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28 19

Immersion Cooling (액침 냉각)

개요Immersion Cooling(액침 냉각)은 서버, GPU, ASIC 등의 고성능 컴퓨팅 장비를 비전도성 액체에 직접 담가 냉각하는 고효율 열 관리 기술입니다. 기존 공기 또는 수랭 방식보다 열전도율이 뛰어나며,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PUE)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냉각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Immersion Cooling은 IT 장비 전체를 절연된 특수 냉각유에 직접 침지하여 열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액체는 전기가 통하지 않아 장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높은 열용량과 열전도율로 인해 빠르고 안정적인 열 방출이 가능합니다.주요 방식은 싱글 페이즈(1-phase)와 투 페이즈(2-phase) 방식으로 나뉘며, 후자는 액체가 증발 후 응축기를 통해 재순환하는 형..

Topic 18:29:20

Constraint Programming (제약 프로그래밍)

개요Constraint Programming(CP)은 변수와 조건(제약)을 정의하고,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해를 찾는 방식의 문제 해결 패러다임입니다. 수학적 최적화, 스케줄링, 퍼즐, 자원 할당 등 조합 최적화 문제에 널리 활용되며, AI 및 산업 자동화에서도 강력한 해결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onstraint Programming은 "무엇(What)을 풀 것인가"에 집중하는 선언적(declarative) 문제 기술 방식입니다. 변수의 도메인(domain)과 제약조건(constraints)을 기술하고, 가능한 해(solution)를 제약 만족 해 탐색 알고리즘으로 찾아냅니다.전통적인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달리, CP는 ‘조건을 만족하는 해’를 자동으로 추론하며, 이는 SAT ..

Topic 17:28:39

Adaptive AI

개요Adaptive AI는 변화하는 환경, 사용자 요구, 입력 데이터에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반응하며 진화하는 인공지능 아키텍처를 말합니다. 전통적인 고정형 모델과 달리, 상황에 따라 행동을 수정하고, 자체 피드백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자율적이고 유연한 AI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Adaptive AI는 정적 모델이 아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구조를 가진 인공지능 시스템입니다.기존 AI는 학습-배포-고정 구조였다면, Adaptive AI는 운영 중에도 데이터와 상호작용하며 지속적으로 모델을 보정합니다. 이는 강화학습, 온라인 러닝, 사용자 피드백 기반 업데이트 등의 기법을 통해 구현됩니다.Gartner는 Adaptive AI를 “변화하는 상황에..

Topic 16:28:00

dbt (Data Build Tool)

개요dbt(Data Build Tool)는 분석 엔지니어가 SQL을 이용해 데이터 웨어하우스 상에서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고 변환하며 문서화 및 테스트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dbt는 ELT 구조 중 ‘T(Transform)’ 단계에 최적화된 도구로, 데이터 분석의 생산성과 일관성을 높여주는 핵심 컴포넌트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bt는 SQL 기반의 선언적 방식으로 모델링, 문서화, 테스트, 배포 자동화를 지원하는 데이터 트랜스포메이션 도구입니다. 전통적인 ETL 방식과 달리, 원시 데이터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로 적재되고(db/EL), dbt는 그 위에서 변환 작업을 수행합니다.사용자는 SQL과 Jinja 템플릿을 활용하여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DAG(..

Topic 15:27:17

NeRF(Neural Radiance Fields)

개요NeRF(Neural Radiance Fields)는 2D 이미지로부터 사실적인 3D 장면을 복원하는 신경망 기반의 렌더링 기술입니다. 사진이나 비디오 프레임 몇 장만으로, 특정 시점의 시각적 정보를 학습하여 해당 장면을 자유로운 각도에서 재생성할 수 있어 컴퓨터 비전, VR/AR, 디지털 트윈 분야에서 폭넓게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NeRF는 신경망을 활용해 장면 내의 각 지점에서의 광선 방향 및 위치에 따른 색상과 밀도를 추정하는 모델입니다. 이를 통해 카메라 시점에 따른 픽셀 값을 계산하고, 다수의 시점으로부터 3D 장면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전통적인 기하 기반의 3D 모델링과 달리, NeRF는 광선(ray)을 따라 샘플링된 값을 누적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신경 렌더링(Neu..

Topic 14:26:37

LangChain

개요LangChain은 대형 언어 모델(LLM)을 실제 애플리케이션 수준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돕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단순한 프롬프트 호출을 넘어서, 외부 데이터 연결, 도구 사용, 멀티스텝 추론, 메모리 유지, 에이전트 기반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LLM 오케스트레이션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로, AI 챗봇, 문서 검색, 자동화 업무 시스템 등에 폭넓게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LangChain은 Python 및 JavaScript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LLM을 중심으로 다양한 컴포넌트(메모리, 툴, 에이전트 등)를 조합해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레임워크입니다.프롬프트 템플릿, 체인(chain), 메모리, 툴, 에이전트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통해 L..

Topic 13:25:54

LLM 오케스트레이션

개요LLM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은 하나의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이 아닌 여러 LLM을 조율하여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거나, LLM과 외부 도구를 결합해 확장된 인공지능 서비스를 구축하는 기술 전략입니다. LangChain, Semantic Kernel, CrewAI 등의 프레임워크가 대표적으로 활용되며, AI 에이전트, 챗봇, 검색 강화 생성(RAG) 등 고도화된 애플리케이션 구현의 핵심입니다.1. 개념 및 정의LLM 오케스트레이션은 단일 LLM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언어 모델과 도구, API, 데이터 소스들을 통합하여 복합적인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아키텍처입니다.기본적으로는 LLM의 입력/출력을 관리하고, 필요시 외부 메모리, 데..

Topic 12:25:16

Attestation & Remote Attestation

개요Attestation(보증)과 Remote Attestation(원격 보증)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IoT,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장치의 상태가 안전한지, 신뢰 가능한 코드가 실행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검증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이는 하드웨어 기반의 신뢰 루트와 소프트웨어 무결성 보장을 결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Attestation은 장치나 시스템의 상태(예: 펌웨어, OS, 애플리케이션 등)를 제3자가 검증할 수 있도록 증거를 제공하는 과정입니다.Remote Attestation은 이 과정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수행하는 형태로, 신뢰할 수 있는 모듈(TPM, TEE 등)이 측정한 ..

Topic 11:23:51

Software Composition Analysis (SCA)

개요Software Composition Analysis(SCA)는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 라이선스 위험, 버전 관리 상태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SCA는 오픈소스 의존성이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공급망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인 DevSecOps 접근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CA는 애플리케이션 빌드 시 사용된 오픈소스 구성 요소들을 식별하고, 해당 구성 요소들의 보안 취약점, 비호환 라이선스, 패치 미적용 상태 등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보안 위협을 제거하고,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SCA는 단순한 취약점 스캐너가 아니라,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와 컴포넌트..

Topic 10:23:11

OpenSSF Scorecards

개요OpenSSF Scorecards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보안 위생(Security Hygiene)**을 자동으로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GitHub 저장소를 대상으로 20여 가지 보안 기준을 바탕으로 점수를 매기며,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의 첫 단계를 자동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오픈소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OpenSSF(Open Source Security Foundation)의 핵심 이니셔티브 중 하나입니다.1. 개념 및 정의OpenSSF Scorecards는 개발자나 보안 담당자가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선택하거나 운영할 때, 해당 프로젝트의 보안 상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자동화 평가 도구입니다.이 툴은 GitHub API를 활용해 프로젝트의 커밋 서명 ..

Topic 09:22:23

Sigstore

개요Sigstore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디지털 서명 및 감사 투명성 플랫폼입니다. 서명(signing), 투명성(transparency), 검증(verification)을 자동화하여,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에 대한 방어력을 강화합니다. 특히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Kubernetes, Python, Java 생태계에서도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1. 개념 및 정의Sigstore는 개발자가 서명하고 사용자에게 검증 가능한 오픈소스 아티팩트(artifact)를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 모음입니다. 소프트웨어가 누구에 의해, 어떤 상태에서 만들어졌는지를 증명하는 투명한 메타데..

Topic 08:21:40

Chaos Testing

개요Chaos Testing은 실서비스 환경에서 시스템의 장애 내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검증 기법으로, Chaos Engineering의 실질적인 실행 방식입니다. 소프트웨어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장애에 반응하는지를 분석하여, 고가용성과 회복력을 갖춘 시스템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Chaos Testing은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장애를 유발하는 테스트 기법입니다. 이는 Chaos Engineering 원칙에 따라 설계된 실험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시스템의 '회복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Chaos Testing은 장애가 아닌 장애에 '대응하는 능력'을 테스트하며, 이를 통해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할 ..

Topic 07:20:45

Chaos Engineering

개요Chaos Engineering은 대규모 시스템이 예기치 못한 장애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의도적인 실패를 유도하는 실험 기반 접근 방식입니다. Netflix가 도입한 'Chaos Monkey'로 유명해졌으며, 최근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도 필수적인 신뢰성 확보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haos Engineering이란, 운영 중인 시스템에 통제된 실패를 주입하여 그 시스템의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문제 대응 능력을 사전에 검증하는 방식입니다. 단순한 부하 테스트나 장애 복구 시나리오와 달리, 실제 장애 상황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숨어 있는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이 개념은 대규모 분산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중요성이..

Topic 06:20:04

LiFi (802.11bb)

개요LiFi는 빛을 이용한 무선 통신 기술로, 기존 Wi-Fi의 대안 혹은 보완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7월 IEEE에서 LiFi 기술을 표준화한 "802.11bb" 규격이 공식 발표되면서 상용화에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LiFi의 개념부터 기술적 요소, 활용 사례까지 전문가 수준으로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LiFi(Light Fidelity)는 LED 조명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고속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무선 기술이 전파(RF)를 사용하는 반면, LiFi는 조명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습니다.802.11bb는 이 LiFi 기술을 와이파이 프로토콜에 통합한 IEEE의 공..

Topic 05:19:23

802.11bf (Wi-Fi Sensing)

개요802.11bf는 IEEE에서 표준화 중인 차세대 무선 기술로, Wi-Fi 신호의 변화만으로 사람의 움직임, 위치, 행동, 심박수 등 다양한 센싱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Wi-Fi Sensing(와이파이 감지) 표준이다. 기존 Wi-Fi가 통신 중심이었다면, 802.11bf는 공간 인식 센서로의 진화를 의미하며, 보안, 스마트홈, 헬스케어, 고령자 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기대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802.11bf는 Wi-Fi AP(Access Point)에서 발생하는 무선 채널의 물리적 변화(채널 상태 정보, CSI)를 분석해 비접촉 센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표준이다.정식 명칭: IEEE 802.11bf – WLAN Sensing개발 상태: 2024년 표준 완성 예정기반 기술..

Topic 04:37:51

Unikernel & MicroVM

개요Unikernel과 MicroVM은 기존의 가상화 및 컨테이너 기술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초경량, 고보안, 고속 부팅 특성을 지닌 차세대 가상화 기술이다. 이 둘은 각각의 방식으로 운영 체제 및 실행 환경을 최소화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엣지 컴퓨팅, 서버리스 환경에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기술 정의 핵심 특징 Unikernel애플리케이션과 필요한 OS 기능을 하나의 실행 이미지로 컴파일한 단일 목적 시스템단일 주소 공간, 수 밀리초 부팅, 공격 표면 최소화MicroVM일반 VM보다 경량화된 가상 머신으로, 빠른 시작과 작은 메모리 풋프린트를 목표로 설계된 VM하이퍼바이저 기반, 보안 격리, 수십 ms 부팅둘 다 기존 컨테이너보다 더 작고 빠르며, 보..

Topic 03:37:08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

개요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는 다양한 칩렛(Chiplet)을 하나의 패키지 내에서 통합하기 위한 범용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고성능·저전력·확장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차세대 반도체 아키텍처의 핵심 기술이다. CPU, GPU, AI 가속기, 메모리 등 다양한 기능을 분리된 다이(die)로 구성하여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이기종 집적(Heterogeneous Integration)의 미래를 견인하고 있다.1. 개념 및 정의UCIe는 칩렛 간 고속 연결을 위한 물리적·전기적·프로토콜 표준을 통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규격이다.Chiplet: SoC(System on Chip)에서 분리된 독립적인 반도체 다이 구성 요소UCIe 목적: 칩렛 간 상호 ..

Topic 02:36:19

Composable Application

개요Composable Application은 독립적으로 구성된 기능 블록(모듈, 마이크로서비스, API 등)을 조합하여 유연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와 고객 맞춤형 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MACH(Microservices, API-first, Cloud-native, Headless) 원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 개념 및 정의Composable Application은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조합하고 교체 가능한 구조”**를 통해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목표: 사용자 요구와 기술 변화에 즉각 대응 가능한 유연한 애플리케이션 구현핵심 구성: 모듈화, 표준화된 API, 독립 배포, 재사용 가능한 구..

Topic 01:35:31

UAM(Urban Air Mobility)

개요UAM(Urban Air Mobility)은 도심 지역에서 전기 동력 기반의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를 활용하여 사람과 물자를 빠르게 운송하는 차세대 교통 시스템이다. 기존 지상 교통의 혼잡과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도심항공교통, 항공 모빌리티, 에어택시 등의 형태로 실현되고 있다.1. 개념 및 정의UAM은 3차원 공간(공중)을 활용해 도심 단거리 구간의 이동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항공 교통 시스템으로, 기존 헬리콥터보다 조용하고 친환경적이며 자동화된 운항을 목표로 한다.목표: 도심 내 교통 혼잡 해소, 이동시간 단축, 탄소 저감구성 요소: eVTOL 항공기, 버티포트(이착륙장), UATM(도심항공교통 관리 시스템)관련 기술: 자율비행, 5G 통신, 전기추진,..

Topic 00:34:44
728x90
반응형