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

JackerLab 2025. 3. 6. 12:24
728x90
반응형

개요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는 보안 운영을 자동화하고 다양한 보안 도구를 통합하여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하는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사이버 공격이 점점 정교해지고 보안 운영팀의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SOAR는 효율적인 보안 운영을 위한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SOAR란?

SOAR는 보안 운영팀(SOC, Security Operations Center)이 보안 이벤트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는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자동화(Automation), 대응(Response)**의 세 가지 핵심 기능을 통해 보안 프로세스를 최적화합니다.

1.1 SOAR의 핵심 기능

  • 보안 오케스트레이션(Security Orchestration): 다양한 보안 도구와 시스템을 연결하여 효율적인 보안 운영 가능
  • 보안 자동화(Security Automation): 반복적인 보안 작업을 자동화하여 응답 속도 향상
  • 위협 대응(Security Response): 보안 이벤트 발생 시 신속하고 일관된 대응 조치 실행

1.2 SOAR와 기존 보안 운영 방식의 차이점

항목 기존 보안 운영 SOAR 기반 보안 운영
보안 이벤트 분석 수동 분석 및 대응 AI 기반 자동 분석
운영 효율성 보안팀의 높은 부담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로 부담 감소
위협 대응 속도 긴급 상황에서 지연 가능 실시간 자동 대응
보안 도구 통합 별도의 시스템 운영 필요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

2. SOAR의 주요 구성 요소

2.1 보안 오케스트레이션(Security Orchestration)

  •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방화벽, IDS/IPS,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등의 다양한 보안 도구를 통합하여 중앙에서 관리
  • 예: SOAR 플랫폼이 SIEM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방화벽에서 차단 규칙 생성

2.2 보안 자동화(Security Automation)

  • 반복적인 보안 분석 작업(예: IP 블랙리스트 추가, 피싱 이메일 분석 등)을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 향상
  • 머신러닝 기반 이상 탐지 및 자동 차단 기능

2.3 위협 대응(Security Response)

  • 보안 위협이 탐지되면 즉각적인 대응 실행 (예: 악성 IP 차단, 사용자 계정 격리, 네트워크 격리 등)
  • 보안 인시던트 보고 자동 생성 및 대응 조치 기록

3. SOAR의 활용 사례

3.1 피싱 이메일 대응 자동화

  • 수상한 이메일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분석하고, 악성 링크 또는 첨부 파일 여부 확인
  • 악성 이메일로 판별될 경우 해당 계정 차단 및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 전송

3.2 랜섬웨어 공격 탐지 및 차단

  • SIEM이 이상 징후 탐지 → SOAR가 즉시 EDR을 통해 감염된 엔드포인트를 격리
  • 관련 IP 및 도메인을 자동 차단하여 확산 방지

3.3 DDoS 공격 대응

  • 네트워크 트래픽 이상 탐지 시 SOAR가 즉시 방화벽 및 CDN 정책을 조정하여 공격 차단
  • 공격 출처 분석 및 추가 보호 조치 실행

3.4 내부 보안 사고 대응

  • 이상 로그인 패턴 탐지 → 자동으로 다중 인증(MFA) 요구 및 관리자에게 경고
  • 의심 계정이 지속적으로 활동하면 계정 사용을 자동으로 차단

4. SOAR 도입의 장점

  • 위협 대응 시간 단축: 자동화된 분석 및 대응으로 보안 사고 대응 속도 향상
  • 보안 운영팀의 업무 부담 감소: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SOC 팀의 업무 경감
  • 보안 이벤트의 일관된 처리: 사전 정의된 대응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신뢰성 확보
  • 보안 도구 간 통합 운영: 여러 보안 솔루션을 중앙에서 관리하여 효율성 극대화

5. SOAR 도입 시 고려사항

  • 기존 보안 시스템과의 통합 여부: SIEM, EDR, 방화벽 등과 원활한 연계 필요
  • 자동화 정책 설정: 비즈니스 및 보안 요구사항에 맞는 자동화 워크플로우 설계
  • 보안팀의 운영 역량: SOAR 활용을 위한 보안팀의 교육 및 전문성 확보
  • 규제 및 법적 요구사항 준수: GDPR, ISO 27001 등 보안 규정을 준수하는 정책 수립 필요

6. 결론

SOAR는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보안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조직이 보안 운영을 최적화하고, 보안 인시던트 대응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SOAR 솔루션 도입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MC(Cybersecurity Maturity Model Certification)  (0) 2025.03.06
RMF(Risk Management Framework)  (0) 2025.03.06
DDoS 공격 및 대응 방안  (0) 2025.03.06
Explainable AI(XAI)  (0) 2025.03.06
양자 네트워크 및 양자 보안 기술  (1)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