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TO 3

디지털자산기본법(Digital Asset Basic Act)

개요디지털자산기본법은 대한민국에서 가상자산(암호화폐 포함)의 정의, 거래, 보관, 사업자 등록, 이용자 보호, 시장질서 유지 등을 포괄적으로 규율하기 위해 마련된 법률입니다. 2023년 6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이를 시작으로 디지털자산기본법이라는 상위 프레임워크 법 제정 논의가 본격화되었으며, 금융혁신과 동시에 투자자 보호를 위한 디지털 자산 시장의 법적 기반 구축이 핵심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디지털 방식으로 전자적으로 생성·이전·보관되는 가치를 가진 자산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법가상자산, NFT, 토큰증권(STO) 포함 가능목적이용자 보호, 시장 안정성 확보, 불공정거래 방지금융 규제 체계 내 편입 기반 마련적용 대상가상자산사업자(VASP),..

Topic 2025.07.31

크라우드펀딩법(Crowdfunding Act, Korea)

개요크라우드펀딩법은 **다수의 일반 대중으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자금을 모집하는 투자방식(크라우드펀딩)**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투자자 보호와 기업의 자금조달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핵심 금융 법제입니다. 정식 명칭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개정 조항이며, 2016년 1월 국내 시행을 시작으로 혁신 스타트업 및 초기 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비고정의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일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금융 방식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중심목적창업·벤처기업의 자금조달 지원 및 투자자의 합리적 참여 보장투자와 보호의 균형 강조적용 대상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 창업기업, 소액 투자자 등자본시장법 제117조의10 이하 조항후원형..

Topic 2025.07.31

STO (Security Token Offering)

개요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기존 금융 시장의 증권 발행 방식을 블록체인 기술로 디지털화한 형태로, 법적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자산의 유동성과 거래 효율성을 극대화한 투자 모델입니다. ICO와는 달리 투자자 보호 및 증권법을 기반으로 하여 제도권 금융과 암호화폐의 중간다리 역할을 수행합니다.1. 개념 및 정의**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실물 자산을 디지털 토큰 형태로 발행하여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방식입니다.보통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은 기존 금융상품처럼 수익, 배당, 의결권 등 권리를 포함합니다.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발행 및 관리되며, 거래 내역은 투명하게 기록되고 규제 기관의 관리 하에 운영됩니다.2...

Topic 2025.03.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