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Sequence Diagram

JackerLab 2025. 4. 25. 14:32
728x90
반응형

개요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대표적인 행위 다이어그램 중 하나로, 객체 간 메시지 교환과 상호작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현한다. 시스템의 동적 동작을 명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 설계,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석, 기능 명세서 작성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 글에서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개념, 구성 요소, 작성 방법, 활용 사례 등을 상세히 정리한다.


1. 개념 및 정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시간 축을 따라 객체(또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흐름을 위에서 아래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명확하게 시각화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주로 특정 유스케이스 또는 시나리오에 대한 실행 순서를 모델링할 때 사용된다.


2. 구성 요소

요소 설명 예시
객체(Object) 메시지를 주고받는 주체 사용자, 서버, DB 등
생명선(Lifeline) 객체의 생존 시간 축 세로 점선으로 표현
활성 구간(Activation) 객체가 메시지를 처리 중인 시간 직사각형 바 표시
메시지(Message) 객체 간의 요청, 응답 등 동작 →, →>, -->> 등 사용
조건 및 반복 특정 조건이나 루프 표현 [조건], loop {n회 반복} 등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구조보다는 시간 기반 흐름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3. 작성 방법 및 기호 설명

기호/구문 의미 사용 예시
동기 메시지 (호출 및 응답 대기) user → system: login()
-->> 비동기 메시지 system -->> queue: sendEvent()
x 객체 소멸 service x
alt/opt 조건 분기 alt success/failure 블록
loop 반복 구조 loop 1..n: processItem()

시나리오 흐름과 로직의 타이밍을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


4. 활용 사례

분야 사용 목적 설명
소프트웨어 설계 시스템 기능 동작 흐름 명세 유스케이스 기반 시나리오 정리
API 설계 요청-응답 흐름 모델링 클라이언트-서버 간 인터페이스 정의
테스트 시나리오 경로 기반 테스트 설계 기능 단위 Mock 설계 활용
협업 문서 개발자·기획자 간 커뮤니케이션 요구사항 명확화

초기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다방면에서 활용된다.


5. 도구 및 작성 팁

도구 특징 예시
Lucidchart 웹 기반, 협업 기능 강력 실시간 코멘트 가능
PlantUML 텍스트 기반 스크립트로 다이어그램 생성 Git 문서화 연동 활용 많음
draw.io 무료 도식화 툴, 다양한 템플릿 제공 브라우저 기반 빠른 작성
StarUML UML 중심 설계 도구 시퀀스 외 다양한 다이어그램 제공

작성 팁:

  • 참여 객체는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배치
  • 주요 메시지 흐름 위주로 간결하게 구성
  • 반복, 조건은 alt/loop/opt 등 블록 사용

6. 결론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동적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개발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높이고, 설계의 명확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켜준다. 특히 기능 요구사항과 동작 시나리오가 복잡할수록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설계 정확성과 팀워크를 보장하는 핵심 도구로 작용한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ming Diagram  (0) 2025.04.25
Communication Diagram  (0) 2025.04.25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1) 2025.04.25
RDA (Robotic Desktop Automation)  (2) 2025.04.25
Software Productivity Techniques  (0)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