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ISO/SAE 21434는 차량 내·외부 시스템에 존재하는 사이버 보안 위협을 체계적으로 식별·평가·대응하기 위한 국제 표준이다. 차량 전자 제어 장치(ECU), 통신 인터페이스, OTA, 클라우드 등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며, 자동차 개발 전 과정에 걸친 보안 설계를 요구한다. 본 글에서는 ISO 21434의 구성, 요구사항, 프로세스, 도입 전략 및 실제 산업 영향 등을 정리한다.
1. 정의 및 목적
항목 | 설명 |
정의 | ISO/SAE 21434는 자동차 사이버 보안 위험을 식별·분석하고, 설계-생산-운영-폐기 전 단계에서 보호 대책을 수립하는 글로벌 표준이다. |
제정기관 | ISO(국제표준화기구), SAE(자동차기술학회) 공동 제정 |
목적 | 차량 전 생명주기(Lifecycle) 기반 사이버 보안 확보, 보안성 설계 요구사항 정립 |
2. 적용 범위
항목 | 설명 |
범위 | 도메인 컨트롤러, ECU, 차량 내통신, V2X, OTA, 백엔드 서버 포함 |
적용 대상 | OEM, Tier 1/2, 보안 모듈 공급업체, 클라우드 운영사 등 |
생명주기 단계 | 개발 기획, 설계, 검증, 생산, 운영, 폐기 등 전체 라이프사이클 적용 |
ISO 26262의 기능 안전성과 병렬적으로 구성된다.
3. 주요 구성 항목
구성 요소 | 설명 | 목적 |
Cybersecurity Governance | 보안 조직과 정책, 책임 정의 | 조직 내 보안문화 확립 |
Risk Assessment | 위협 식별, TARA 프로세스 기반 평가 | 위협모델링 및 영향도 평가 |
Concept Phase | 보안 목표 및 보안 요구 도출 | 제품 초기 요구에 반영 |
Product Development | 설계, 구현, 검증 단계의 보안 활동 | S/W, H/W 수준 보호 대책 적용 |
Incident Response | 운용 중 위협 탐지 및 대응 계획 | 보안 업데이트, 모니터링 포함 |
보안 목표(Cybersecurity Goal), 요구사항(CSR), 보안 수준(CAL)을 기준으로 문서화한다.
4. 도입 효과 및 기대 이점
항목 | 설명 | 효과 |
인증 대응 | UN R155 사이버 보안 인증 전제 조건 | 유럽 등 수출 시 필수 적용 |
공급망 연계 보안 | 전체 밸류체인에 보안 요구 전달 가능 | Tier 1~N 보안 수준 상향평준화 |
보안 내재화 | 설계단계부터 보안 요구 내장 가능 | Cost of Security 최소화 |
위협 대응 강화 | 실시간 보안 이벤트 탐지 구조 수립 | OTA 대응 체계 정비 가능 |
보안 사고 대응력 향상과 개발 비용 절감 효과가 동시에 발생한다.
5. 산업 적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 설명 | 고려사항 |
OEM | 차량 전체 플랫폼에 CAL 기반 보안 설계 적용 | 개발 도구 체계화, 보안 인증 확보 필요 |
ECU 개발사 | 보안 요구 반영한 펌웨어 구조 설계 | Threat 모델링 기반 설계 체계 필요 |
클라우드 운영사 | 차량 통신 백엔드 보안 연계 | 경량 암호화, 접근 제어 정책 설계 필수 |
보안 테스트 기업 | 인증 대응 위한 취약점 진단 서비스 | ISO 21434 기반 분석 툴 연동 필요 |
CSMS(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 체계와 함께 연계 도입된다.
6. 결론
ISO/SAE 21434는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사이버 보안을 내재화하는 구조적 기준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 시대에 필수적인 보안 프레임워크이다. 기술뿐 아니라 정책, 공급망, 인증 전략까지 포괄하는 보안 문화 구축이 요구된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tform Engineering Maturity Model (0) | 2025.07.01 |
---|---|
Flight Levels (0) | 2025.07.01 |
KubeEdge YurtTunnel (1) | 2025.07.01 |
Preamble-Puncturing (1) | 2025.07.01 |
FrodoKEM (3)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