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Passkey-Only SSO(Single Sign-On)는 기존의 비밀번호 기반 인증을 대체하는 최신 인증 방식으로, 생체인식 또는 디바이스 기반 인증을 통해 사용자 경험과 보안을 동시에 강화한다. 이 글에서는 Passkey-Only SSO의 개념부터 기술 요소, 장점, 실제 활용 사례까지 자세히 살펴본다.
1. 개념 및 정의
Passkey-Only SSO는 WebAuthn 및 FIDO2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비밀번호 없는 인증 기술이다. 사용자는 단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로그인 과정은 생체정보(지문, 얼굴 인식)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스마트폰, 노트북 등)를 활용한다.
목적 및 필요성
- 비밀번호 피싱 방지
- 사용자 인증 과정 단순화
- 보안 사고 감소 및 유지관리 비용 절감
2. 특징
항목 | Passkey-Only SSO | 기존 비밀번호 기반 SSO |
인증 방식 | 생체 인증, 디바이스 인증 | 사용자 입력 비밀번호 |
보안 수준 | 매우 높음 (피싱 불가) | 중간 (피싱 위험 존재) |
사용자 경험 | 간편하고 빠름 | 종종 복잡하고 오류 발생 |
FIDO2 및 WebAuthn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사용자 검증이 핵심이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Passkey |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암호 쌍 | iPhone Face ID, Android Fingerprint |
인증 플랫폼 | WebAuthn API를 지원하는 브라우저 | Chrome, Safari, Firefox |
SSO Provider | 중앙 인증 플랫폼 | Okta, Azure AD, Google Workspace |
이 세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무비밀번호 인증을 실현한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관련 표준 |
FIDO2 | 공개키 기반의 인증 기술 | FIDO Alliance |
WebAuthn | 브라우저-웹앱간 인증 API | W3C WebAuthn |
CTAP | 클라이언트와 인증자간 통신 프로토콜 | Client To Authenticator Protocol |
Passkey 기술은 이러한 프로토콜의 조합을 통해 안전한 사용자 인증을 실현한다.
5. 장점 및 이점
항목 | 내용 | 기대 효과 |
보안 강화 | 피싱, 중간자 공격 차단 | 데이터 유출 방지 |
사용자 편의 | 비밀번호 기억 불필요 | UX 개선 |
비용 절감 | 헬프데스크 문의 감소 | IT 운영비 절감 |
기업과 사용자가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이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 내용 | 참고사항 |
모든 계정에 Passkey 지원 | 계정 보안 강화 중점 | |
Amazon | 일부 업무 시스템에 도입 | 비공개 환경에서 우선 도입 |
은행권 | 모바일 뱅킹 앱에 점진적 도입 | 생체 인증 연계 필수 |
도입 고려사항
- Passkey 백업 및 복구 전략 필요
- 사용자 디바이스 다양성 대응
- 레거시 시스템 연계 호환성 검토
7. 결론
Passkey-Only SSO는 보안성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인증 방식이다. 비밀번호의 시대를 넘어 안전하고 간편한 인증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이라면 적극적인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향후 더 많은 플랫폼과 서비스에서 Passkey 중심의 생태계가 확대될 전망이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ID4VP (0) | 2025.07.08 |
---|---|
FIDO Passkey (0) | 2025.07.08 |
Confidential Query (CQ) with TEE-SQL (0) | 2025.07.07 |
Continuous Threat Modeling (CTM) (0) | 2025.07.07 |
ToxiProxy-FASTER (0)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