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i/cd 보안 3

Detection-as-Code

개요오늘날 사이버 보안 환경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탐지 규칙도 빠르게 업데이트되고 유지되어야 합니다. Detection-as-Code(DaC)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으로, 탐지 규칙을 코드로 정의하여 DevSecOps 파이프라인과 통합하고 자동화된 보안 탐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글에서는 Detection-as-Code의 개념, 주요 특징, 기술 구성, 장점 및 실제 활용 사례를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Detection-as-Code(DaC)**는 보안 탐지 규칙을 YAML, JSON 등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포맷으로 코드화하여 Git 기반 형상관리 및 CI/CD 파이프라인을 통해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DevOps 문화에서 파생된 'Eve..

Topic 2025.05.27

ASPM (Application Security Posture Management)

개요ASPM(Application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보안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시각화·관리하여 애플리케이션 전반의 보안 상태(Posture)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최신 보안 접근법이다. 이는 DevSecOps와 연계되어, 개발에서 배포까지 전 과정의 보안 가시성과 조치 능력을 극대화한다.1. 개념 및 정의ASPM은 애플리케이션 전 생애주기(Lifecycle)에 걸쳐 보안 관련 설정, 취약점, 접근 정책, 컴플라이언스 준수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보안 프레임워크이다. 기존의 SAST, DAST, SCA와 같은 도구에서 수집된 결과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분석하여 '보안 상황 인지' 중심의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목적:..

Topic 2025.05.11

DevSecOps(Development + Security + Operations)

개요DevSecOps(Development + Security + Operations)는 소프트웨어 개발(Dev), 보안(Sec), 운영(Ops)을 통합하여 애플리케이션과 IT 인프라의 보안을 자동화하고 개발 속도를 유지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을 개발 및 운영 프로세스의 필수 요소로 포함하여 지속적인 보안 강화와 신속한 배포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evSecOps의 개념, 핵심 원칙, 주요 도구,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DevSecOps란 무엇인가?DevSecOps는 보안을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SDLC)의 초기 단계부터 통합하여, 코드 배포와 동시에 보안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론입니다. 이는 개발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보..

Topic 2025.03.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