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ostgreSQL 6

Aurora Serverless v2

개요Aurora Serverless v2는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서버리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Aurora의 고성능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트래픽 변화에 따라 정밀하고 빠르게 자동 스케일링되는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제공합니다. 실시간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최신 데이터베이스 운영 모델로, 다양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1. 개념 및 정의Aurora Serverless v2는 애플리케이션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 용량(ACU: Aurora Capacity Unit)을 조절하는 확장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Aurora 기반: MySQL, PostgreSQL 호환 고성능 RDBMSServerless 모드: 프로비저닝 필요 없이 용량 자동 조절v2 특징: 밀리초 ..

Topic 2025.06.03

Cardinality Estimation Metric

개요Cardinality Estimation은 데이터베이스 쿼리 옵티마이저가 실행 계획을 수립할 때 사용하는 핵심 통계 기법입니다. 이는 특정 열(column)에 존재하는 고유(distinct) 값의 수를 예측하여, 조인 방식, 인덱스 사용 여부, 버퍼 사이즈 등 다양한 성능 결정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Cardinality Estimation Metric은 이러한 예측의 정확성과 오류율을 측정하여 시스템 성능 최적화에 기여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테이블 컬럼 내 고유한 값의 수를 예측하는 통계 기반 메트릭DISTINCT 값 추정목적실행 계획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분포 정보 제공비용 기반 쿼리 최적화 모델과 연계필요성부정확한 cardinality는 잘못된 실행 계획으로 이어짐성..

Topic 2025.05.29

Vector Extension for Postgres

개요Vector Extension for Postgres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벡터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고차원 벡터 검색, 유사도 기반 질의, AI 임베딩 저장 및 질의응답 시스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확장 모듈이다. 최근 AI 검색과 추천 시스템의 인기로 인해 PostgreSQL과 같은 범용 DB에서의 벡터 기반 질의 지원이 중요해지고 있다.1. 개념 및 정의Vector Extension은 PostgreSQL에서 벡터 데이터를 컬럼 형태로 저장하고, cosine similarity, L2 distance, inner product 등을 기반으로 한 유사도 검색 기능을 지원하는 확장(extension) 기능이다.목적: PostgreSQL에서 AI 임베딩을 기반으로 유사도 질의 수..

Topic 2025.05.11

Time-series DB(시계열 데이터베이스)

개요Time-series DB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분석하기 위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센서 데이터, 로그, 모니터링 지표, 주가 정보 등 시간 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고성능으로 처리합니다. 본 글에서는 InfluxDB와 TimescaleDB를 중심으로 시계열 DB의 개념, 구조, 장단점 및 적용 사례를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시계열 데이터베이스(Time-series Database)는 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데 최적화된 DB입니다. 일반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처리하기엔 비효율적인 대량의 시계열 데이터를 빠르게 쓰고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2. 특징 구분 설명 예시 시간 기반 인덱싱타..

Topic 2025.04.09

데이터베이스형 서비스(DBaaS, Database as a Service)

개요데이터베이스형 서비스(DBaaS, Databas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로, 사용자는 인프라 운영 부담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DBaaS를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 백업, 확장 및 보안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운영 비용 절감과 성능 최적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BaaS의 개념, 주요 기능,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DBaaS란 무엇인가?DBaa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로,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1.1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식과 ..

Topic 2025.03.10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vs NoSQL

개요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와 **NoSQL(Database Management System)**로 구분된다. RDBMS는 전통적인 테이블 기반의 데이터 저장 방식을 사용하며, NoSQL은 다양한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여 유연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본 글에서는 RDBMS와 NoSQL의 개념, 차이점, 장점 및 단점, 그리고 사용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란?RDBMS는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테이블(Table)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하고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관리한..

Topic 2025.02.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