 대용량 메모리 간의 동적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주요 목적..

Topic 2025.09.15

Apache Paimon

개요데이터 레이크와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와 안정적인 저장을 동시에 지원하는 새로운 데이터 관리 기술이 필요해졌습니다. Apache Paimon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스트리밍과 배치 처리를 통합 지원하는 차세대 데이터 레이크 테이블 저장소입니다.1. 개념 및 정의Apache Paimon은 대규모 스트리밍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테이블 포맷 기반 데이터 레이크 저장소입니다. Flink, Spark 등과 통합되어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지원하며, 데이터 레이크의 일관성 및 효율성을 강화합니다.주요 목적은 스트리밍 데이터의 안정적 저장, 빠른 쿼리 처리, 데이터 레이크 일관성 보장입니다.2. 특징특징..

Topic 2025.09.14

Project Nessie

개요데이터 레이크와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데이터 관리의 일관성, 버저닝, 협업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Project Nessie입니다. Nessie는 Git과 유사한 방식으로 데이터 레이크를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데이터 변경 이력 추적, 브랜치 관리, 협업 환경을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Project Nessie는 데이터 레이크용 오픈소스 메타스토어로, Git 스타일의 브랜치 및 태그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버저닝과 협업을 단순화하는 플랫폼입니다. Apache Iceberg, Delta Lake, Apache Hudi 등과 통합되어 데이터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주요 목적은 데이터 레이크 환경에서의 안정적 버저닝 및 협업 지..

Topic 2025.09.14

Capsule

개요Kubernete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표준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지만, 다중 테넌트(tenant) 환경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Capsule입니다. Capsule은 멀티테넌시를 Kubernetes 네이티브 방식으로 구현하여, 클러스터 공유 환경에서도 보안, 자원 격리, 운영 효율성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Capsule은 Kubernetes 상에서 여러 팀(테넌트)이 하나의 클러스터를 공유하면서도, 각자 독립적인 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멀티테넌시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클러스터 리소스 최적화, 운영 단순화, 보안 격리입니다.2. 특징 특징 기본 Kubernetes Capsule 멀티테넌시제한적 ..

Topic 2025.09.14

KServe

개요AI/ML 모델을 실제 서비스 환경에 배포하고 운영하는 과정은 단순한 학습(training)보다 더 복잡하고 까다롭습니다. 특히 확장성, 안정성, 보안, 표준화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NCF 산하 Kubeflow 프로젝트의 일부로 개발된 KServe는 Kubernetes 네이티브 방식의 모델 서빙 프레임워크로, AI/ML 모델 운영을 단순화하고 표준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KServe는 Kubernetes 상에서 머신러닝 및 딥러닝 모델을 효율적으로 배포, 확장,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서빙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양한 프레임워크(TensorFlow, PyTorch, XGBoost 등)에서 학습된 모델을 손쉽게 서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주요 목적은 확장 가능한 모델 서빙과 운..

Topic 2025.09.14

Validating Admission Policy (VAP)

개요Kubernetes 클러스터 운영에서 보안과 일관성은 핵심 과제입니다. 기존에는 Validating Admission Webhook을 통해 사용자 요청을 검증했지만, 외부 웹훅 서버를 구축·운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Kubernetes 1.26부터 도입된 기능이 바로 **Validating Admission Policy(VAP)**입니다.1. 개념 및 정의**Validating Admission Policy(VAP)**는 Kubernetes 네이티브 리소스로, 클러스터 내부에서 직접 객체 생성·수정 요청을 검증할 수 있는 정책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보안 정책 내재화, 운영 단순화, 일관된 규칙 적용입니다.2. 특징 특징 Validating Admission Web..

Topic 2025.09.13

Kueue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AI/ML, HPC(고성능 컴퓨팅), 데이터 분석 등 배치 워크로드(batch workload) 실행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Kubernetes 스케줄러는 배치 처리에 특화되지 않아, 대규모 리소스 관리와 공정성(Fairness) 보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NCF 산하에서 개발된 프로젝트가 바로 Kueue입니다.1. 개념 및 정의Kueue는 Kubernetes 환경에서 배치 워크로드를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고 큐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리소스 활용 최적화, 공정한 배치 실행, 클라우드 네이티브 워크로드 자동화입니다.2. 특징 특징 기존 Kubernetes 스케줄러 Kueue 배치 처리제한적대규모..

Topic 2025.09.13

BIER (Bit Indexed Explicit Replication)

개요전통적인 멀티캐스트 라우팅은 PIM(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이나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와 같은 복잡한 제어 프로토콜과 상태 유지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네트워크 확장성과 효율성이 요구되면서, 새로운 방식의 멀티캐스트 전달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BIER(Bit Indexed Explicit Replication)**입니다.1. 개념 및 정의BIER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할 때, 각 패킷에 수신자 집합을 비트맵(Bitmask) 형태로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상의 상태 유지 없이 직접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주요 목적은 상태 없는 멀티캐스트 전송과 네트워크 단순화입니다.2. 특징 특징 기존..

Topic 2025.09.13

ASPA (AS Provider Authorization)

개요인터넷 라우팅의 핵심 프로토콜인 BGP(Border Gateway Protocol)는 신뢰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어, 라우트 하이재킹(Route Hijacking)이나 잘못된 경로 전파와 같은 보안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RPKI(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다양한 보안 확장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중 **ASPA(AS Provider Authorization)**는 BGP 경로 검증을 강화하는 최신 표준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ASPA(AS Provider Authorization)**는 특정 자율 시스템(AS)이 어떤 상위 제공자(Provider) AS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는지 명시적으로 인증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RPK..

Topic 2025.09.13

YANG (Yet Another Next Generation)

개요네트워크 장비와 서비스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YANG(Yet Another Next Generation)**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표준화한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링 언어로,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Configuration)과 상태(State)를 구조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YANG은 네트워크 장비 및 서비스의 구성 요소, 속성, 동작을 계층적(Tree) 구조로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링 언어입니다. NETCONF, RESTCONF 등의 관리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며, 벤더 중립적인 모델을 제공하여 멀티벤더 환경에서도 상호운용성을 보..

Topic 2025.09.12

NETCONF (Network Configuration Protocol)

개요네트워크 환경이 복잡해지고 대규모 장비 관리가 요구되면서, 단순한 CLI(Command Line Interface) 기반 관리의 한계가 드러났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표준화한 프로토콜이 바로 **NETCONF(Network Configuration Protocol)**입니다. NETCONF는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Configuration), 상태(State), 운영(Operation)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및 자동화 환경에서 핵심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NETCONF는 XML 기반의 메시징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 상태 조회,..

Topic 2025.09.12

gNMI (gRPC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개요네트워크 장비와 서비스가 복잡해지고 클라우드·SDN(Software-Defined Networking)·5G 환경으로 확장되면서, 기존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와 같은 전통적 관리 방식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를 대체하고자 등장한 표준이 바로 **gNMI(gRPC Network Management Interface)**입니다. gNMI는 구글이 개발한 gRPC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 관리 인터페이스로, 고속·보안·유연성을 제공하여 차세대 네트워크 운영의 핵심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gNMI는 네트워크 장비와 컨트롤러 간의 설정(Configuration), 상태 모니터링(State), 원격 제어(RPC)를 지원하는 API ..

Topic 2025.09.12

ISO/IEC 27036

개요오늘날 기업은 다양한 외부 공급업체, 서비스 제공업체, 파트너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공급망을 통한 사이버 공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글로벌 표준에 기반한 보안 관리가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ISO/IEC 27036: Information security for supplier relationships 표준을 제정하였습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27036은 공급업체와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보안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기업이 외부 공급업체와 협력하는 모든 단계(계약, 서비스 제공, 유지보수 등)에서 보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주요 목적은 공급망 보..

Topic 2025.09.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